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관식 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 교우
③ 明白 : 명일④ 友情 : 우정
⑤ 光明 : 광명
21. 다음 중 만들어진 방법이 다른 하나는 ? (건대사대부속, 고명)
① 友② 好
③ 東④ 末
⑤ 信
22. 다음 중 상대자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 (영등포, 광명여)
① 長短② 山中
③ 天地④ 上下
⑤ 山川
23. 자전에서 찾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글자는 ? (동신, 명일여)
① 月② 天
③ 馬④ 牛
⑤ 貝
24. 다음 중 음이 서로 같지 않은 것은 ? (영훈, 상원)
① 水 … 川② 右 … 宇
③ 九 … 久④ 少 … 小
⑤ 一 … 日
25. 다음 중 한자와 뜻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원촌, 경원)
① 見 : 조개② 馬 : 말
③ 目 : 달④ 牛 : 개
⑤ 月 : 해
26. 밑줄 친 부분에 ‘牛’를 넣어서 어색한 것은 ? (서울사대부속, 자양)
① 그에게 그런 말을 하는 것은 우이독경과 같다.
② 예전에는 우마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③ 우피는 장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④ 우리는 어디로 갈지 몰라 우왕좌왕하였다.
⑤ 청소년기에는 우유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27.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 (둔촌, 봉은)
① 木 :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② 川 : 필순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③ 目 : 뜻이 ‘눈’이다.
④ 上 :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⑤ 林 : 나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28. 독음이 틀린 것은 ? (오주, 상일여)
① 年中 : 연중② 明年 : 명연
③ 末年 : 말년④ 東明 : 동명
⑤ 相信 : 상신
29. 다음 아래의 내용과 가장 관련이 깊은 한자는 ? (선덕, 고덕)
신앙 종교 진실 의리
① 信② 情
③ 交④ 公
⑤ 文
30. 한자 ‘明’과 ‘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개원, 광명)
① 음이 같다.② 뜻이 같다.
③ 부수가 같다.④ 총획수가 9획이다.
⑤ 만들어진 방법이 같다.
31. ‘손과 발’이라는 뜻 이외에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사람’이라는 뜻의 한자어는 ? (가락, 배재)
① 人間② 手足
③ 老少④ 男女
⑤ 心身
32.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 (대림, 서라벌)
① 난 어제 心身 수련회에 다녀왔어.
② 넌 男女 평등도 모르니?
③ 남의 耳目도 생각해서 행동하렴.
④ 사람은 人心을 잃으면 안 된단다!
⑤ 人門이야말로 만물의 영장이지.
3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한자가 틀린 것은 ? (강동, 구룡)
①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다.―人
② 내 마음은 호수와 같이 맑다.―心
③ 사람들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여라!―耳
④ 아버지와 손을 잡고 걷던 돌담길.―毛
⑤ 집에 들어가면 발을 씻어야 한다.―足
핵심기출문제 ………
1. ③
③은 자연 사물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⑤
한자의 짜임
밭(田)에서 힘(力)써 일하는 사람, 곧 사내라는 뜻
3. ②
한자의 부수
상형 문자는 대부분 제부수 글자이다.
4. ①
수식 관계와 병렬 관계의 구별
5. ④
①, ②, ③, ④ ― 제부수자
⑤ ― 土
6. ③
日 해
날
7. ⑤ 8. ① 9. ③
10. ②
‘천’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들
川 : 내 천
天 : 하늘 천
千 : 일천 천
11. ③
지사자
12. ②
明 : 밝을 명
白 : 흰 백, 밝을 백
13. ⑤
休 : 人+木好 : 女+子
東 : 木+日林 : 木+木
明 : 日+月
14. ②
歲 : 해 세
年 : 해 년
15. ⑤
16. ④
17. ①
友 : 왼손과 오른손이 결합된 한자
18. ③
해(日)+달(月)
19. ②
明年=來年
20. ③
白 : 밝을 백, 흰 백
21. ④
지사자
22. ②
‘상대자’란 서로 대립이 되는 뜻을 지닌 한자를 말한다.
23. ②
자전을 찾을 때는 일반적으로 부수를 이용하여 찾는 것이 원칙이다.
24. ①
25. ②
26. ④
‘우’라는 음을 가진 한자들
牛 : 소 우
友 : 벗 우
右 : 오른 우
27. ⑤
林 : 木+木(회의자)
28. ②
年中(연중)
年
明年(명년)
29. ①
모두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다.
30. ⑤
둘다 회의자
31. ②
수족처럼 부리다.
32. ⑤
門 문 (문)
間 사이 (간)
33. ④
1. ‘일정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라는 뜻이 되도록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당산, 연희여)
人
2. ‘사람의 말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대림, 서라벌)
3. ‘不足’에서 ‘足’의 뜻을 쓰시오. (강동, 구룡)
4. ‘魚’의 부수와 총획수는 ? (당산, 연희여)
5.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써 보시오. (노원, 배재)
“우리 나라는 산천이 아름다운 금수강산이다.”
6.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대원, 서연)
友情은 사랑을 받게 되는 것보다는 사랑하는 곳에 있다.
7. 다음을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남서울, 구정)
(1) 사람 ㉠ 口
(2) 입 ㉡ 人
(3) 눈 ㉢ 耳
(4) 귀 ㉣ 目
8. ‘자기의 몸’이라는 뜻이 되도록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대치, 광장)
너 을 알라!
9. ‘나무 사이로 해가 떠오른다’는 뜻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금란여, 배명)
10. 다음 글에서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동덕여, 서울여)
작은 것이 높이 떠서 만물을 다 비취니,
밤중의 光明이 너만한 것이 또 있느냐.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벗인가 하노라.
―윤선도의 ‘오우가’에서―
※ (11~12)다음 아래에서 알맞은 한자를 찾아 번호를 쓰시오.
① 目 ② 日 ③ 耳 ④ 口 ⑤ 足
11. 사람의 귀 (동북, 영동)
12. 사람의 입 (경희여, 구정)
13. ‘好’가 만들어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둔촌, 선화예술)
14. ‘사람이 나무 그늘에서 쉰다.’는 뜻을 가진 한자를 쓰시오. (광명, 배재)
15. 일주일의 요일(7개)을 한자로 써 보시오. (문광여, 한양)
주관식 기출문제
1. 口
2. 信
3. 넉넉하다.
4. 魚, 11획
5. 山川
6. 우정
7. (1) ㉡ (2) ㉠ (3) ㉣ (4) ㉢
8. 自身
9. 東
10. 광명
11. ③
12. ④
13. (회의자) 女+子→好 : 여자가 아기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
14. 休
15. 日, 月, 火, 水, 木, 金, 土
③ 明白 : 명일④ 友情 : 우정
⑤ 光明 : 광명
21. 다음 중 만들어진 방법이 다른 하나는 ? (건대사대부속, 고명)
① 友② 好
③ 東④ 末
⑤ 信
22. 다음 중 상대자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 (영등포, 광명여)
① 長短② 山中
③ 天地④ 上下
⑤ 山川
23. 자전에서 찾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글자는 ? (동신, 명일여)
① 月② 天
③ 馬④ 牛
⑤ 貝
24. 다음 중 음이 서로 같지 않은 것은 ? (영훈, 상원)
① 水 … 川② 右 … 宇
③ 九 … 久④ 少 … 小
⑤ 一 … 日
25. 다음 중 한자와 뜻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원촌, 경원)
① 見 : 조개② 馬 : 말
③ 目 : 달④ 牛 : 개
⑤ 月 : 해
26. 밑줄 친 부분에 ‘牛’를 넣어서 어색한 것은 ? (서울사대부속, 자양)
① 그에게 그런 말을 하는 것은 우이독경과 같다.
② 예전에는 우마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③ 우피는 장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④ 우리는 어디로 갈지 몰라 우왕좌왕하였다.
⑤ 청소년기에는 우유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27. 다음 중 설명이 틀린 것은 ? (둔촌, 봉은)
① 木 :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② 川 : 필순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③ 目 : 뜻이 ‘눈’이다.
④ 上 :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⑤ 林 : 나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28. 독음이 틀린 것은 ? (오주, 상일여)
① 年中 : 연중② 明年 : 명연
③ 末年 : 말년④ 東明 : 동명
⑤ 相信 : 상신
29. 다음 아래의 내용과 가장 관련이 깊은 한자는 ? (선덕, 고덕)
신앙 종교 진실 의리
① 信② 情
③ 交④ 公
⑤ 文
30. 한자 ‘明’과 ‘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개원, 광명)
① 음이 같다.② 뜻이 같다.
③ 부수가 같다.④ 총획수가 9획이다.
⑤ 만들어진 방법이 같다.
31. ‘손과 발’이라는 뜻 이외에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사람’이라는 뜻의 한자어는 ? (가락, 배재)
① 人間② 手足
③ 老少④ 男女
⑤ 心身
32.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 (대림, 서라벌)
① 난 어제 心身 수련회에 다녀왔어.
② 넌 男女 평등도 모르니?
③ 남의 耳目도 생각해서 행동하렴.
④ 사람은 人心을 잃으면 안 된단다!
⑤ 人門이야말로 만물의 영장이지.
3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한자가 틀린 것은 ? (강동, 구룡)
①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다.―人
② 내 마음은 호수와 같이 맑다.―心
③ 사람들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여라!―耳
④ 아버지와 손을 잡고 걷던 돌담길.―毛
⑤ 집에 들어가면 발을 씻어야 한다.―足
핵심기출문제 ………
1. ③
③은 자연 사물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⑤
한자의 짜임
밭(田)에서 힘(力)써 일하는 사람, 곧 사내라는 뜻
3. ②
한자의 부수
상형 문자는 대부분 제부수 글자이다.
4. ①
수식 관계와 병렬 관계의 구별
5. ④
①, ②, ③, ④ ― 제부수자
⑤ ― 土
6. ③
日 해
날
7. ⑤ 8. ① 9. ③
10. ②
‘천’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들
川 : 내 천
天 : 하늘 천
千 : 일천 천
11. ③
지사자
12. ②
明 : 밝을 명
白 : 흰 백, 밝을 백
13. ⑤
休 : 人+木好 : 女+子
東 : 木+日林 : 木+木
明 : 日+月
14. ②
歲 : 해 세
年 : 해 년
15. ⑤
16. ④
17. ①
友 : 왼손과 오른손이 결합된 한자
18. ③
해(日)+달(月)
19. ②
明年=來年
20. ③
白 : 밝을 백, 흰 백
21. ④
지사자
22. ②
‘상대자’란 서로 대립이 되는 뜻을 지닌 한자를 말한다.
23. ②
자전을 찾을 때는 일반적으로 부수를 이용하여 찾는 것이 원칙이다.
24. ①
25. ②
26. ④
‘우’라는 음을 가진 한자들
牛 : 소 우
友 : 벗 우
右 : 오른 우
27. ⑤
林 : 木+木(회의자)
28. ②
年中(연중)
年
明年(명년)
29. ①
모두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다.
30. ⑤
둘다 회의자
31. ②
수족처럼 부리다.
32. ⑤
門 문 (문)
間 사이 (간)
33. ④
1. ‘일정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라는 뜻이 되도록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당산, 연희여)
人
2. ‘사람의 말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대림, 서라벌)
3. ‘不足’에서 ‘足’의 뜻을 쓰시오. (강동, 구룡)
4. ‘魚’의 부수와 총획수는 ? (당산, 연희여)
5.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써 보시오. (노원, 배재)
“우리 나라는 산천이 아름다운 금수강산이다.”
6.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대원, 서연)
友情은 사랑을 받게 되는 것보다는 사랑하는 곳에 있다.
7. 다음을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남서울, 구정)
(1) 사람 ㉠ 口
(2) 입 ㉡ 人
(3) 눈 ㉢ 耳
(4) 귀 ㉣ 目
8. ‘자기의 몸’이라는 뜻이 되도록 빈 칸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대치, 광장)
너 을 알라!
9. ‘나무 사이로 해가 떠오른다’는 뜻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금란여, 배명)
10. 다음 글에서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동덕여, 서울여)
작은 것이 높이 떠서 만물을 다 비취니,
밤중의 光明이 너만한 것이 또 있느냐.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벗인가 하노라.
―윤선도의 ‘오우가’에서―
※ (11~12)다음 아래에서 알맞은 한자를 찾아 번호를 쓰시오.
① 目 ② 日 ③ 耳 ④ 口 ⑤ 足
11. 사람의 귀 (동북, 영동)
12. 사람의 입 (경희여, 구정)
13. ‘好’가 만들어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둔촌, 선화예술)
14. ‘사람이 나무 그늘에서 쉰다.’는 뜻을 가진 한자를 쓰시오. (광명, 배재)
15. 일주일의 요일(7개)을 한자로 써 보시오. (문광여, 한양)
주관식 기출문제
1. 口
2. 信
3. 넉넉하다.
4. 魚, 11획
5. 山川
6. 우정
7. (1) ㉡ (2) ㉠ (3) ㉣ (4) ㉢
8. 自身
9. 東
10. 광명
11. ③
12. ④
13. (회의자) 女+子→好 : 여자가 아기를 안고 ‘좋아한다.’는 뜻
14. 休
15. 日, 月, 火, 水, 木, 金, 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