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풀이
2. 해답과풀이
본문내용
나타난다.
② 체관부의 생장 정도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생긴다.
③ 계절에 따라 만들어지는 물관부의 두께 차이에 의해
생긴다.
④ 나이테의 수를 이용하여 식물의 연령을 알 수 있다.
⑤ 보리나 옥수수 같은 외떡잎식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36. 다음 중 소나무와 은행나무에서 볼 수 없는 조직은 ? (백운, 당산)
① 표피② 물관
③ 체관④ 형성층
⑤ 관다발
37.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자극이라고 한다. 다음 중 식물의 자극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대명, 서울여)
① 빛② 온도
③ 중력④ CO2 농도
⑤ 화학 물질
[38~39] 오른쪽 그림은 식물체 내에서의 물질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라.
38. (B)를 통해서 이동하는 물질은 ? (정의여, 둔촌)
① 이산화탄소② 칼륨 이온
③ 포도당④ 산소
⑤ 물
39. (A)와 (B) 중 체관과 관계가 깊은 것은 ? (서울사대부속, 선정여)
40.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다음 표에서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 (방학, 보성)
뿌리털 → 뿌리의 ( ) → 줄기의 ( ) → 잎맥 → 기공
41. 줄기의 작용을 설명한 다음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선화예술, 봉영여)
① 저장 작용② 운반 작용
③ 지지 작용④ 호흡 작용
⑤ 삼투 작용
42. 다음 중 물의 상승 원인이 아닌 것은 ? (공릉, 대명)
① 근압② 물의 응집력
③ 증산 작용④ 모세관 현상
⑤ 삼투 현상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한일, 장훈)
표피 세포가 변형된 것이다.
엽록체가 있어서 광합성을 한다.
기공을 둘러싸며 증산 작용을 할 때 열린다.
44. 오른쪽 그림은 갖춘잎의 생김새를 나타낸 것이다. 각 기호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옳은 것은 ? (잠실, 양정)
① (가)-잎새② (가)-턱잎
③ (나)-줄기④ (다)-턱잎
⑤ (다)-떡잎
45. 다음 중 잎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연, 동북)
① 표피는 한 층의 세포로 되어 있다.
② 해면 조직은 엉성하게 되어 있어 공기가 드나든다.
③ 책상 조직은 엽록체가 많아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④ 기공은 주로 잎의 뒷면에 분포되어 있다.
⑤ 잎맥에서 물관은 체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46.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잎까지 상승하는 데 가장 큰 힘으로 작용하는 것은 ?
① 근압② 물의 응집력 (상계여, 이수)
③ 증산 작용④ 모세관 현상
⑤ 삼투압 현상
핵심기출문제 ………
1. ⑤
(가) 책상 조직, (나) 공변 세포, (다) 기공, (라) 표피 세포, (마) 잎맥
2. ③, ④
(가) 엽록체, (나) 기공, (다) 공변 세포
3. ③
(가) 표피, (나) 책상 조직, (다) 잎맥, (라) 해면 조직
4. ⑤
증산은 공변 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5. ③
물의 상승 원인으로는 증산, 근압, 모세관 현상, 물분자의 응집력 등이 있다.
6. 다, 라, 마
책상 조직과 해면 조직에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7. ③
증산은 공변 세포의 팽압에 의한 기공의 개폐로 조절된다.
8. ②
9. ⑤
A, ㉡-체관
B-형성층
C, ㉠-물관
㉢-기공
10. (가), (라)
A는 물관이고, B는 체관이다.
11. ④
줄기는 식물의 몸체를 지탱하고 기공을 통해 호흡을 하며 유기 양분을 저장한다. 또한 물관과 체관을 통한 물질의 운반 통로가 된다.
12. (다), 물관
(가) 체관, (나) 형성층, (다) 물관, (라) 속, (마) 피층이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는 물관이다.
13. (나)
벼나 옥수수와 같은 외떡잎식물에는 형성층이 없고, 쌍떡잎식물과 겉씨식물에만 형성층이 있어서 부피 생장을 한다.
14. ①
잎에서 광합성 결과 만들어진 유기 양분은 체관을 통해 다른 기관으로 이동한다.
15. 체관
16. ④
형성층 안쪽의 물관이 붉게 물든다.
17. 관다발
물관, 체관, 형성층을 통틀어 관다발이라고 한다.
18. ②
물관을 통해서 물과 물에 녹은 무기 양분이 이동하게 된다.
19. ③
외떡잎식물은 부피 생장을 못한다.
20. ㉢
물관을 통해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잎쪽으로 올라간다.
21. ㉠
잎에서 만든 광합성 산물은 체관에서 저장 기관인 줄기, 뿌리, 열매 등으로 이동한다.
22. ㉡
외떡잎식물에는 형성층이 없다.
23. ⑤
형성층에서 부피 생장이 일어난다.
24. 체관
관다발은 줄기의 중심 쪽을 향해서 안쪽에는 물관부가 있고, 껍질쪽에는 체관부가 있다.
25. ②
쌍떡잎식물 : 표피→체관부→형성층→물관부
외떡잎식물 : 표피→체관부→물관부
26. ④27. ④28. ②29. ①30. ②
31. A
A-물관, B-체관, C-형성층, (가)-외떡잎식물, (나)-쌍떡잎식물. 물과 무기 양분이 이동하는 부분은 물관이다.
32. 외떡잎식물
(가)와 같이 관다발이 불규칙하고 형성층이 없는 것은 외떡잎식물이다.
33. ①, ②
규칙적인 관다발을 가지며 형성층이 있는 식물은 쌍떡잎식물이다.
34. ④
(가) 식물은 외떡잎식물로 잎은 나란히맥이고 형성층이 없어 부피 생장을 하지 못한다.
35. ③, ④
나이테는 계절에 따라 만들어지는 물관부의 두께 차이 때문에 생긴다. 나이테의 수를 이용하면 식물의 나이를 알 수 있다.
36. ②
소나무와 은행나무 같은 겉씨식물은 물관 대신 헛물관을 가진다. 헛물관은 세포의 위아래가 막혀 있고 세포벽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37. ④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은 빛, 온도, 중력, 화학 물질, 접촉, 수분 등이다.
[38~39] 물관을 통해서는 뿌리에서 흡수하는 물, 무기 양분(철,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의 이온)이 운반되고, 체관을 통해서는 잎에서 만든 광합성 산물인 녹말이 분자가 작은 포도당으로 변해서 여러 저장 기관(뿌리, 줄기, 열매 등)에 이동된다.
38. ③
39. B
40. 물관
물관이나 체관은 뿌리 끝에서 줄기를 지나 잎의 잎맥, 꽃이나 열매등과 연결되어 있다.
41. ⑤
식물의 줄기는 뿌리와 연결되어 가지, 잎, 꽃, 열매 등을 붙이며, 물질의 운반 통로 역할을 한다.
42. ⑤
43. 공변 세포
44. ②
45. ⑤
46. ③
② 체관부의 생장 정도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생긴다.
③ 계절에 따라 만들어지는 물관부의 두께 차이에 의해
생긴다.
④ 나이테의 수를 이용하여 식물의 연령을 알 수 있다.
⑤ 보리나 옥수수 같은 외떡잎식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36. 다음 중 소나무와 은행나무에서 볼 수 없는 조직은 ? (백운, 당산)
① 표피② 물관
③ 체관④ 형성층
⑤ 관다발
37.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자극이라고 한다. 다음 중 식물의 자극원이 될 수 없는 것은 ? (대명, 서울여)
① 빛② 온도
③ 중력④ CO2 농도
⑤ 화학 물질
[38~39] 오른쪽 그림은 식물체 내에서의 물질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라.
38. (B)를 통해서 이동하는 물질은 ? (정의여, 둔촌)
① 이산화탄소② 칼륨 이온
③ 포도당④ 산소
⑤ 물
39. (A)와 (B) 중 체관과 관계가 깊은 것은 ? (서울사대부속, 선정여)
40.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다음 표에서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 (방학, 보성)
뿌리털 → 뿌리의 ( ) → 줄기의 ( ) → 잎맥 → 기공
41. 줄기의 작용을 설명한 다음 내용 중 잘못된 것은 ? (선화예술, 봉영여)
① 저장 작용② 운반 작용
③ 지지 작용④ 호흡 작용
⑤ 삼투 작용
42. 다음 중 물의 상승 원인이 아닌 것은 ? (공릉, 대명)
① 근압② 물의 응집력
③ 증산 작용④ 모세관 현상
⑤ 삼투 현상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한일, 장훈)
표피 세포가 변형된 것이다.
엽록체가 있어서 광합성을 한다.
기공을 둘러싸며 증산 작용을 할 때 열린다.
44. 오른쪽 그림은 갖춘잎의 생김새를 나타낸 것이다. 각 기호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옳은 것은 ? (잠실, 양정)
① (가)-잎새② (가)-턱잎
③ (나)-줄기④ (다)-턱잎
⑤ (다)-떡잎
45. 다음 중 잎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연, 동북)
① 표피는 한 층의 세포로 되어 있다.
② 해면 조직은 엉성하게 되어 있어 공기가 드나든다.
③ 책상 조직은 엽록체가 많아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④ 기공은 주로 잎의 뒷면에 분포되어 있다.
⑤ 잎맥에서 물관은 체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46.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잎까지 상승하는 데 가장 큰 힘으로 작용하는 것은 ?
① 근압② 물의 응집력 (상계여, 이수)
③ 증산 작용④ 모세관 현상
⑤ 삼투압 현상
핵심기출문제 ………
1. ⑤
(가) 책상 조직, (나) 공변 세포, (다) 기공, (라) 표피 세포, (마) 잎맥
2. ③, ④
(가) 엽록체, (나) 기공, (다) 공변 세포
3. ③
(가) 표피, (나) 책상 조직, (다) 잎맥, (라) 해면 조직
4. ⑤
증산은 공변 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5. ③
물의 상승 원인으로는 증산, 근압, 모세관 현상, 물분자의 응집력 등이 있다.
6. 다, 라, 마
책상 조직과 해면 조직에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7. ③
증산은 공변 세포의 팽압에 의한 기공의 개폐로 조절된다.
8. ②
9. ⑤
A, ㉡-체관
B-형성층
C, ㉠-물관
㉢-기공
10. (가), (라)
A는 물관이고, B는 체관이다.
11. ④
줄기는 식물의 몸체를 지탱하고 기공을 통해 호흡을 하며 유기 양분을 저장한다. 또한 물관과 체관을 통한 물질의 운반 통로가 된다.
12. (다), 물관
(가) 체관, (나) 형성층, (다) 물관, (라) 속, (마) 피층이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는 물관이다.
13. (나)
벼나 옥수수와 같은 외떡잎식물에는 형성층이 없고, 쌍떡잎식물과 겉씨식물에만 형성층이 있어서 부피 생장을 한다.
14. ①
잎에서 광합성 결과 만들어진 유기 양분은 체관을 통해 다른 기관으로 이동한다.
15. 체관
16. ④
형성층 안쪽의 물관이 붉게 물든다.
17. 관다발
물관, 체관, 형성층을 통틀어 관다발이라고 한다.
18. ②
물관을 통해서 물과 물에 녹은 무기 양분이 이동하게 된다.
19. ③
외떡잎식물은 부피 생장을 못한다.
20. ㉢
물관을 통해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잎쪽으로 올라간다.
21. ㉠
잎에서 만든 광합성 산물은 체관에서 저장 기관인 줄기, 뿌리, 열매 등으로 이동한다.
22. ㉡
외떡잎식물에는 형성층이 없다.
23. ⑤
형성층에서 부피 생장이 일어난다.
24. 체관
관다발은 줄기의 중심 쪽을 향해서 안쪽에는 물관부가 있고, 껍질쪽에는 체관부가 있다.
25. ②
쌍떡잎식물 : 표피→체관부→형성층→물관부
외떡잎식물 : 표피→체관부→물관부
26. ④27. ④28. ②29. ①30. ②
31. A
A-물관, B-체관, C-형성층, (가)-외떡잎식물, (나)-쌍떡잎식물. 물과 무기 양분이 이동하는 부분은 물관이다.
32. 외떡잎식물
(가)와 같이 관다발이 불규칙하고 형성층이 없는 것은 외떡잎식물이다.
33. ①, ②
규칙적인 관다발을 가지며 형성층이 있는 식물은 쌍떡잎식물이다.
34. ④
(가) 식물은 외떡잎식물로 잎은 나란히맥이고 형성층이 없어 부피 생장을 하지 못한다.
35. ③, ④
나이테는 계절에 따라 만들어지는 물관부의 두께 차이 때문에 생긴다. 나이테의 수를 이용하면 식물의 나이를 알 수 있다.
36. ②
소나무와 은행나무 같은 겉씨식물은 물관 대신 헛물관을 가진다. 헛물관은 세포의 위아래가 막혀 있고 세포벽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37. ④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은 빛, 온도, 중력, 화학 물질, 접촉, 수분 등이다.
[38~39] 물관을 통해서는 뿌리에서 흡수하는 물, 무기 양분(철,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의 이온)이 운반되고, 체관을 통해서는 잎에서 만든 광합성 산물인 녹말이 분자가 작은 포도당으로 변해서 여러 저장 기관(뿌리, 줄기, 열매 등)에 이동된다.
38. ③
39. B
40. 물관
물관이나 체관은 뿌리 끝에서 줄기를 지나 잎의 잎맥, 꽃이나 열매등과 연결되어 있다.
41. ⑤
식물의 줄기는 뿌리와 연결되어 가지, 잎, 꽃, 열매 등을 붙이며, 물질의 운반 통로 역할을 한다.
42. ⑤
43. 공변 세포
44. ②
45. ⑤
46.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