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2 상태 변화에 따른 분자 운동
2 상태 변화에 따른 분자 운동
본문내용
질을 가열했을 때 나타나는 그래프로 옳은 것은? ②
▶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 중 상태 변화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는 경우는? ②
①에탄올을 묻힌 솜으로 손등을 닦으면 시원해진다.
▶
②과일이 얼지 않도록 물을 그릇에 담아 과일 저장 창고에 보관하였다.
③음료수에 얼음을 넣었더니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수가 더욱 시원해졌다.
④고대 이집트인들은 시원한 물을 얻기 위해 굽지 않은 흙그릇을 이용하였다.
⑤깡통 속의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아세톤을 묻힌 솜으로 깡통 표면을 닦아 주었다.
① 기화열 ② 응고열 ③ 융해열 ④ 기화열 ⑤ 기화열
열 흡수 : 융해, 기화, 승화(고체→기체)
열 방출 : 응고, 액화, 승화(기체→고체)
※얼음 조각으로 반쯤 채운 시험관을 20℃의 물이 담긴 비커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얼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났다.(34~35)
[얼음의 상태 변화] ★★
위 실험에서 20℃의 물은 얼음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가? ④
①얼음의 열을 흡수하여 얼음을 녹였다.
②물이 열을 흡수하여 얼음으로 변했다.
③물이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졌다.
▶
④물의 열이 얼음으로 이동하여 얼음을 녹였다.
⑤얼음의 열을 방출하게 하여 얼음의 온도를 내렸다.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얼음의 상태 변화]
(나) 구간에서 온도가 변하지 않는 이유를 쓰시오.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흡수한 열이 상태변화에 쓰이기 때문에
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흡수한 열이 상태변화에 쓰이기 때문에
[냉장고의 구조]
다음 그림은 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의 냉장고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①A에서 기화, B에서는 액화가 일어난다.
②냉매인 a는 액체 상태, b는 기체 상태이다.
▶
③A에서는 열을 방출하고 B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④A는 냉장고 안에, B는 냉장고 밖에 설치되어 있다.
⑤냉장고는 냉매가 기화할 때 주변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증발기 A에서는 기화가 일어나면서 열을 흡수하므로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고 응축기 B에서는 액화가 일어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므로 냉장고 뒤에서는 뜨거운 열이 방출한다.
상태 변화에 따른 분자 운동
[세 가지 상태 변화] ★★
다음 그림 (가)~(다)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나타낸 분자 모형이다. 상태 변화할 때 열을 방출하는 경우를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 ㉣, ㉤
(가) (나) (다)
㉠ (가) → (나)㉡ (가) → (다)㉢ (나) → (가)
㉣ (나) → (다)㉤ (다) → (가)㉥ (다) → (나)
액화(기체→액체), 응고(액체→고체) 승화(기체→고체)가 일어날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
㉢, ㉣, ㉤
.
[분자 운동의 모형] ★★
다음 그래프는 어떤 고체 물질을 가열하면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A~D에 알맞은 분자 운동의 모형을 <보기>에서 각각 고르시오. A : ㉢ B : ㉣
C : ㉠ D : ㉡
A는 고체, B는 고체+액체, C는 액체, D는 액체+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보기>의 ㉠은 액체 모형, ㉡은 액체+기체 모형, ㉢은 고체 모형, ㉣은 고체+액체 모형을 나타낸다
A : ㉢ B : ㉣ C : ㉠ D : ㉡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 그림은 물질의 상태 변화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A B
①부피 작아진다 커진다.
②질량 변화 없다 변화 없다.
③열에너지 방출 흡수
④상태 변화 액화 기화
▶
⑤분자 사이의 인력 작아진다 커진다.
A는 액화, B는 기화를 나타낸다. 액화가 일어날 때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커지고, 기화가 일어날 때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작아진다.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은 여러 가지 상태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흘러내리던 촛농이 굳었다.
추운 겨울에 유리창에 성에가 생겼다.
얼음물이 든 컵 주위에 물방울이 맺혔다.
위 상태 변화와 공통된 특징이 아닌 것은? ③
①열이 방출된다.
②냉각시킬 때 일어난다.
▶
③분자 운동이 빨라진다.
④분자 사이에 인력이 커진다.
⑤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응고, 승화(기체→고체), 액화가 일어난 예로, 이 때는 모두 열을 방출하고 분자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며 인력이 강해져 분자 운동이 느려진다.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은 여러 가지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개는 더운 여름에 입을 벌리고 숨을 쉰다.
음료수 병을 물에 적신 수건으로 감아 둔다.
땀을 닦지 않고 선풍기 바람을 쐬면 더 시원하다.
위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상태 변화의 과정을 다음 그림에서 고르시오. B
주어진 현상들은 액체가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체로 변할 때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는 기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왼쪽 그림부터 고체, 액체, 기체의 분자 배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융해, B는 기화, C는 응고, D는 액화를 나타낸다.
B
[물질의 상태 변화] ★★★
100℃의 물이 100℃의 수증기로 되기 위해서는 많은 열을 흡수해야 한다. 다음 중 이 열이 사용되는 곳이 아닌 것은? ④
①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②물 분자 사이의 인력을 끊는 데 사용한다.
③수증기로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데 사용한다.
▶
④수증기로 되면서 분자의 질량이 커지는 데 사용된다.
⑤수증기로 되면서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데 사용된다.
물이 수증기로 상태 변화할 때 흡수한 열은 물 분자 사이의 인력을 끊어서 부피가 커지고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데 사용한다.
[분자 모형] ★★
다음 그림은 물질을 이루는 분자들의 상태에 따른 분자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가)는 제자리에서만 운동한다.
②분자 사이의 인력이 가장 큰 것은 (가)이다.
③(다)는 (나)보다 열에너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
▶
④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나)이다.
⑤(다)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분자 사이의 거리 : 고체<액체<기체 순으로 멀어진다.
분자가 가지는 열에너지 : 고체<액체<기체 순으로 증가한다.
▶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 중 상태 변화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는 경우는? ②
①에탄올을 묻힌 솜으로 손등을 닦으면 시원해진다.
▶
②과일이 얼지 않도록 물을 그릇에 담아 과일 저장 창고에 보관하였다.
③음료수에 얼음을 넣었더니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수가 더욱 시원해졌다.
④고대 이집트인들은 시원한 물을 얻기 위해 굽지 않은 흙그릇을 이용하였다.
⑤깡통 속의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아세톤을 묻힌 솜으로 깡통 표면을 닦아 주었다.
① 기화열 ② 응고열 ③ 융해열 ④ 기화열 ⑤ 기화열
열 흡수 : 융해, 기화, 승화(고체→기체)
열 방출 : 응고, 액화, 승화(기체→고체)
※얼음 조각으로 반쯤 채운 시험관을 20℃의 물이 담긴 비커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얼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났다.(34~35)
[얼음의 상태 변화] ★★
위 실험에서 20℃의 물은 얼음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가? ④
①얼음의 열을 흡수하여 얼음을 녹였다.
②물이 열을 흡수하여 얼음으로 변했다.
③물이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졌다.
▶
④물의 열이 얼음으로 이동하여 얼음을 녹였다.
⑤얼음의 열을 방출하게 하여 얼음의 온도를 내렸다.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얼음의 상태 변화]
(나) 구간에서 온도가 변하지 않는 이유를 쓰시오.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흡수한 열이 상태변화에 쓰이기 때문에
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흡수한 열이 상태변화에 쓰이기 때문에
[냉장고의 구조]
다음 그림은 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의 냉장고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①A에서 기화, B에서는 액화가 일어난다.
②냉매인 a는 액체 상태, b는 기체 상태이다.
▶
③A에서는 열을 방출하고 B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④A는 냉장고 안에, B는 냉장고 밖에 설치되어 있다.
⑤냉장고는 냉매가 기화할 때 주변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증발기 A에서는 기화가 일어나면서 열을 흡수하므로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고 응축기 B에서는 액화가 일어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므로 냉장고 뒤에서는 뜨거운 열이 방출한다.
상태 변화에 따른 분자 운동
[세 가지 상태 변화] ★★
다음 그림 (가)~(다)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나타낸 분자 모형이다. 상태 변화할 때 열을 방출하는 경우를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 ㉣, ㉤
(가) (나) (다)
㉠ (가) → (나)㉡ (가) → (다)㉢ (나) → (가)
㉣ (나) → (다)㉤ (다) → (가)㉥ (다) → (나)
액화(기체→액체), 응고(액체→고체) 승화(기체→고체)가 일어날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
㉢, ㉣, ㉤
.
[분자 운동의 모형] ★★
다음 그래프는 어떤 고체 물질을 가열하면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A~D에 알맞은 분자 운동의 모형을 <보기>에서 각각 고르시오. A : ㉢ B : ㉣
C : ㉠ D : ㉡
A는 고체, B는 고체+액체, C는 액체, D는 액체+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보기>의 ㉠은 액체 모형, ㉡은 액체+기체 모형, ㉢은 고체 모형, ㉣은 고체+액체 모형을 나타낸다
A : ㉢ B : ㉣ C : ㉠ D : ㉡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 그림은 물질의 상태 변화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A B
①부피 작아진다 커진다.
②질량 변화 없다 변화 없다.
③열에너지 방출 흡수
④상태 변화 액화 기화
▶
⑤분자 사이의 인력 작아진다 커진다.
A는 액화, B는 기화를 나타낸다. 액화가 일어날 때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커지고, 기화가 일어날 때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작아진다.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은 여러 가지 상태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흘러내리던 촛농이 굳었다.
추운 겨울에 유리창에 성에가 생겼다.
얼음물이 든 컵 주위에 물방울이 맺혔다.
위 상태 변화와 공통된 특징이 아닌 것은? ③
①열이 방출된다.
②냉각시킬 때 일어난다.
▶
③분자 운동이 빨라진다.
④분자 사이에 인력이 커진다.
⑤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응고, 승화(기체→고체), 액화가 일어난 예로, 이 때는 모두 열을 방출하고 분자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며 인력이 강해져 분자 운동이 느려진다.
[물질의 상태 변화] ★★★
다음은 여러 가지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개는 더운 여름에 입을 벌리고 숨을 쉰다.
음료수 병을 물에 적신 수건으로 감아 둔다.
땀을 닦지 않고 선풍기 바람을 쐬면 더 시원하다.
위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상태 변화의 과정을 다음 그림에서 고르시오. B
주어진 현상들은 액체가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체로 변할 때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는 기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왼쪽 그림부터 고체, 액체, 기체의 분자 배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융해, B는 기화, C는 응고, D는 액화를 나타낸다.
B
[물질의 상태 변화] ★★★
100℃의 물이 100℃의 수증기로 되기 위해서는 많은 열을 흡수해야 한다. 다음 중 이 열이 사용되는 곳이 아닌 것은? ④
①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②물 분자 사이의 인력을 끊는 데 사용한다.
③수증기로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데 사용한다.
▶
④수증기로 되면서 분자의 질량이 커지는 데 사용된다.
⑤수증기로 되면서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데 사용된다.
물이 수증기로 상태 변화할 때 흡수한 열은 물 분자 사이의 인력을 끊어서 부피가 커지고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데 사용한다.
[분자 모형] ★★
다음 그림은 물질을 이루는 분자들의 상태에 따른 분자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④
①(가)는 제자리에서만 운동한다.
②분자 사이의 인력이 가장 큰 것은 (가)이다.
③(다)는 (나)보다 열에너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
▶
④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은 (나)이다.
⑤(다)는 분자 사이의 인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분자 사이의 거리 : 고체<액체<기체 순으로 멀어진다.
분자가 가지는 열에너지 : 고체<액체<기체 순으로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