[과외]2.과학 전하와전류(1)-핵심기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24번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산)
유리 막대 접 지
① 벌어진다 오므라든다
② 변화없다 벌어진다
③ 벌어진다 변화없다
④ 오므라든다 벌어진다
⑤ 오므라든다 오므라든다
15. 손으로 접지한 후 유리 막대와 손을 동시에 치울 때 전하의 종류와 금속 박의 상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휘문, 영등포여)
16. 아래 표는 여러 가지 물체들을 마찰시켜 각각의 물체가 띠는 전기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그 중 전자를 가장 잘 잃어 버리는 물체는? (잠신, 숭의여)
마찰시킨 물체
(+)전기를 띤 물체
(-)전기를 띤 물체
머플러, 구슬
머플러
구슬
솜, 구슬
구슬

고무, 솜

고무
책받침, 고무
고무
책받침
① 머플러 ② 구슬
③ 솜 ④ 고무
⑤ 책받침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기로 대전된 유리 막대를 검전기의 금속판에 가까이 가져갔더니 금속박이 벌어졌다. 금속판과 금속박은 각각 어떤 전하로 대전되었을까? (진선여, 상계여)
금속판 금속박
① (+)전하 (-)전하
② 중성 (+)전하
③ (-)전하 (-)전하
④ (-)전하 (+)전하
⑤ 중성 (-)전하
18. 다음 설명의 ( )안에 들어갈 말은? (잠실, 신정여)
두 물체를 서로 마찰시켰을 때, 마찰된 물체가 서로 밀거나 당기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그 원인은 두 물체가 ( )되었기 때문이다.
① 이온 ② 전하
③ 마찰 ④ 대전
⑤ 자화
19. 다음 중 번개가 치는 원인(이유)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풍납여, 예일여)
① (+)전하를 띤 구름과, (-)전하를 띤 구름 사이에서 전자가 이동할 때,
천둥 소리를 동반하고 빛을 내는 현상이다.
② 전하를 띠지 않은 구름과 전하를 띤 구름이 가까이할 때 천둥 소리나
빛을 내는 현상이다.
③ (-)전하를 띤 구름과 (-)전하를 띤 구름이 충돌할 때 천둥 소리나
빛을 내는 현상이다.
④ 구름 중에 (+), (-)전기를 띤 것들이 충돌하면서 천둥 소리나 빛을 내는
현상이다.
⑤ 전하를 띠지 않은 구름들이 우연히 충돌하여 천둥 소리나 빛을 내는
현상이다.
20. 에보나이트 막대(A)를 털가죽(B)에 마찰시켰을 때 발생 한 전기의 종류는? (정신여, 신창)
A B
① + -
② - -
③ + +
④ - +
⑤ 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21. 대전된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옳게 나타낸 것은?
(풍납, 동국사대부속)
22. 다음 중 전기력에 관한 설명은? (중동, 양정)
① 두 손을 비비면 열이 난다.
②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③ 빗으로 머리를 빗으면 머리카락이 빗에 달라 붙는다.
④ 못이 자석에 붙는다.
⑤ 달리던 버스가 갑자기 정지하면, 몸이 앞쪽으로 쏠린다.
23. 마찰되지 않은 물체가 보통 전기를 띠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금, 영등포)
① 원자는 전기를 띠지 않는 알갱이로 되어 있으므로
② 원자핵이 가진 (+)전하의 양과 전자가 가진 (-)전하의 양이 같으므로
③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질량이 같으므로
④ 원자핵의 개수와 전자의 개수가 같으므로
⑤ 원자핵이 가진 (-)전하의 양과 전자가 가진 (+)전하의 양이 같으므로
24. 털가죽으로 문지른 에보나이트 막대를 가늘게 떨어지는 수돗물 줄기에 가까이 가져가면 물줄기가 에보나이트 막대 쪽으로 휜다. 이것은 어떤 현상 때문인가? (청담, 명지여)
핵심기출문제 ………
1. ③
마찰 전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체를 마찰시킬 때 발생한다.
2. ②
유리 막대는 (+)전하로, 명주 헝겊은 (-)전하로 대전된다. 즉 유리 막대에서 명주 헝겊으로 (-)전하를 띤 전자가 이동한다.
3. ④
(-)전하로 대전된 에보나이트 막대와 가까운 쪽에는 (+)전하가, 먼 쪽에 (-)전하가 대전된다.
4. 대전
물체가 마찰에 의하여 전기를 띠는 현상을 대전이라고 한다.
5. ②
마찰 전기 현상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가 처음 발견하였다.
6. ③
물체를 마찰시킬 때 물체가 띠는 전기를 마찰 전기라고 한다.
7. ③
마찰 전기란 서로 다른 두 물체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이 있을 때 생기는 전기이다.
8. ④
9. ④
10. ④
전기력은 같은 종류의 전기를 가진 대전체 사이에서는 척력이 다른 종류의 전기를 띤 대전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11. ①
(-)로 대전된 물체를 공기 중에 방치하면 (-)전하를 가진 전자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전기의 성질이 없어진다.
12. ④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자가 밀려나가 금속구 A는 (+)전기로 대전된다.
13. ④
원자는 (+)전하를 갖는 원자핵과 원자핵의 둘레를 도는 (-)전하의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면 마찰에 의해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면 물체가 전기를 띠게 된다.
14. ①
유리 막대를 가까이할 때는 정전기 유도로 금속박에는 (-)전하가 유도 되어 금속박이 벌어지며, 손으로 접지했을 때는 손을 따라 (-)전하가 방전되어 금속박이 다시 오므라든다.
15. ①
유리 막대와 손을 동시에 치우면 정전기 유도로 남아 있던 (+)전기가 골고루 퍼져서 금속박 쪽으로도 흘러들어가 금속박이 벌어진다.
16. ①
마찰을 일으켜서 (+)전하를 띠려면 전자를 잃어 버려야 하므로, 표의 물체들을 순서대로 비교하여 전자를 잘 잃어 버리는 순서로 나열하면 머플러-구슬-솜-고무-책받침의 순서가 된다.
17. ④
(+)로 대전된 유리 막대쪽으로 전자들이 이동해 가게 되므로 금속판은 (-)전하로 대전되고, 금속박은 (+)전하로 대전되게 된다.
18. ④
물체를 마찰시키면 전자의 이동으로 마찰 전기가 생긴다. 이 때 전자를 잃으면 (+), 얻으면 (-)의 전기를 띠게 된다.
19. ①
20. ④
(+)털가죽-유리-명주-고무-에보나이트(-)
21. ③
22. ③
①은 마찰력에 의한 열의 발생, ②는 중력, ④는 자기력, ⑤는 관성에 대한 설명이다.
23. ②
(+)전하의 양과 (-)전하의 양이 같으면, 서로 상쇄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을 나타낸다.
24. 정전기 유도 현상
에보나이트 막대에 가까운 부분의 물줄기에는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에보나이트 막대와는 반대인 (+)전하로 대전되어 에보나이트 막대와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키워드

마찰력,   정전기,   유도,   전기력,   원자,   마찰,   유리,   물체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