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숙어의 뜻
2. 숙어의 짜임
3. 한자어
4. 핵심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5 주관식 기출문제
6. 해답과 풀이
2. 숙어의 짜임
3. 한자어
4. 핵심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5 주관식 기출문제
6.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 (상명사대부속, 일신여)
□ ↔ 來
① 過② 主
③ 去④ 存
⑤ 失
18. 다음 중, 제자 원리가 ‘鳥’와 같은 것은 ? (아현, 역삼)
① 林② 淸
③ 東④ 自
⑤ 雲
19. 다음 중, ‘수식어+피수식어’의 짜임으로 이루어진 한자는 ?(연희여, 명일여)
① 治水② 資源
③ 不實④ 健康
⑤ 獨立
20.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는 ? (상계, 성내)
□ 活 用 □ 創 造
① 再② 自
③ 買④ 指
⑤ 收
21. 서로 반대의 뜻을 가진 한자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 (아현, 개포)
① 公 : 私② 有 : 無
③ 身 : 仁④ 先 : 後
⑤ 兄 : 弟
22. ‘難’과 어울린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하계, 반포)
① 困難② 苦難
③ 非難④ 難世
⑤ 難忘
23. 다음 뜻을 한자어로 고쳤을 때 틀린 것은 ? (봉영여, 동덕여)
① 매우 바쁨 → 多忘
② 처음과 끝 → 始終
③ 괴로움과 어려움 → 苦難
④ 실제로 일을 해낼 능력 → 實力
⑤ 고향에 돌아가 부모를 뵘 → 歸省
24. ‘주어+서술어’의 짜임으로만 이루어진 숙어는 ? (서라벌, 수서)
① 有名無實② 難兄難弟
③ 苦盡甘來④ 他山之石
⑤ 事必歸正
25. ‘不’의 음이 다르게 읽히는 것은 ? (한양, 방배)
① 不利② 不正
③ 不實④ 不同
⑤ 不足
26. 한자어의 짜임이 서로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 (문창, 수서)
① 品質 … 物價② 商人 … 林業
③ 生産 … 利益④ 賣買 … 不良
⑤ 實力 … 改定
27. 밑줄 친 부분의 뜻을 한자로 쓴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 (양동, 고명)
① 나는 어제 연필을 샀다. (買)
② 시험 때에는 마음을 편안하게 가져라. (安)
③ 약속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지켜야 한다. (約)
④ 요즈음 우리 집은 내부를 고치느라 정신이 없다. (改)
⑤ 꽃이 많이 피어서 경치가 아름답다.(京)
28. 제부수 글자인 것은 ? (하안, 당산)
① 不② 良
③ 品④ 氣
⑤ 生
29. 다음 밑줄 친 한자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목일, 이수)
樂 山 樂 水
① 즐겁다② 기쁘다
③ 좋아하다④ 풍류
⑤ 노닐다
30. 다음 중, ‘世界化’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정의여, 문정)
① 文化交流② 利用厚生
③ 人類平和④ 共存共榮
⑤ 世界市場
31. 다음 중, ‘31운동’과 관계 깊은 것은 ? (동명, 풍납)
① 實學思想② 三國遺事
③ 物價安定④ 廣開土大王
⑤ 獨立運動
32.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바르게 된 것은 ? (중평, 숙명여)
어느 나라든 그 ㉠민족의 ㉡고유한 문화가 있게 마련이다. 그것을 ㉢자손에게 정성껏 ㉣전승할 때 ㉤전통 문화가 이어지는 것이다.
① ㉠ - 人類② ㉡ - 古有
③ ㉢ - 者孫④ ㉣ - 典承
⑤ ㉤ - 傳統文化
33. 다음 중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속담과 관련 있는 숙어는 ?
① 有口無言② 事必歸正 (한강, 문정)
③ 作心三日④ 結草報恩
⑤ 有名無實
34. ‘難兄難弟’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선화예술, 정신여)
①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
② ‘莫上莫下’와 같은 뜻
③ ‘서술어+보어, 서술어+보어’의 짜임
④ ‘형 노릇 하기도 어렵고 아우 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
⑤ ‘실력면에서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뜻
핵심기출문제 ………
1. ④ 2. ① 3. ③
4. ①
자전찾기
① 부수로 찾는다.
② 음으로 찾는다.
③ 총획수로 찾는다.
5. ⑤
質 바탕
묻다
6. ④ 7. ② 8. ② 9. ③
10. ③
‘貝’가 부수인 글자는 ‘재화’와 관련이 깊다.
11. ④
産 : 낳다, 생산하다
12. ②
한자어들을 해석해 보자.
13. ④
利 : 이롭다. 날카롭다
約 : 약속하다, 검소하다
質 : 바탕, 묻다
生 : 살다, 낳다
14. ①
수식 관계는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로 ‘~하는 ~’, ‘~의 ~’, ‘~하게 ~하다’ 등으로 해석된다.
15. ②16. ①17. ③18. ④19. ⑤
20. ①
21. ③
身 : 몸 신
仁 : 어질다 인
22. ④
한자의 활용
亂世(난세) : 어지러운 세상
23. ①
한자어로 바꾸기
忙 : 바쁘다 망
忘 : 잊다 망
24. ③
25. ①
‘不’은 ‘ㄷ’, ‘ㅈ’의 앞이나 ‘實’의 앞에서는 ‘부’로 읽힌다.
26. ④
수식 관계 : 수식어+피수식어
유사 관계 : 서로 비슷한 뜻의 한자어
대립 관계 : 서로 반대되는 뜻의 한자어
27. ⑤
京 : 서울 경
景 : 빛, 경치 경
28. ⑤
‘氣’의 부수는 ‘’이다.
29. ③
(락)즐기다
樂 (악)풍류
(요)좋아하다
30. ②
31. ⑤
① 실학 사상② 삼국유사
③ 물가 안정④ 광개토 대왕
⑤ 독립 운동
32. ⑤33. ⑤34. ④
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여의도, 상원)
계곡이 깊어 한낮인데도 어두침침하다.
2. 주어진 한자를 다음의 뜻이 되도록 문장을 만드시오. (가락, 서초)
閑, 中, 山, 有, 地 → 산 속에 한가로운 곳이 있다.
3. ‘事必歸正’의 독음을 쓰시오. (진선여, 가원)
4. ‘有名無實’의 풀이 순서를 차례대로 쓰시오. (숙명여, 잠신)
① ② ③ ④
5. 다음 중 한자의 짜임이 다른 하나를 골라 쓰시오. (광남, 대림여)
味 淸 分 和 淨
6. ‘자유 민주주의’를 한자로 쓰시오. (휘문, 강동)
7. 다음 한자어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상경, 일신여)
淸淨 溫暖 公正 調和
8. 다음 밑줄 친 한자어를 독음해 보시오. (세화여, 당산)
選擧公約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9. 다음을 통틀어 무엇이라 하는지 2자의 한자로 쓰시오. (한천, 백운)
立法 司法 行政
10.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숭의여, 묵일)
① 자립 경제 → ( )
② 지방 자치 → ( )
③ 민족 공동체 → ( )
11. ‘權利’의 상대어를 써 보시오. (광장, 풍납)
( )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하자로 써 보시오. (개포, 영파여)
오늘은 반장 선거를 하는 날이다.
주관식 기출문제
1. 溪谷
2. 山中有閑地
3. 사필귀정
4. ②①④③
5. 分
6. 自由 民主主義
7. 유사 관계
8. 선거 공약
9. 三權
10. ① 自立經濟
② 地方自治
③ 民族共同體
11. 義務
12. 選擧
□ ↔ 來
① 過② 主
③ 去④ 存
⑤ 失
18. 다음 중, 제자 원리가 ‘鳥’와 같은 것은 ? (아현, 역삼)
① 林② 淸
③ 東④ 自
⑤ 雲
19. 다음 중, ‘수식어+피수식어’의 짜임으로 이루어진 한자는 ?(연희여, 명일여)
① 治水② 資源
③ 不實④ 健康
⑤ 獨立
20.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는 ? (상계, 성내)
□ 活 用 □ 創 造
① 再② 自
③ 買④ 指
⑤ 收
21. 서로 반대의 뜻을 가진 한자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 (아현, 개포)
① 公 : 私② 有 : 無
③ 身 : 仁④ 先 : 後
⑤ 兄 : 弟
22. ‘難’과 어울린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하계, 반포)
① 困難② 苦難
③ 非難④ 難世
⑤ 難忘
23. 다음 뜻을 한자어로 고쳤을 때 틀린 것은 ? (봉영여, 동덕여)
① 매우 바쁨 → 多忘
② 처음과 끝 → 始終
③ 괴로움과 어려움 → 苦難
④ 실제로 일을 해낼 능력 → 實力
⑤ 고향에 돌아가 부모를 뵘 → 歸省
24. ‘주어+서술어’의 짜임으로만 이루어진 숙어는 ? (서라벌, 수서)
① 有名無實② 難兄難弟
③ 苦盡甘來④ 他山之石
⑤ 事必歸正
25. ‘不’의 음이 다르게 읽히는 것은 ? (한양, 방배)
① 不利② 不正
③ 不實④ 不同
⑤ 不足
26. 한자어의 짜임이 서로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 (문창, 수서)
① 品質 … 物價② 商人 … 林業
③ 生産 … 利益④ 賣買 … 不良
⑤ 實力 … 改定
27. 밑줄 친 부분의 뜻을 한자로 쓴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 (양동, 고명)
① 나는 어제 연필을 샀다. (買)
② 시험 때에는 마음을 편안하게 가져라. (安)
③ 약속은 무슨 일이 있더라도 지켜야 한다. (約)
④ 요즈음 우리 집은 내부를 고치느라 정신이 없다. (改)
⑤ 꽃이 많이 피어서 경치가 아름답다.(京)
28. 제부수 글자인 것은 ? (하안, 당산)
① 不② 良
③ 品④ 氣
⑤ 生
29. 다음 밑줄 친 한자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 (목일, 이수)
樂 山 樂 水
① 즐겁다② 기쁘다
③ 좋아하다④ 풍류
⑤ 노닐다
30. 다음 중, ‘世界化’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정의여, 문정)
① 文化交流② 利用厚生
③ 人類平和④ 共存共榮
⑤ 世界市場
31. 다음 중, ‘31운동’과 관계 깊은 것은 ? (동명, 풍납)
① 實學思想② 三國遺事
③ 物價安定④ 廣開土大王
⑤ 獨立運動
32.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바르게 된 것은 ? (중평, 숙명여)
어느 나라든 그 ㉠민족의 ㉡고유한 문화가 있게 마련이다. 그것을 ㉢자손에게 정성껏 ㉣전승할 때 ㉤전통 문화가 이어지는 것이다.
① ㉠ - 人類② ㉡ - 古有
③ ㉢ - 者孫④ ㉣ - 典承
⑤ ㉤ - 傳統文化
33. 다음 중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속담과 관련 있는 숙어는 ?
① 有口無言② 事必歸正 (한강, 문정)
③ 作心三日④ 結草報恩
⑤ 有名無實
34. ‘難兄難弟’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선화예술, 정신여)
①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
② ‘莫上莫下’와 같은 뜻
③ ‘서술어+보어, 서술어+보어’의 짜임
④ ‘형 노릇 하기도 어렵고 아우 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
⑤ ‘실력면에서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뜻
핵심기출문제 ………
1. ④ 2. ① 3. ③
4. ①
자전찾기
① 부수로 찾는다.
② 음으로 찾는다.
③ 총획수로 찾는다.
5. ⑤
質 바탕
묻다
6. ④ 7. ② 8. ② 9. ③
10. ③
‘貝’가 부수인 글자는 ‘재화’와 관련이 깊다.
11. ④
産 : 낳다, 생산하다
12. ②
한자어들을 해석해 보자.
13. ④
利 : 이롭다. 날카롭다
約 : 약속하다, 검소하다
質 : 바탕, 묻다
生 : 살다, 낳다
14. ①
수식 관계는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로 ‘~하는 ~’, ‘~의 ~’, ‘~하게 ~하다’ 등으로 해석된다.
15. ②16. ①17. ③18. ④19. ⑤
20. ①
21. ③
身 : 몸 신
仁 : 어질다 인
22. ④
한자의 활용
亂世(난세) : 어지러운 세상
23. ①
한자어로 바꾸기
忙 : 바쁘다 망
忘 : 잊다 망
24. ③
25. ①
‘不’은 ‘ㄷ’, ‘ㅈ’의 앞이나 ‘實’의 앞에서는 ‘부’로 읽힌다.
26. ④
수식 관계 : 수식어+피수식어
유사 관계 : 서로 비슷한 뜻의 한자어
대립 관계 : 서로 반대되는 뜻의 한자어
27. ⑤
京 : 서울 경
景 : 빛, 경치 경
28. ⑤
‘氣’의 부수는 ‘’이다.
29. ③
(락)즐기다
樂 (악)풍류
(요)좋아하다
30. ②
31. ⑤
① 실학 사상② 삼국유사
③ 물가 안정④ 광개토 대왕
⑤ 독립 운동
32. ⑤33. ⑤34. ④
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여의도, 상원)
계곡이 깊어 한낮인데도 어두침침하다.
2. 주어진 한자를 다음의 뜻이 되도록 문장을 만드시오. (가락, 서초)
閑, 中, 山, 有, 地 → 산 속에 한가로운 곳이 있다.
3. ‘事必歸正’의 독음을 쓰시오. (진선여, 가원)
4. ‘有名無實’의 풀이 순서를 차례대로 쓰시오. (숙명여, 잠신)
① ② ③ ④
5. 다음 중 한자의 짜임이 다른 하나를 골라 쓰시오. (광남, 대림여)
味 淸 分 和 淨
6. ‘자유 민주주의’를 한자로 쓰시오. (휘문, 강동)
7. 다음 한자어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상경, 일신여)
淸淨 溫暖 公正 調和
8. 다음 밑줄 친 한자어를 독음해 보시오. (세화여, 당산)
選擧公約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9. 다음을 통틀어 무엇이라 하는지 2자의 한자로 쓰시오. (한천, 백운)
立法 司法 行政
10.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숭의여, 묵일)
① 자립 경제 → ( )
② 지방 자치 → ( )
③ 민족 공동체 → ( )
11. ‘權利’의 상대어를 써 보시오. (광장, 풍납)
( )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하자로 써 보시오. (개포, 영파여)
오늘은 반장 선거를 하는 날이다.
주관식 기출문제
1. 溪谷
2. 山中有閑地
3. 사필귀정
4. ②①④③
5. 分
6. 自由 民主主義
7. 유사 관계
8. 선거 공약
9. 三權
10. ① 自立經濟
② 地方自治
③ 民族共同體
11. 義務
12. 選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