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사 2-2학기 기말 01 통일신라와 발해(교사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 신라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본문내용

-㉠-㉢-㉣-㉤
② ㉡-㉣-㉤-㉢-㉠
③ ㉣-㉡-㉤-㉢-㉠
④▶
㉣-㉤-㉡-㉠-㉢
⑤ ㉤-㉣-㉠-㉡-㉢
김헌창의 난(지방 호족)→원종과 애노의 난(농민 봉기)→후고구려건국(900)→고려건국(918)→신라 항복(935)
[호족] ★
신라 말 호족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①▶
중앙 정부에 우호적인 입장이었다.
②스스로 성주나 장군으로 일컬었다.
③농장을 확대하고 사병을 양성하였다.
④지방민을 지배하면서 세금을 거두었다.
⑤주로 촌락의 행정을 맡고 있던 촌주 출신이 맡았다.
지방호족은 선종 및 6두품과 연결하여 새로운 사회를 준비하였다.
[후삼국의 성립] ★★
다음은 후삼국 시대의 대한 설명이다. 적당한 것은? ④
① 견훤은 신라 왕족의 아들로 송악에 도읍하여 후고구려를 세웠다.
②궁예는 상주 농민의 아들로 신라에 쳐들어가 경애왕을 살해하였다.
③왕건은 자신을 미륵불로 자처하면서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민심을 잃었다.
④▶
신라는 후백제의 침입으로 약해져 국가를 보전할 수 없게 되자 나라를 고려에 항복했다.
⑤후백제는 신라와의 전쟁에서 세력이 쇠퇴하여 스스로 멸망하였다.
① 송악에 도읍을 정하고 후고구려를 세운 사람은 궁예이다.
② 원종과 애노가 상주에서 농민봉기를 일으켰다.
③ 궁예에 대한 설명이다.
⑤ 후백제는 고려에 의해 멸망되었다.
[사회의 변화] ★
신라 사회가 혼란에 빠졌을 때, 사회의 변화를 앞장서서 이끌었던 두 세력을 고르면? ①, ⑤
①▶
지방 호족 세력 ②성골 출신들
③진골 귀족 세력 ④교종 세력
⑤▶
6두품 세력
신라 말기에 사회의 변화를 앞장서서 이끌었던 두 세력은 지방 호족과 6두품 세력이다. 이들은 선종, 유교, 풍수지리설과 연결하여 새로운 사회를 준비하였다.
[통일 신라 말기] ★★
통일 신라 말기, 완산주 지역을 배경으로 세력을 형성했던 인물은? ①
①▶
견훤②양길③애노
④원종⑤김헌창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통일 신라 말기] ★★
통일 신라 말기, 6두품 세력이 진골 위주의 사회체제에 특히 반발을 보인 이유를 쓰시오.중앙 귀족이면서도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6두품은 중앙 귀족이면서도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았고 진골 위주의 사회 체제에 특히 불만을 가졌다. 골품제의 모순을 앞장서서 비판하면서 사회 변화를 주도하였다.
중앙 귀족이면서도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질문에 답하기]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을 쓰시오. 촌주
촌락의 행정을 맡고 있던 이들은 일반 농민들 보다 많은 토지와 소, 말 등의 가축을 소유하여 경쟁력을 키울 수 있었다.
촌락의 행정을 맡고있던 촌주들은 일반 농민들 보다 많은 토지와 가축을 소유하여 경쟁력을 키워 지방 호족으로 성장하였다.
촌주
[선종] ★
다음 설명 중 선종과 관계 있는 것을 고르시오. ㉠, ㉢, ㉣
㉠ 신라 말 새로이 발전한 불교의 종파이다.
㉡ 교리와 경전을 중시하였다.
㉢ 정신수양을 통한 해탈을 중시하였다.
㉣ 호족과 백성들의 환영을 받아 9산이 성립되었다.
교리와 경전을 중시한 것은 교종에 대한 것이다.
㉠, ㉢, ㉣
[질문에 답하기] ★
신라 말기 6두품 세력의 움직임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①사상계의 변화를 주도하였다.
②골품제도의 모순을 앞장서서 비판하였다.
③지방호족들과 함께 사회변화를 앞장서서 주도하였다.
④능력본위의 인재등용을 바라고 있었다.
⑤▶
교종승려와 결탁하였다.
신라 말기 6두품은 선종과 결탁하여 사회변화를 앞장서서 주도하였다.
[진성 여왕] ★★
신라 말기 진성 여왕 때의 상황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①▶
최치원의 개혁안이 채택되었다.
②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나돌았다.
③농민들이 전국 곳곳에서 봉기하였다.
④세금이 걷히지 않아 재정이 궁핍하였다.
⑤중앙 귀족들은 사치와 향락에 젖어 있었다.
최치원은 당에 유학한 후 귀국하여 진성 여왕에게 개혁안을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유랑생활을 시작하였다.
[질문에 답하기] ★★★
다음 중 시간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①▶
김헌창의 난②원종, 애노의 반란
③궁예의 봉기④양길의 봉기
⑤기훤의 봉기
②, ③, ④, ⑤는 후삼국 성립 시기에 있었던 농민 봉기이다.
[인물]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물은? 최치원
당에 유학한 후 귀국하여 진성 여왕에게 개혁안을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유랑생활을 하였다.
계원필경을 저술하였다.
6두품 출신으로 골품제의 모순을 앞장서서 지적하였다.
최치원은 6두품 출신으로 당에 유학한 후 ‘계원필경’을 저술하였다.
최치원

키워드

호족,   신라,   후삼국,   진성여왕,   선종,   왕족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