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ㄴ, ㄹ
⑤ ㄷ, ㄹ
49. 다음 중 환원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 [한산, 오산]
① 산화물에서 산소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② 환원 반응이 일어날 때 산소가 필요하다.
③ 금속이 공기 중에서 천천히 녹스는 현상이다.
④ 겉불꽃 속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⑤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현상이다.
50.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제련할 때 코크스를 넣는다. 이 때, 코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목동]
① 산소와 반응하여 CO2가 된다.
② 코크스는 환원된다.
③ 철광석을 환원시킨다.
④ 산소와 결합하면서 많은 열을 낸다.
⑤ 불완전 연소되어 CO가 되기도 한다.
핵심기출문제 ………
1. ④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 비금속 산화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2. ②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현상을 산화라 한다.
3. ④
①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② 염기와 비금속 산화물과의 반응으로 염의 생성 반응
③ 염과 염의 반응
⑤ 산과 금속 산화물과의 반응으로 염의 생성 반응
4. ②
5. ②
6. ②
7. ④
느린 산화에서는 빛은 나오지 않고, 약하기는 하나 열은 발생한다.
8. ④
비금속 산화물은 물에 녹아 산성을 띤다.
9. ②
겉불꽃은 산화 작용이, 속불꽃은 환원 작용이 강하다.
10. ④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것이 산화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것이 환원제이다.
11. ④
빠른 산화(연소) : 물질+산소 → 산화물+열과 빛
산화에는 ‘폭발’과 같이 대단히 빠른 산화가 있는가 하면, 철이 녹스는 현상, 동물의 호흡, 음식물의 부패와 같이 느린 산화도 있다.
12. ③
금속 원소의 산화물은 염기성,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CO2+H2O → H2CO3」, 「SO2+H2O →H2SO3」, 「P4O10+6H2O → 4H3PO4」등의 반응으로 산을 형성하여 푸른 리트머스 종이를 붉게 변화시킨다. 또 금속 원소의 산화물은 「MgO+H2O → Mg(OH)2」, 「CaO+H2O → Ca(OH)2」등의 반응으로 염기를 형성하여 붉은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킨다.
13. ②
산화물이 산소를 잃는 반응이 환원이다. 산소를 잃으면 질량은 감소한다. 물질이 수소와 화합하는 것도 환원이다. 겉불꽃은 산화가 잘 일어나는 불꽃이며, 속불꽃은 탄소 때문에 환원이 잘 일어나는 불꽃이다. 그러나 환원될 때 반드시 탄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14. ⑤
Zn+2H++SO42- → Zn2++SO42-+H2↑에서 Zn은 전자를 내어 놓고 Zn2+으로 산화되며 H+은 전자를 받아 H로 환원된다. 이 때 자신은 산화되면서 H+을 환원시킨 Zn은 환원제로 작용한다.
15. ②
산화되는 물질은 전자를 내어 놓고 환원되는 물질은 전자를 받아들인다.
┌─ 산화 ──
Fe+2HCl → FeCl2+H2
└─ 환원 ──
16. ②
산성 산화물 : 비금속 산화물
CO2, SO2, NO2, P4O10 등
염기성 산화물 : 금속 산화물
Na2O, MgO, CaO 등
17. ④
18. ②
산화는 산소와 결합하거나 전자를 잃는 반응을 말한다.
19. ③
아연은 묽은 황산에 녹아 아연 이온으로 되고, 이 때 아연이 내놓은 전자는 수소 이온이 받아 수소 기체로 된다.
20. Zn
환원제는 다른 물질을 환원 시키고,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이다.
21. ④, ⑤
염의 수용액과 반응할 수 있는 금속은 용액 속에 녹아 있는 금속보다 이온화되기 쉬운 금속이어야 한다.
22. ②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급격히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23. H+
비금속 산화물이 물에 녹으면 산성을 띤다.
24. ②
표에서 비금속 산화물은 산성,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을 띠는 것을 알 수 있고, Na2O은 금속 산화물, SO2은 비금속 산화물이다.
25. 노란색
붉은 인이 연소하면서 발생한 오산화인(P4O10)은 산성 산화물이다.
26. ②
황산과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염을 만들 수 있는 염기성 산화물은 CaO, BaO 등이 있다.
27. 산소
28. ③
①, ②, ⑤는 느린 산화, ④는 빠른 산화로, 모두 산소와 결합하는 현상이다.
29. 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이 산성을 나타낸다. Na, Ca, Mg, Fe는 금속이다.
30. ㉠, ㉡, ㉥
전해질의 이온화 반응, 산염기의 중화 반응 및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앙금이 생성되는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다.
31. ②
환원되는 경우는 산소를 잃거나, 전자수소를 얻는 때이다. 금속 이온이 중성 원자인 금속으로 되려면 전자를 얻어야 하므로 이 경우는 환원 반응이다.
32. CO2
석회수를 뿌옇게 흐려지게 하는 기체는 CO2이다.
33. ④
숯가루는 산소와 결합하여 CO2가 된다.
34. 2Cu
35. ③
36. ③
산화수은을 가열하면 수은과 산소로 분해된다(열분해).
37. ①
철을 제련할 때 넣어주는 코크스는 산화제로 작용한다.
38. ⑤
39. ③
수소 화합물이 수소를 잃는 현상도 산화에 속한다.
40. ②
중화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다.
41. ④
구리는 묽은 황산에 녹지 않는다.
42. ③
금속이 산에 녹으면서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43. ④
(나)에 의하면 염기성 산화물이므로 금속 산화물이다. (다)는 CaO+H2SO4 → CaSO4 + H2O의 변화이다.
44. ④
느린 산화에서도 열은 발생한다. 단지 그 양이 적어 느끼지 못할 뿐이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산성으로 주로 기체 상태이고,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으로 주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45. ②
산의 H보다 이온화가 잘 되어야 반응이 일어난다.
46. ③
염의 수용액에 넣어 준 금속이 염의 수용액 중의 금속보다 이온화 세기가 큰 금속이라야 반응이 일어난다.
47. ④
Mg+2HCl → MgCl2+H2↑에서 Mg은 Mg2+으로 되고 H+은 H2로 된다.
48. ③
┌─ 산화 ─
Fe + 2H+ → Fe2+ + H2↑
(환원제) (산화제)
└─ 환원 ──
┌─ 산화 ─
2CuO + C → 2Cu + CO2
(산화제) (환원제)
└─ 환원 ──
49. ①
50. ②
코크스는 탄소 성분이며, 자신은 산화되면서 상대방을 환원시키는 환원제 역할을 한다.
⑤ ㄷ, ㄹ
49. 다음 중 환원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 [한산, 오산]
① 산화물에서 산소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② 환원 반응이 일어날 때 산소가 필요하다.
③ 금속이 공기 중에서 천천히 녹스는 현상이다.
④ 겉불꽃 속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⑤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현상이다.
50.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제련할 때 코크스를 넣는다. 이 때, 코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목동]
① 산소와 반응하여 CO2가 된다.
② 코크스는 환원된다.
③ 철광석을 환원시킨다.
④ 산소와 결합하면서 많은 열을 낸다.
⑤ 불완전 연소되어 CO가 되기도 한다.
핵심기출문제 ………
1. ④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 비금속 산화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2. ②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현상을 산화라 한다.
3. ④
①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② 염기와 비금속 산화물과의 반응으로 염의 생성 반응
③ 염과 염의 반응
⑤ 산과 금속 산화물과의 반응으로 염의 생성 반응
4. ②
5. ②
6. ②
7. ④
느린 산화에서는 빛은 나오지 않고, 약하기는 하나 열은 발생한다.
8. ④
비금속 산화물은 물에 녹아 산성을 띤다.
9. ②
겉불꽃은 산화 작용이, 속불꽃은 환원 작용이 강하다.
10. ④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것이 산화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것이 환원제이다.
11. ④
빠른 산화(연소) : 물질+산소 → 산화물+열과 빛
산화에는 ‘폭발’과 같이 대단히 빠른 산화가 있는가 하면, 철이 녹스는 현상, 동물의 호흡, 음식물의 부패와 같이 느린 산화도 있다.
12. ③
금속 원소의 산화물은 염기성,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CO2+H2O → H2CO3」, 「SO2+H2O →H2SO3」, 「P4O10+6H2O → 4H3PO4」등의 반응으로 산을 형성하여 푸른 리트머스 종이를 붉게 변화시킨다. 또 금속 원소의 산화물은 「MgO+H2O → Mg(OH)2」, 「CaO+H2O → Ca(OH)2」등의 반응으로 염기를 형성하여 붉은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킨다.
13. ②
산화물이 산소를 잃는 반응이 환원이다. 산소를 잃으면 질량은 감소한다. 물질이 수소와 화합하는 것도 환원이다. 겉불꽃은 산화가 잘 일어나는 불꽃이며, 속불꽃은 탄소 때문에 환원이 잘 일어나는 불꽃이다. 그러나 환원될 때 반드시 탄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14. ⑤
Zn+2H++SO42- → Zn2++SO42-+H2↑에서 Zn은 전자를 내어 놓고 Zn2+으로 산화되며 H+은 전자를 받아 H로 환원된다. 이 때 자신은 산화되면서 H+을 환원시킨 Zn은 환원제로 작용한다.
15. ②
산화되는 물질은 전자를 내어 놓고 환원되는 물질은 전자를 받아들인다.
┌─ 산화 ──
Fe+2HCl → FeCl2+H2
└─ 환원 ──
16. ②
산성 산화물 : 비금속 산화물
CO2, SO2, NO2, P4O10 등
염기성 산화물 : 금속 산화물
Na2O, MgO, CaO 등
17. ④
18. ②
산화는 산소와 결합하거나 전자를 잃는 반응을 말한다.
19. ③
아연은 묽은 황산에 녹아 아연 이온으로 되고, 이 때 아연이 내놓은 전자는 수소 이온이 받아 수소 기체로 된다.
20. Zn
환원제는 다른 물질을 환원 시키고,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이다.
21. ④, ⑤
염의 수용액과 반응할 수 있는 금속은 용액 속에 녹아 있는 금속보다 이온화되기 쉬운 금속이어야 한다.
22. ②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급격히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23. H+
비금속 산화물이 물에 녹으면 산성을 띤다.
24. ②
표에서 비금속 산화물은 산성,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을 띠는 것을 알 수 있고, Na2O은 금속 산화물, SO2은 비금속 산화물이다.
25. 노란색
붉은 인이 연소하면서 발생한 오산화인(P4O10)은 산성 산화물이다.
26. ②
황산과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염을 만들 수 있는 염기성 산화물은 CaO, BaO 등이 있다.
27. 산소
28. ③
①, ②, ⑤는 느린 산화, ④는 빠른 산화로, 모두 산소와 결합하는 현상이다.
29. 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이 산성을 나타낸다. Na, Ca, Mg, Fe는 금속이다.
30. ㉠, ㉡, ㉥
전해질의 이온화 반응, 산염기의 중화 반응 및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앙금이 생성되는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다.
31. ②
환원되는 경우는 산소를 잃거나, 전자수소를 얻는 때이다. 금속 이온이 중성 원자인 금속으로 되려면 전자를 얻어야 하므로 이 경우는 환원 반응이다.
32. CO2
석회수를 뿌옇게 흐려지게 하는 기체는 CO2이다.
33. ④
숯가루는 산소와 결합하여 CO2가 된다.
34. 2Cu
35. ③
36. ③
산화수은을 가열하면 수은과 산소로 분해된다(열분해).
37. ①
철을 제련할 때 넣어주는 코크스는 산화제로 작용한다.
38. ⑤
39. ③
수소 화합물이 수소를 잃는 현상도 산화에 속한다.
40. ②
중화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다.
41. ④
구리는 묽은 황산에 녹지 않는다.
42. ③
금속이 산에 녹으면서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43. ④
(나)에 의하면 염기성 산화물이므로 금속 산화물이다. (다)는 CaO+H2SO4 → CaSO4 + H2O의 변화이다.
44. ④
느린 산화에서도 열은 발생한다. 단지 그 양이 적어 느끼지 못할 뿐이다. 금속이 아닌 원소의 산화물은 산성으로 주로 기체 상태이고, 금속 산화물은 염기성으로 주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45. ②
산의 H보다 이온화가 잘 되어야 반응이 일어난다.
46. ③
염의 수용액에 넣어 준 금속이 염의 수용액 중의 금속보다 이온화 세기가 큰 금속이라야 반응이 일어난다.
47. ④
Mg+2HCl → MgCl2+H2↑에서 Mg은 Mg2+으로 되고 H+은 H2로 된다.
48. ③
┌─ 산화 ─
Fe + 2H+ → Fe2+ + H2↑
(환원제) (산화제)
└─ 환원 ──
┌─ 산화 ─
2CuO + C → 2Cu + CO2
(산화제) (환원제)
└─ 환원 ──
49. ①
50. ②
코크스는 탄소 성분이며, 자신은 산화되면서 상대방을 환원시키는 환원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