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한문 1-18 동문서답 선견지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핵심내용정리

2. 핵심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짜임이 ‘서술어+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것은 ? (경성, 개포)
① 才能② 能事
③ 年歲④ 治水
⑤ 夫婦
18. 한자의 총획수가 다른 하나는 ? (동북, 천일)
① 事② 助
③ 治④ 來
⑤ 非
19. 부수가 같은 글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동명, 일신여)
① 望-有② 特-扶
③ 最-智④ 閉-問
⑤ 相-樂
20. 다음 한자의 음과 뜻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서일, 배명)
① 在(제) : 있다② 通(송) : 통하다
③ 難(난) : 어렵다④ 由(유) : 있다
⑤ 樂(요) : 즐기다
21. ‘江色’과 짜임이 같은 한자어는 ? (양정, 동덕여)
① 東西② 月白
③ 終末④ 山形
22. ‘江色□猶明’의 □안에 알맞은 자는 ? (강동, 오산)
① 天② 好
③ 紅④ 夜
23. 다음 중 한자의 3요소가 바른 것은 ? (대림여, 서라벌)
① 夜 : 저녁(야)② 景 : 서울(경)
③ 連 : 잇다(련)④ 計 : 셈하다(개)
24. ‘遠’의 상대자로 맞는 것은 ? (풍납여, 신목)
① 近② 進
③ 連④ 霜
25. 부수획수가 바른 것은 ? (마포여, 영도)
① 收(, 3)② 然(火, 8)
③ 風(원문, 7)④ 連(車, 4)
26. 한자의 뜻이 바르지 못한 것은 ? (언북, 과천문원)
① 弟 : 아우② 夫 : 사내
③ 祖 : 할아버지④ : 여동생
⑤ 族 : 겨레
27. □속에 들어갈 한자는 ? (강남여, 선화예술)
曾祖父→祖父→父母→나(자신)→子→□
① 伯父② 弟
③ 妻④ 孫
⑤ 兄
28. 제부수가 아닌 것은 ? (세화여, 휘문)
① 女② 子
③ 父④ 香
⑤ 夫
29. 다음 중 한자가 잘못 쓰인 것은 ? (공릉, 신정여)
① 그는 어제 祖國에 돌아왔다.
② 우리 학교의 校訓은 正直과 協同이다.
③ 저 夫婦는 금실이 좋다.
④ 어제 朝曾 時間에는 校長 선생님의 訓示가 있었다.
⑤ 代代孫孫 물려 줄 이 나라를 깨끗이 보존해야 한다.
30. 다음 중, 한자의 음과 뜻이 잘못된 것은 ? (동덕여, 한영)
① 東-동-동쪽② 卵-란-알
③ 異-이-다르다④ 聲-청-소리
⑤ 夫-부-남자, 남편
31. 다음 중, 제부수 글자로 짝지어진 것은 ? (서라벌, 옥정)
① 甘-東② 生-夫
③ 西-問④ 甘-骨
⑤ 來-口
32. 다음 □에 들어갈 적당한 글자는 ? (성내, 강일)
苦□甘來
① 必② 有
③ 盡④ 死
⑤ 生
33. 다음 □에 들어갈 적당한 글자는 ? (명지여, 숭의여)
答 : 問-生 : □
① 盡② 死
③ 有④ 利
⑤ 同
핵심기출문제 ………
1. ② 2. ①
① 明(밝을 명) ② 燈(등불 등) ① 患(근심 환) ② 知(알 지)
③ 盡(다할 진) ④ 備(갖출 비) ③ 彼(저 피) ④ 敵(상대, 대적할 적)
3. ④ 4. ②
② 苦(괴로울 고) ③ 來(올 래) ① 波(물결 파) ② 登(오를 등)
③ 仁(어질 인) 信(믿을 신) ④ 若(만약 약)
5. ③ 6. ①
① 見(볼 견) ②先(먼저 선) ① 知-矢, 和-口
③ 之(어조사 지) ④ 同(같을 동)
7. ④ 8. ②
有(있을 유)↔無(없을 무) ③ 燈下不明 : 등잔 밑이 어둡다.
9. ③
一石二鳥 : 하나의 돌로 두 마리 새를 잡음.
10. ④
악 : 악기
樂 락 : 즐겁다
요 : 좋아하다
11. ③12. ②
苦(고) 쓰다 若(약) 같다, 만약 漁의 부수는 水
13. ⑤14. ②
고사 성어의 속뜻 ‘一’의 뜻 풀이.
15. ①
美 : 아름답다

未 : 아니다
在 : 있다

才 : 재주
思 : 생각하다

事 : 섬기다
16. ③ 17. ④
扶(부) : 돕다 ① 유사 ② 수식 ③ 유사 ⑤ 대등
助(조) : 돕다
18. ②
①③④⑤-8 획 ②-7 획
19. ①
特(牛), 扶(手), 最(曰), 智(日), 閉(門), 問(口), 相(目), 樂(木)
20. ③
在(재) : 있다 通(통) : 통하다 由(유) : 말미암다
(요) : 좋아하다

(락) : 즐기다
21. ④
한자어의 짜임(수식)
① 동쪽과 서쪽 ② 달이 희다
③ 끝 ④ 산의 모습
22. ④
강의 색깔은 밤에 오히려 밝구나.
23. ③24. ① 25. ②
26. ④
손윗누이와 손아래누이의 한자 형태를 익힐 것.
27. ④28. ⑤
夫 : 大부수, 1획
29. ④
‘曾’와 ‘會’의 다름을 구별할 것.
30. ④
음뜻 알기
31. ④
부수알기
甘-甘, 東-木, 來-人, 骨-骨
32. ③
고통이 다하니 즐거움이 온다.
33. ②
상대자
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과 통하는 한자 성어를 쓰시오. (이수, 방학)
철수는 졸다가 그만 선생님의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해서 교실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2.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대치, 휘문)
音□室. □山□水
3. ‘山形秋更好’의 독음을 쓰시오. (서연, 과천)
4. ‘霜楓向日紅’에서 ‘霜楓’의 뜻을 쓰시오. (숙명여, 아현)
5. ‘언니의 남편’을 한자로 써 보자. (명지, 마포)
6.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4자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선덕, 중앙여)
풀이 : 형이 더 낫다고 하기도 어렵고, 아우가 더 낫다고 하기도 어려움
속뜻 :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함
7.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닌 한자어를 만들 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신천, 신사)
착하고 어진 사람들-□男□女
8. ‘霜楓向日紅’에서 가장 나중에 새기는 한자를 쓰시오. (한영, 하계)
9. ‘遠水連天碧’에서 ‘碧’의 뜻을 쓰시오. (과천문원, 정신여)
10. ‘遠水連天碧’의 새기는 차례대로 번호를 쓰시오. (잠신, 서연)
① ② ③ ④ ⑤
11. 밑줄 친 부분의 독음(讀音)을 쓰시오. (광명, 인수)
그는 영어를 自由自在로 할 수 있는 사람이다.
12. 다음은 앞의 한자(수식어)가 뒤의 한자(피수식어)를 수식하도록 돕는 글자이다. 문맥에 맞추어 ( )를 채워 쓰시오. (대청, 장훈)
先見□明
13. ‘어머니의 남동생의 부인’을 부를 때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한자로 써 보자.
(경성, 상일여)
주관식 기출문제 ………
1. 東問西答
2. 樂
3. 산형추갱호
4. 서리 친 단풍
5. 兄夫
6. 難兄難弟
7. 善
8. 紅
9. 푸르다
10. ① ② ④ ③ ⑤
11. 자유 자재
12. 之
13. 外叔母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