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객관식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도 (광장, 청담)
② 정면도
③ 우측면도
④ 좌측면도
⑤ 표제란
69. 다음 도면을 보고 바르게 설명한 것은 ? (반포, 한산)
① 스위치는 7개이다.
② 콘센트는 9곳에 설치된다.
③ 백열등은 5곳에 설치된다.
④ 전선의 종류는 2가지이다.
⑤ 전선은 모두 2가닥으로 되어 있다.
70. 주택의 전기 배선도에 사용되는 기호 중 백열 전구를 나타내는 것은 ? (휘문, 오산)
71. 주택의 건축 도면에 사용되는 기호와 용도로 바른 것은 ? (한영, 한강)
72. 오른쪽은 어떤 물체의 윤곽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먼저 긋는 선은 ? (휘문, 남대문)
① ㉠
② ㉡
③ ㉢
④ ㉣
⑤ ㉤
73.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상계, 남서울)
① 척도
② 도면 번호
③ 제도일
④ 물체의 재료
⑤ 제도한 사람
74. 다음 중 주택의 평면도에 나타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한영, 옥정)
① 방의 크기
② 조명 기구의 종류
③ 벽체의 구조
④ 창문의 설치 위치
⑤ 가구의 배치 위치
객관식기출문제
1. ④
주택의 평면도는 각 방의 위치와 종류, 벽체의 구조, 재료 등이 나타나 있다.
2. ②
창문의 기호는 벽면 표시와 함께 나타난다.
3. ⑤
4. ②
제품을 구상하여 만들 때에는 기능, 구조, 재료, 크기, 가공, 상품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5. ②
도면을 그릴 때에는 가장 먼저 윤곽선과 표제란을 그려야 한다.
6. ①
제도에 앞서 결정해야 할 사항은 척도, 투상면의 선택, 제도 용지의 크기 등이다.
7. ③
표제란에는 도면을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 등을 기입한다.
8. ③
소점을 잡고 투상도의 각 모서리로 연결하여 그리는 방법이다.
9. ⑤
선을 등분할 때에도 사용한다.
10. ①
11. ①
투상면 선택, 제도 용지 크기, 척도 등을 제도하기 전에 결정해야 한다.
12. ③
13. ③
도면에서 단위는 mm를 사용하며, 생략한다.
14. ⑤
정면도는 물체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부분을 선택한다.
15. ③
16. ④
방으로 통하는 문은 외여닫이문, 방에는 네짝 미세기창이, 현관문은 쌍여닫이문이 있다.
17. ③
주택의 평면도에는 방의 위치와 크기,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와 종류 및 벽체의 구조, 가구나 설비의 배치 등을 나타낸다.
18. ②
주택의 전기 배선도에 나타나는 것은 조명 기구의 종류와 용량, 스위치와 콘센트의 위치, 전선의 굵기, 배선의 연결 상태 등이다.
19. ⑤
20. ④
T자는 수평선을 그을 때나 삼각자의 안내 역할을 할 때, 삼각자는 T자와 함께 수직선이나 빗금을 그을 때, 디바이더는 선을 등분하거나 치수를 옮길 때 사용한다.
21. ④
A1 용지는 A0 용지를 반으로 접은 것이다.
22. ①
23. ④
해칭선은 도면을 그릴 때 절단 부분을 나타내는 선이다.
24. ④
: 지름을, □ : 정사각형의 한 변을, R : 반지름을, S :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25. ④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R이며, 길이의 단위는 mm이지만, 단위는 붙이지 않는다.
26. ③
①은 개폐기를, ②는 전력량계를, ③은 텔레비전을, ④는 전동기를, ⑤는 형광등을 나타낸다.
27. ⑤
주택의 평면도에는 건물의 넓이, 방거실부엌 등의 배차의 크기, 출입문창문 등의 위치와 종류, 벽의 구조, 각종 설비의 위치와 구조 등이 표시되어 있다.
28. ②
29. ④
제품의 가격은 판매에 관한 정보이다.
30. ③
윤곽선과 표제란 윗선 사이를 가로 기준선 그을 때와 같은 방법으로 나누어 세로 기준선을 긋는다.
31. ⑤
바닥면으로부터 1.0m 높이를 수평으로 절단한 모양을 내려다 본 것을 그린 도면이다.
32. (1)④ 그림(2)② 그림
(3) ①
거실과 부엌 사이에 망사문이 있다.
(4) ⑤
주택의 평면도를 보고 방위를 정한다.
33. ②
수납장 : 물건을 넣어 두기 위해 방안에 고정시켜 짜놓은 작은 장이다.
34. ④
어떤 제품을 만들기로 결정하였을 때, 생각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단계이다.
35. ⑤
제작도란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겨진 도면이다.
36. ①
도면을 축척이나 배척으로 그렸더라도 치수는 실제 치수를 기입한다.
37. ④
평면도는 정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린다.
38. ①
선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리기 전 단계이다.
39. ②
원으로 나타낼 부분의 기준선은 중심선이다.
40. ④
41. ⑤
테두리선을 가장 먼저 긋는다.
42. ②
배전반에는 자동 차단기, 커버 나이프 스위치 등이 들어 있다.
43. ②
44. ⑤
45. ③
46. ②
47. ③
도면을 배치할 때에는 치수를 기입할 여백, 표제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48. ④
원 및 호와 직선을 잇는 경우 먼저 그려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49. ②
각 부품의 번호, 이름, 재질, 수량 등은 부품표에 나타낸다.
50. ⑤
51. ③
52. ④
53. ①
제도를 할 때에는 도면의 크기에 따라서 물체의 모양을 알맞은 크기로 나타내야 한다.
54. ③
도면을 읽을 때에는 물체의 모양, 도면의 목적을 파악하고 선의 용도, 기호 등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55. ③
56. ③
57. ⑤
58. ⑤
주택 평면도와 전기 배선도의 차이점을 알아야한다.
59. ①
창문과 출입문을 표시할 때 벽면 표시를 하지 않은 것은 출입문 기호이다.
60. ②
61. ④
[62~63] 방2 : 외여닫이문, 두짝미세기창, 방3 : 두짝미세기문,
네짝미세기창, 현관 : 외여닫이문, 부엌 : 외여닫이문, 두짝미세기창
62. ③
63. 5개
[64~65] 전기 배선도에서는 조명 기구의 종류와 용량, 스위치와
콘센트의 위치, 배선용 전선의 굵기 등이 나타나 있다.
64. ②
65. 3종류
66. ②
제작도에는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나타나 있다.
67. ⑤
기준선은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등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긋는다.
68. ②
입화면에 나타낸 그림을 가장 먼저 그린다.
69. ③
70. ⑤
71. ④
72. ②
73. ④
74. ②
② 정면도
③ 우측면도
④ 좌측면도
⑤ 표제란
69. 다음 도면을 보고 바르게 설명한 것은 ? (반포, 한산)
① 스위치는 7개이다.
② 콘센트는 9곳에 설치된다.
③ 백열등은 5곳에 설치된다.
④ 전선의 종류는 2가지이다.
⑤ 전선은 모두 2가닥으로 되어 있다.
70. 주택의 전기 배선도에 사용되는 기호 중 백열 전구를 나타내는 것은 ? (휘문, 오산)
71. 주택의 건축 도면에 사용되는 기호와 용도로 바른 것은 ? (한영, 한강)
72. 오른쪽은 어떤 물체의 윤곽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먼저 긋는 선은 ? (휘문, 남대문)
① ㉠
② ㉡
③ ㉢
④ ㉣
⑤ ㉤
73.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상계, 남서울)
① 척도
② 도면 번호
③ 제도일
④ 물체의 재료
⑤ 제도한 사람
74. 다음 중 주택의 평면도에 나타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한영, 옥정)
① 방의 크기
② 조명 기구의 종류
③ 벽체의 구조
④ 창문의 설치 위치
⑤ 가구의 배치 위치
객관식기출문제
1. ④
주택의 평면도는 각 방의 위치와 종류, 벽체의 구조, 재료 등이 나타나 있다.
2. ②
창문의 기호는 벽면 표시와 함께 나타난다.
3. ⑤
4. ②
제품을 구상하여 만들 때에는 기능, 구조, 재료, 크기, 가공, 상품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5. ②
도면을 그릴 때에는 가장 먼저 윤곽선과 표제란을 그려야 한다.
6. ①
제도에 앞서 결정해야 할 사항은 척도, 투상면의 선택, 제도 용지의 크기 등이다.
7. ③
표제란에는 도면을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 등을 기입한다.
8. ③
소점을 잡고 투상도의 각 모서리로 연결하여 그리는 방법이다.
9. ⑤
선을 등분할 때에도 사용한다.
10. ①
11. ①
투상면 선택, 제도 용지 크기, 척도 등을 제도하기 전에 결정해야 한다.
12. ③
13. ③
도면에서 단위는 mm를 사용하며, 생략한다.
14. ⑤
정면도는 물체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부분을 선택한다.
15. ③
16. ④
방으로 통하는 문은 외여닫이문, 방에는 네짝 미세기창이, 현관문은 쌍여닫이문이 있다.
17. ③
주택의 평면도에는 방의 위치와 크기, 출입문과 창문의 위치와 종류 및 벽체의 구조, 가구나 설비의 배치 등을 나타낸다.
18. ②
주택의 전기 배선도에 나타나는 것은 조명 기구의 종류와 용량, 스위치와 콘센트의 위치, 전선의 굵기, 배선의 연결 상태 등이다.
19. ⑤
20. ④
T자는 수평선을 그을 때나 삼각자의 안내 역할을 할 때, 삼각자는 T자와 함께 수직선이나 빗금을 그을 때, 디바이더는 선을 등분하거나 치수를 옮길 때 사용한다.
21. ④
A1 용지는 A0 용지를 반으로 접은 것이다.
22. ①
23. ④
해칭선은 도면을 그릴 때 절단 부분을 나타내는 선이다.
24. ④
: 지름을, □ : 정사각형의 한 변을, R : 반지름을, S :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25. ④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R이며, 길이의 단위는 mm이지만, 단위는 붙이지 않는다.
26. ③
①은 개폐기를, ②는 전력량계를, ③은 텔레비전을, ④는 전동기를, ⑤는 형광등을 나타낸다.
27. ⑤
주택의 평면도에는 건물의 넓이, 방거실부엌 등의 배차의 크기, 출입문창문 등의 위치와 종류, 벽의 구조, 각종 설비의 위치와 구조 등이 표시되어 있다.
28. ②
29. ④
제품의 가격은 판매에 관한 정보이다.
30. ③
윤곽선과 표제란 윗선 사이를 가로 기준선 그을 때와 같은 방법으로 나누어 세로 기준선을 긋는다.
31. ⑤
바닥면으로부터 1.0m 높이를 수평으로 절단한 모양을 내려다 본 것을 그린 도면이다.
32. (1)④ 그림(2)② 그림
(3) ①
거실과 부엌 사이에 망사문이 있다.
(4) ⑤
주택의 평면도를 보고 방위를 정한다.
33. ②
수납장 : 물건을 넣어 두기 위해 방안에 고정시켜 짜놓은 작은 장이다.
34. ④
어떤 제품을 만들기로 결정하였을 때, 생각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단계이다.
35. ⑤
제작도란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겨진 도면이다.
36. ①
도면을 축척이나 배척으로 그렸더라도 치수는 실제 치수를 기입한다.
37. ④
평면도는 정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린다.
38. ①
선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리기 전 단계이다.
39. ②
원으로 나타낼 부분의 기준선은 중심선이다.
40. ④
41. ⑤
테두리선을 가장 먼저 긋는다.
42. ②
배전반에는 자동 차단기, 커버 나이프 스위치 등이 들어 있다.
43. ②
44. ⑤
45. ③
46. ②
47. ③
도면을 배치할 때에는 치수를 기입할 여백, 표제란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48. ④
원 및 호와 직선을 잇는 경우 먼저 그려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49. ②
각 부품의 번호, 이름, 재질, 수량 등은 부품표에 나타낸다.
50. ⑤
51. ③
52. ④
53. ①
제도를 할 때에는 도면의 크기에 따라서 물체의 모양을 알맞은 크기로 나타내야 한다.
54. ③
도면을 읽을 때에는 물체의 모양, 도면의 목적을 파악하고 선의 용도, 기호 등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55. ③
56. ③
57. ⑤
58. ⑤
주택 평면도와 전기 배선도의 차이점을 알아야한다.
59. ①
창문과 출입문을 표시할 때 벽면 표시를 하지 않은 것은 출입문 기호이다.
60. ②
61. ④
[62~63] 방2 : 외여닫이문, 두짝미세기창, 방3 : 두짝미세기문,
네짝미세기창, 현관 : 외여닫이문, 부엌 : 외여닫이문, 두짝미세기창
62. ③
63. 5개
[64~65] 전기 배선도에서는 조명 기구의 종류와 용량, 스위치와
콘센트의 위치, 배선용 전선의 굵기 등이 나타나 있다.
64. ②
65. 3종류
66. ②
제작도에는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나타나 있다.
67. ⑤
기준선은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등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긋는다.
68. ②
입화면에 나타낸 그림을 가장 먼저 그린다.
69. ③
70. ⑤
71. ④
72. ②
73. ④
74.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