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5단원 글과 표현 기출문제(교사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숲의 사계

본문내용

복한 것에 분노한다.
③ 자기 안위만 생각해서 실망했다.
④ 변절한 사람은 친구가 될 수 없다.
⑤ 조국을 배신해서 친구가 될 수 없다.
변절한 사람은 마음 속에서 잊혀진 지 오래이므로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는 뜻이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65~173)
(가) 일제의 탄압이 더욱 심해진 1925년 어느 초여름날, 선생은 바랑 하나만 걸머지고는 행운유수(行雲流水)처럼 내설악의 울창한 숲 속으로 표표히 걸어 들어갔다. 이 여름 내내 산 속에 묻혀, 마침내 민족의 시집 '임의 침묵' 88 편의 주옥같은 작품을 지어 내었다.
(나) 임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임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다) ⓐ‘임의 침묵’은 사랑의 노래이다.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며 고통과 슬픔 속에서 애타게 임을 기다리는 애절한 희망의 노래이다. 또, 이 시에는 '빼앗긴 조국'이 '이별한 임'으로 비유되어, 조국의 광복과 독립을 되찾고자 하는 속뜻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시집 '임의 침묵'은 단순한 이별의 노래가 아니라, ㉠만남의 노래이며 부활의 노래로 볼 수 있다. 선생은 암흑의 시대인 일제 강점하에서 "그칠 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라고 노래하여, 꺼지지 않는 민족의 등불이 되어 주었다.
(라) 이럴 즈음, 독립 운동가인 김동삼(金東三) 열사가 서대문 감옥에서 죽어 그 유해를 찾아가라는 신문 보도가 있었으나, 일제로부터 주목받기를 꺼려서 아무도 그 근처에 얼씬거리지 않았다. 비참한 생활 중에서도 선생은 단숨에 달려가서, 자신의 집으로 열사의 유해를 옮겨, 대성통곡하며 정중히 장례를 치렀다. 이처럼 궁핍한 살림과 혹심(酷甚)한 탄압 속에서도, 물불을 가리지 않는 강직한 지조와 의리, 그리고 따뜻한 인정미를 잃지 않는 데서 선생의 참된 인간성을 찾아볼 수 있다.
(마) 선생은 일제의 온갖 위협과 유혹에도 죽는 날까지 굴복하지 아니하였다. 온갖 고초(苦楚) 속에서도 광복과 독립의 그 날, 역사의 새벽이 머지않아 다가올 것을 확신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광복을 일 년 앞둔 어느 날, '심우장' 차가운 냉돌 위에서 끝내 역사의 ㉡큰 별은 떨어지고 말았다.
(바)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임은 갔지마는 나는 임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사) 비록 불우한 삶 속에서 선생은 갔지만, 그 불타는 조국애(祖國愛)는 민족의 가슴 속에 영원한 등불로 빛날 것이다. 또, 선생의 고결한 지절(志節)은 '풍란화(風蘭花) 매운 향내'로서 겨레의 가슴 속에 오래도록 향기를 더해 갈 것이다.
[내용의 이해] ★★★
(라)에서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로 알맞은 것은? ②

① 한용운 선생의 교우 관계
② 한용운 선생의 인간적인 면모
③ 일제의 혹독하고 가혹한 탄압
④ 한용운 선생의 주요 독립 운동
⑤ 비참한 생활을 거듭했던 한용운 선생의 삶
(라)에서 글쓴이는 선생의 의리와 인정미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중심 내용] ★
위 글의 교훈으로 알맞은 것은? ②

① 참다운 우정의 중요성
② 조국애와 참된 인간성
③ 나라 잃은 백성의 비참한 삶
④ 훌륭한 시인이 되기 위한 요건
⑤ 고통을 참아 낼 수 있는 인내력
한용운 선생의 조국애와 주체성, 지조 높은 인간성을 본받아 나라 사랑의 마음을 갖도록 하고 있다.
[내용의 이해] ★★★

위 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① 실제의 여성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였다.
② 당시의 한국 문학의 특질을 엿볼 수 있다.
③ 일대기적 구성을 사용한 군담, 영웅 소설이다.
④ 현실적인 패배를 정신적으로 설욕하고자 하였다.
⑤ 역사적 사실에다 허구적 내용을 가미한 소설이다.
위 글은 실제의 인물과 허구적 인물이 섞여 등장하는데, 박씨 부인은 허구적 인물이다. 한편 영웅은 아니나 주요 실존 인물인 이시백의 일대기가 나타난다.
[내용의 이해] ★
ⓐ의 성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① 사랑의 노래② 희망의 노래
③ 이별의 노래④ 만남의 노래
⑤ 부활의 노래
ⓐ은 단순한 이별의 노래가 아니라 조국 광복을 확신하는 희망의 노래이다.
[내용 이해] ★
㉠과 같이 말할 수 있는 이유를 (바)의 내용을 참고하여 쓰시오.(바)이 화자는 임을 다시 만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즉, (바)의 화자는 조국의 광복, 해방을 확신하기 때문에 ㉠과 같이 만남의 노래이자 부활의 노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바)에서 화자는 임과의 재회를 확신하고 있다.
(바)의 화자는 임을 다시 만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즉, (바)의 화자는 조국의 광복, 해방을 확신하기 때문에 ㉠과 같이 만남의 노래이자 부활의 노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내용 이해]
비유적인 의미가 ㉡과 유사한 낱말을 (다)에서 찾아 쓰시오. 등불
큰 별은 ‘위대한 인물’을 뜻한다.
등불
[표현 방법]

다음 중 ㉢과 같은 표현 방법이 사용되지 않은 것은?

①피라미 / 은빛 비린내 / 문득 번진 / 둑방길
②분분한 낙화……. /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③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④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⑤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해 흔드는 /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은 논리적으로는 성립되지 않으나 시의 맥락, 의미 속에서 깊은 진리를 내포하는 역설에 해당한다.
[내용 이해] ★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단락의 기호를 쓰시오. (라)
일제의 강압이 점점 거세어지는 가운데, 사람들은 독립 운동가와 친분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 자신에게도 해가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위와 같은 이유로, 일제로부터 주목받기를 꺼려 김동삼 열사의 유해를 찾아가지 않았다.
(라)
[내용 이해] ★
(사)에서 위 글의 전체의 주제를 나타내 주는 구절을 2가지 찾아 각각 2어절로 쓰시오. 불타는 조국애, 고결한 지절
위 글은 만해 한용운 선생의 뜨거운 조국애와 고결한 지절의기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쓰고 있다.
불타는 조국애, 고결한 지절

키워드

대숲,   사계,   가시나무,   통치,   일제,   대나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