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42~80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것은 ? (숭의여, 도곡)
① 태양 고도의 차이 때문에
② 태양 복사 에너지량의 차이 때문에
③ 지구 복사 에너지의 흡수량의 차이 때문에
④ 고도에 따른 공기량의 차이 때문에
⑤ 공기의 대류 현상 때문에
90.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나 같은 현상이 생기는 직접적인 이유는 ?
① 육지와 바다의 비열 차이 (광명여, 잠실)
② 공기의 밀도 변화
③ 각 지방의 위도 차이
④ 태양의 고도 변화
⑤ 시간에 따른 공기층의 두께 차이
42. A
태양 고도가 높을수록 지표면이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
43. ②
저위도로 갈수록 태양 고도가 높으므로, 복사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
44.
태양 복사 에너지를 지표와 대기에서 흡수하고 흡수한 양만큼 방출한다.
45. ④
구리통의 표면적, 햇빛을 비추는 시간, 물의 처음 온도, 스티로폼의 양은 일정해야 한다.
46. ②
물의 온도는 20분부터 일정해졌다.
47. ①
48. ①, ④
49. ③
50. ②
알루미늄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가 방출하는 에너지보다 많으면 컵 속의 공기의 온도는 높아지고 방출하는 에너지가 더 많으면 온도는 낮아진다.
51. ①
알루미늄 컵은 지구에, 전등은 태양에 비유할 수 있다.
52. ④
물체가 열을 얻게 되면 부피가 커지고 밀도는 작아지며 온도는 높아진다.
53. ③
물체가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체의 온도는 올라간다. 그러나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이는 물체가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과 방출하는 양이 같기 때문이다.
54. ③
처음에는 온도가 높아지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컵이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온도가 일정해진다.
55. ③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거의 일정하다는 것은 지구가 받는 에너지와 내놓는 에너지가 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증거이다.
56. ②
지구 복사 에너지는 지구가 대기권 밖으로 내보내는 복사 에너지이고, 적외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57. ③
지표면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는 주로 적외선인데, 적외선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수증기에 의해 흡수가 잘 된다. 따라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58. ①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량과 같은 양의 지구 복사 에너지를 우주 공간에 다시 방출하여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다.
59. ③
저위도 지방에서는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량보다 많기 때문에 에너지 과잉이 일어난다.
60. 대기와 해수
대기와 해수의 순환에 의해 저위도의 과잉 에너지가 고위도로 운반된다.
61. ③
표를 보고 흡수량이 방출량보다 적어지는 부분을 찾는다.
62. 70
지표면, 대기에서 반사하는 양 : 30
대기에서 흡수하는 양 : 20
지표면에서 흡수하는 양 : 50
63. (1) A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의 고도는 낮아진다.
(2) A, B, C, D
고위도로 갈수록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진다.
(3) A
위도 부근
흡수 에너지 = 방출 에너지
64. A, D
양 극 지방에서는 6개월은 밤이고, 6개월은 하루종일 낮이다.
65. ③
66. ①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는 태양의 고도가 높은 곳 즉, 위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양이 많다.
67. ㉡, ㉢
위 그림에서 극지방에서 태양 고도와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하는 거리를 생각해보자.
68. ②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는 에너지가 부족한 고위도로 대기와 해수의 순환을 통해 운반된다.
69. ②
물체의 복사 에너지는 물체의 표면 온도에 따라 그 양이 결정된다.
70. ⑤
컵과 전구 사이의 거리가 멀면 적은 양의 전구 복사 에너지가 컵에 도달한다. 따라서 컵 속의 공기의 온도는 서서히 높아지고 낮은 온도에서 열평형에 도달할 것이다.
71. 지구의 연평균 기온 일정
지구가 복사 에너지의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72. 전구에서 나오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73. 받은 만큼 에너지를 내 보내기 때문에
74. 검은 깡통, 전구
75. 그래프 전체가 약간 아래로 내려온다.
거리가 멀어지면 복사 에너지량이 줄어들게 되나 복사 평형 상태는 불변한다.
76. ②
77. 그래프가 전체적으로 아래로 내려간다.
컵의 복사 에너지량이 감소한다.
78. ①
각 위도별 전체의 면적은 고위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만일, 지구가 평면으로 생겼다면 태양의 고도는 어느 곳에서나 같은 값을 가질 것이다.
79. (1) A : 태양 복사 에너지 B : 지구 복사 에너지
태양 복사 에너지는 위도에 따라 차이가 많이 생기지만 지구 복사 에너지는 위도에 따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2) ③
고위도는 에너지가 부족하고 저위도는 에너지가 남는다.
80. D
적도 부근에서는 태양이 수직으로 비치기 때문에 복사 에너지가 많다.
81. ㉡, ㉣
위도에 따른 기온의 차이는 태양과 지표면이 이루는 각과 낮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82. 표면 온도
복사 에너지는 물체의 표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적외선 → 가시 광선 → 자외선의 순으로 방출된다. 지구가 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은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83. A+B=C
A, B는 지구가 흡수한 양이고 C는 방출하는 양이며, 이 값은 서로 같다.
84. B
85. ②
고위도 지방에서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방출하는 에너지량 보다 작다.
86. ③
C는 저위도 지방에서 남는 에너지량이고, D는 고위도 지방에서 부족한 에너지량이다. 그러나 대기나 해수의 순환에 의해서 C의 에너지가 이동하여 D의 부족한 양을 채워준다.
87. ③
저위도 지방의 남는 에너지는 대기나 해수 등에 의하여 고위도 지방으로 이동한다.
88. 대기, 물이 없기 때문
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고 물도 없으므로 에너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
89. ③
지표면 근처에는 지구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온이 높으나 산이나 높은 지역에서는 지구 복사 에너지량이 작아서 기온도 낮다.
90. ④
낮이 새벽보다 기온이 높고 여름이 겨울보다 기온이 높은 것은 태양의 고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① 태양 고도의 차이 때문에
② 태양 복사 에너지량의 차이 때문에
③ 지구 복사 에너지의 흡수량의 차이 때문에
④ 고도에 따른 공기량의 차이 때문에
⑤ 공기의 대류 현상 때문에
90.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나 같은 현상이 생기는 직접적인 이유는 ?
① 육지와 바다의 비열 차이 (광명여, 잠실)
② 공기의 밀도 변화
③ 각 지방의 위도 차이
④ 태양의 고도 변화
⑤ 시간에 따른 공기층의 두께 차이
42. A
태양 고도가 높을수록 지표면이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
43. ②
저위도로 갈수록 태양 고도가 높으므로, 복사 에너지의 양도 많아진다.
44.
태양 복사 에너지를 지표와 대기에서 흡수하고 흡수한 양만큼 방출한다.
45. ④
구리통의 표면적, 햇빛을 비추는 시간, 물의 처음 온도, 스티로폼의 양은 일정해야 한다.
46. ②
물의 온도는 20분부터 일정해졌다.
47. ①
48. ①, ④
49. ③
50. ②
알루미늄 컵이 흡수하는 에너지가 방출하는 에너지보다 많으면 컵 속의 공기의 온도는 높아지고 방출하는 에너지가 더 많으면 온도는 낮아진다.
51. ①
알루미늄 컵은 지구에, 전등은 태양에 비유할 수 있다.
52. ④
물체가 열을 얻게 되면 부피가 커지고 밀도는 작아지며 온도는 높아진다.
53. ③
물체가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체의 온도는 올라간다. 그러나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이는 물체가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양과 방출하는 양이 같기 때문이다.
54. ③
처음에는 온도가 높아지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컵이 복사 평형을 이루므로 온도가 일정해진다.
55. ③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거의 일정하다는 것은 지구가 받는 에너지와 내놓는 에너지가 평형을 이루고 있다는 증거이다.
56. ②
지구 복사 에너지는 지구가 대기권 밖으로 내보내는 복사 에너지이고, 적외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57. ③
지표면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는 주로 적외선인데, 적외선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수증기에 의해 흡수가 잘 된다. 따라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58. ①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량과 같은 양의 지구 복사 에너지를 우주 공간에 다시 방출하여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다.
59. ③
저위도 지방에서는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량보다 많기 때문에 에너지 과잉이 일어난다.
60. 대기와 해수
대기와 해수의 순환에 의해 저위도의 과잉 에너지가 고위도로 운반된다.
61. ③
표를 보고 흡수량이 방출량보다 적어지는 부분을 찾는다.
62. 70
지표면, 대기에서 반사하는 양 : 30
대기에서 흡수하는 양 : 20
지표면에서 흡수하는 양 : 50
63. (1) A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의 고도는 낮아진다.
(2) A, B, C, D
고위도로 갈수록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진다.
(3) A
위도 부근
흡수 에너지 = 방출 에너지
64. A, D
양 극 지방에서는 6개월은 밤이고, 6개월은 하루종일 낮이다.
65. ③
66. ①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는 태양의 고도가 높은 곳 즉, 위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양이 많다.
67. ㉡, ㉢
위 그림에서 극지방에서 태양 고도와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하는 거리를 생각해보자.
68. ②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는 에너지가 부족한 고위도로 대기와 해수의 순환을 통해 운반된다.
69. ②
물체의 복사 에너지는 물체의 표면 온도에 따라 그 양이 결정된다.
70. ⑤
컵과 전구 사이의 거리가 멀면 적은 양의 전구 복사 에너지가 컵에 도달한다. 따라서 컵 속의 공기의 온도는 서서히 높아지고 낮은 온도에서 열평형에 도달할 것이다.
71. 지구의 연평균 기온 일정
지구가 복사 에너지의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72. 전구에서 나오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므로
73. 받은 만큼 에너지를 내 보내기 때문에
74. 검은 깡통, 전구
75. 그래프 전체가 약간 아래로 내려온다.
거리가 멀어지면 복사 에너지량이 줄어들게 되나 복사 평형 상태는 불변한다.
76. ②
77. 그래프가 전체적으로 아래로 내려간다.
컵의 복사 에너지량이 감소한다.
78. ①
각 위도별 전체의 면적은 고위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만일, 지구가 평면으로 생겼다면 태양의 고도는 어느 곳에서나 같은 값을 가질 것이다.
79. (1) A : 태양 복사 에너지 B : 지구 복사 에너지
태양 복사 에너지는 위도에 따라 차이가 많이 생기지만 지구 복사 에너지는 위도에 따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2) ③
고위도는 에너지가 부족하고 저위도는 에너지가 남는다.
80. D
적도 부근에서는 태양이 수직으로 비치기 때문에 복사 에너지가 많다.
81. ㉡, ㉣
위도에 따른 기온의 차이는 태양과 지표면이 이루는 각과 낮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82. 표면 온도
복사 에너지는 물체의 표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적외선 → 가시 광선 → 자외선의 순으로 방출된다. 지구가 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은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83. A+B=C
A, B는 지구가 흡수한 양이고 C는 방출하는 양이며, 이 값은 서로 같다.
84. B
85. ②
고위도 지방에서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방출하는 에너지량 보다 작다.
86. ③
C는 저위도 지방에서 남는 에너지량이고, D는 고위도 지방에서 부족한 에너지량이다. 그러나 대기나 해수의 순환에 의해서 C의 에너지가 이동하여 D의 부족한 양을 채워준다.
87. ③
저위도 지방의 남는 에너지는 대기나 해수 등에 의하여 고위도 지방으로 이동한다.
88. 대기, 물이 없기 때문
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고 물도 없으므로 에너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
89. ③
지표면 근처에는 지구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온이 높으나 산이나 높은 지역에서는 지구 복사 에너지량이 작아서 기온도 낮다.
90. ④
낮이 새벽보다 기온이 높고 여름이 겨울보다 기온이 높은 것은 태양의 고도가 다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