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 [은광여, 월촌]
① ㈎-㈏-㈐② ㈐-㈏-㈎
③ ㈎-㈐-㈏④ ㈐-㈎-㈏
⑤ ㈏-㈎-㈐
〔58~59〕다음 표는 실시 등급과 절대 등급, 색깔을 나타낸 것이다.
별
실시 등급
절대 등급
색 깔
A
B
C
D
-1.2
1.0
2.3
3.2
1.4
-5.1
2.3
5.6
흰 색
푸른색
노란색
붉은색
58. 연주 시차가 0.1"보다 큰 별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보인, 신암]
① A, B② C, D
③ A, D④ B, C
⑤ A, C
59. 표면 온도가 높은 별부터 차례대로 나열된 것은 ? [이수, 동북]
① A-B-C-D② A-C-B-D
③ B-C-A-D④ B-A-C-D
⑤ D-C-A-B
60. 오른쪽 그래프는 다섯개의 별 A~E를 절대 등급 과 색깔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표면 온도가 가장 낮으면서 가장 밝은 별은 ? [백석, 은광여]
① A② B
③ C④ D
⑤ E
핵심기출문제 ………
1. ①
연주 시차는 시차의 1/2에 해당하는 값이다.
2. ②
3. ④
4. ④
5. ④
연주 시차가 클수록 가까이 있는 별이고, 연주 시차가 작을수록 멀리있는 별이다.
6. ④
각 등급의 중간의 밝기를 갖는 별들은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써서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
7. ④
1등급, 2등급, …의 등급차는 2.5배, 2.52배, …의 밝기차이다.
8. ③
9. ②
는 별의 연주 시차이다.
10. ②
별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면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별빛의 양도 줄어든다.
11. ①
100배가 밝아지면 5등급이 낮아진다.
12. ①
별의 등급은 별이 밝을수록 낮아지고, 별이 어두울수록 커진다.
13. ⑤
물체가 내는 색은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이 강해진다.
14. ④
절대 등급은 별이 10pc에 있다고 놓았을 때의 별의 밝기이다.
15. ②
별의 등급은 밝을수록 낮아지며,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16. ④
한 물체를 바라볼 때 보이는 방향이 바뀌어 생기는 각도를 시차라고 한다. 시차는 거리가 멀수록 작아진다.
17. ①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 시차에 반비례한다.
즉,
18. ②
모든 별을 10pc 거리에 놓았을 때의 밝기가 절대 등급이며,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다. 그리고 겉보기 등급>절대 등급인 별은 10pc보다 멀리 있는 별이다.
19. ⑤
달이 지구 둘레를 공전할 때 지구도 태양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에 달이 뜨는 시각이 매일 늦어지고, 조석 주기는 매일 조금씩 늦게 나타난다.
20. ①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다르게 되면 달 표면의 무늬가 조금씩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달 표면의 모든 부분을 볼 수 있다.
21. ③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을 10pc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22. ④
등급차가 2.1-(-3.7)=5.8이므로 밝기차는 약 2.55이다. 따라서, 10pc보다 10배 이상 되는 거리에 있다.
23. ③
맨눈으로 보았을 때의 별의 밝기를 실시 등급이라고 한다. 그러나 별의 실제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 비교할 수 있다.
24. ④
25. ①
실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절대 등급이며, 밝은 별일수록 절대 등급은 낮다.
26. ①
같은 거리에 있을 때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다.
27. ①
허블은 외부 은하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8. ④
1등성과 5등성은 4등급 차가 나며, 5등성은 1등성보다 그만큼 더 어둡다.
29. ①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을 10pc의 거리에 놓았을 때의 별의 밝기를 나타낸다.
30. ⑤
실시 등급은 눈으로 보이는 별의 밝기를 나타내고, 절대 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를 나타내며, 색깔은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게 한다.
31. ②
32. ⑤
33. ①
별의 밝기는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다.
34. ②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다를 경우는 달의 모든 부분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35. ③
달은 약 27.3일에 한 바퀴씩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
36. ④
보름달은 해가 진 후 동쪽 하늘에 떠 오른다.
37. ①
초승달이 서쪽 하늘에 왔을 때 해가 진다.
38. ④
물체의 온도와 색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별은 전등의 필라멘트나 전기 난로, 숯불과는 다르지만 역시 온도가 올라갈수록 붉은색에서 주황색, 노란색, 휜색, 푸른색의 순서로 변하는 사실이 밝혀졌다.
39. ④
별의 색깔은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40. ③
41. 암흑성운
42. ②
43. ⑤
1등성은 5등성보다 40배 더 밝으므로 5등성의 별 40개가 모여야 한다.
44. ⑤
별을 같은 거리에 놓고 실제 밝기를 비교한 것은 절대 등급이다.
45. ①
실시 등급은 거리와 관계 없는 겉보기 밝기를 나타내고, 절대 등급은 실제 밝기를 나타낸다. 또한 별의 온도는 푸른색>백색>황백색>황색의 순이다.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이내의 별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밖의 별
46. ②
47. D
48. ②
카펠라는 10pc보다 멀리 떨어진 별이며, 베가와 알테어는 10pc보다 가까운 별이다.
49. ④
50. ①
별 A는 연주 시차가 0.1″이므로 10pc인 곳에 위치한 별이고, 별 B는 연주 시차가 0.01″이므로 100pc인 곳에 위치한 별이다. 별 B를 10pc인 곳에 가져오면 밝기가 102배 증가하므로 절대 등급은 0등급이 된다. 따라서, 두 별은 같은 밝기의 별이다.
51. ⑤
달은 서→동으로 공전하며, 지구 자전 방향과 같다.
52. 항성월, 27.3일
달이 별을 기준으로 서→동으로 하루에 약 13°씩 옮겨가서 처음 위치 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27.3일이며, 이 주기를 항성월이라 한다.
53. ①
달의 모양을 기준으로 한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9.5일로, 항성월과 2.2일 차이가 나며, 이 주기를 삭망월이라 한다.
54. ④
B 위치에서 달은 상현과 망 사이이다.
55. ⑤
발광 성운은 중심에 있는 밝은 별들로부터 나오는 빛을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으로 오리온 대성운, 삼렬 성운 등이 있다.
56. ①
57. ②
58. ③
59. ④
60. ④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고, 온도가 낮을수록 붉은색이 강하다.
① ㈎-㈏-㈐② ㈐-㈏-㈎
③ ㈎-㈐-㈏④ ㈐-㈎-㈏
⑤ ㈏-㈎-㈐
〔58~59〕다음 표는 실시 등급과 절대 등급, 색깔을 나타낸 것이다.
별
실시 등급
절대 등급
색 깔
A
B
C
D
-1.2
1.0
2.3
3.2
1.4
-5.1
2.3
5.6
흰 색
푸른색
노란색
붉은색
58. 연주 시차가 0.1"보다 큰 별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보인, 신암]
① A, B② C, D
③ A, D④ B, C
⑤ A, C
59. 표면 온도가 높은 별부터 차례대로 나열된 것은 ? [이수, 동북]
① A-B-C-D② A-C-B-D
③ B-C-A-D④ B-A-C-D
⑤ D-C-A-B
60. 오른쪽 그래프는 다섯개의 별 A~E를 절대 등급 과 색깔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표면 온도가 가장 낮으면서 가장 밝은 별은 ? [백석, 은광여]
① A② B
③ C④ D
⑤ E
핵심기출문제 ………
1. ①
연주 시차는 시차의 1/2에 해당하는 값이다.
2. ②
3. ④
4. ④
5. ④
연주 시차가 클수록 가까이 있는 별이고, 연주 시차가 작을수록 멀리있는 별이다.
6. ④
각 등급의 중간의 밝기를 갖는 별들은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써서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
7. ④
1등급, 2등급, …의 등급차는 2.5배, 2.52배, …의 밝기차이다.
8. ③
9. ②
는 별의 연주 시차이다.
10. ②
별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면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별빛의 양도 줄어든다.
11. ①
100배가 밝아지면 5등급이 낮아진다.
12. ①
별의 등급은 별이 밝을수록 낮아지고, 별이 어두울수록 커진다.
13. ⑤
물체가 내는 색은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이 강해진다.
14. ④
절대 등급은 별이 10pc에 있다고 놓았을 때의 별의 밝기이다.
15. ②
별의 등급은 밝을수록 낮아지며,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16. ④
한 물체를 바라볼 때 보이는 방향이 바뀌어 생기는 각도를 시차라고 한다. 시차는 거리가 멀수록 작아진다.
17. ①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 시차에 반비례한다.
즉,
18. ②
모든 별을 10pc 거리에 놓았을 때의 밝기가 절대 등급이며,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다. 그리고 겉보기 등급>절대 등급인 별은 10pc보다 멀리 있는 별이다.
19. ⑤
달이 지구 둘레를 공전할 때 지구도 태양 둘레를 공전하기 때문에 달이 뜨는 시각이 매일 늦어지고, 조석 주기는 매일 조금씩 늦게 나타난다.
20. ①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다르게 되면 달 표면의 무늬가 조금씩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달 표면의 모든 부분을 볼 수 있다.
21. ③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을 10pc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22. ④
등급차가 2.1-(-3.7)=5.8이므로 밝기차는 약 2.55이다. 따라서, 10pc보다 10배 이상 되는 거리에 있다.
23. ③
맨눈으로 보았을 때의 별의 밝기를 실시 등급이라고 한다. 그러나 별의 실제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 비교할 수 있다.
24. ④
25. ①
실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절대 등급이며, 밝은 별일수록 절대 등급은 낮다.
26. ①
같은 거리에 있을 때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다.
27. ①
허블은 외부 은하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8. ④
1등성과 5등성은 4등급 차가 나며, 5등성은 1등성보다 그만큼 더 어둡다.
29. ①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을 10pc의 거리에 놓았을 때의 별의 밝기를 나타낸다.
30. ⑤
실시 등급은 눈으로 보이는 별의 밝기를 나타내고, 절대 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를 나타내며, 색깔은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게 한다.
31. ②
32. ⑤
33. ①
별의 밝기는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다.
34. ②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다를 경우는 달의 모든 부분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35. ③
달은 약 27.3일에 한 바퀴씩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
36. ④
보름달은 해가 진 후 동쪽 하늘에 떠 오른다.
37. ①
초승달이 서쪽 하늘에 왔을 때 해가 진다.
38. ④
물체의 온도와 색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별은 전등의 필라멘트나 전기 난로, 숯불과는 다르지만 역시 온도가 올라갈수록 붉은색에서 주황색, 노란색, 휜색, 푸른색의 순서로 변하는 사실이 밝혀졌다.
39. ④
별의 색깔은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40. ③
41. 암흑성운
42. ②
43. ⑤
1등성은 5등성보다 40배 더 밝으므로 5등성의 별 40개가 모여야 한다.
44. ⑤
별을 같은 거리에 놓고 실제 밝기를 비교한 것은 절대 등급이다.
45. ①
실시 등급은 거리와 관계 없는 겉보기 밝기를 나타내고, 절대 등급은 실제 밝기를 나타낸다. 또한 별의 온도는 푸른색>백색>황백색>황색의 순이다.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이내의 별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밖의 별
46. ②
47. D
48. ②
카펠라는 10pc보다 멀리 떨어진 별이며, 베가와 알테어는 10pc보다 가까운 별이다.
49. ④
50. ①
별 A는 연주 시차가 0.1″이므로 10pc인 곳에 위치한 별이고, 별 B는 연주 시차가 0.01″이므로 100pc인 곳에 위치한 별이다. 별 B를 10pc인 곳에 가져오면 밝기가 102배 증가하므로 절대 등급은 0등급이 된다. 따라서, 두 별은 같은 밝기의 별이다.
51. ⑤
달은 서→동으로 공전하며, 지구 자전 방향과 같다.
52. 항성월, 27.3일
달이 별을 기준으로 서→동으로 하루에 약 13°씩 옮겨가서 처음 위치 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27.3일이며, 이 주기를 항성월이라 한다.
53. ①
달의 모양을 기준으로 한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9.5일로, 항성월과 2.2일 차이가 나며, 이 주기를 삭망월이라 한다.
54. ④
B 위치에서 달은 상현과 망 사이이다.
55. ⑤
발광 성운은 중심에 있는 밝은 별들로부터 나오는 빛을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으로 오리온 대성운, 삼렬 성운 등이 있다.
56. ①
57. ②
58. ③
59. ④
60. ④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밝은 별이고, 온도가 낮을수록 붉은색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