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화 속의 호랑이
2 도편수의 긍지
3 통신 언어, 어떻게 쓸 것인가
보충심화
2 도편수의 긍지
3 통신 언어, 어떻게 쓸 것인가
보충심화
본문내용
그릇도 많이 있고, 좋은 그릇이지만 쓸 수 없는 오염된 그릇도 많이 있다. 주인이 쓸 수 있는 그릇은 재질과 모양이 훌륭한 그릇이 아니라 깨끗한 그릇이다.
[문단의 이해] ★★★
(가)~(마)에서 내용상 글의 끝 부분에 와야 할 문단은? ③
① (가)② (나)③ (다)
④ (라)⑤ (마)
[문단의 중심 문장] ★★★
(가)~(마)에서 중심 문장이 문단의 맨 앞에 제시된 것은? ⑤
① (가)② (나)③ (다)④ (라)⑤ (마)
[문단의 이해] ★★★
다음 중 (라)의 내용에 대한 주장을 펼친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⑤
① 과학이 우리 인간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은 물질적인 풍요와 편리함이다.
②컴퓨터는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으므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③과학 기술의 발달은 세상을 온통 바꿔 주고 있으며,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④컴퓨터 범죄에 따른 사고를 미리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보안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⑤
첨단 과학이 발달하여 인간과 인간 사이에 기계 장치가 많이 끼어들수록 사람 사이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5~19)
(가) ‘서울 담장이’라는 말이 있다. 그 말의 뜻인즉, ‘서울에서는 담을 쌓는 인부들이 꼭 둘이 함께 다니며 담 쌓는 일을 하는데, 그 담은 일꾼들이 자리를 뜨자마자 곧 무너질 만큼 되는 대로’ 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꼭 두 사람씩 같이 다닌단다. 담을 다 쌓고는 한 사람은 담이 무너지지 않도록 등으로 받치고 있고, 한 사람은 집주인한테 가서 돈을 받는단다. 그렇게 돈만 받아 쥐면, 두 일꾼은 그대로 골목 밖으로 달아나고, 그와 동시에 쌓은 담은 와르르 주저앉는다는 것이다.
(나) 예전에는 샅바를 어떻게 매고 상대방의 어느 쪽 어깨를 대고 겨루는가에 따라 씨름의 종류가 나뉘었다.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이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 성행하던 씨름의 종류가 달랐다. 그러던 것이 요즈음에는 왼씨름 한 가지로 통일되었다.
(다) 잡지는 발행 주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잡지는 한 달에 한 번 나오는 월간이 보통이지만, 이 밖에 주간, 순간, 계간, 연간도 있다. 주간이나 순간과 같이 짧은 간격을 두고 나오는 잡지는 대개 신문과 비슷하게 시사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월간이나 연간과 같이 발행 간격이 긴 잡지는 대개 서적과 비슷하게 전문적인 문제에 중심을 두고 꾸미는 수가 많다.
(라) 과학 기술의 발달은 더욱 더 인간과 인간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고 있다. 그 사이에 ( ㉠ )가 끼어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발달로 인간이 안방 근무 시대에 들어간다고 해서 편하고 좋다고만은 말할 수가 없다. 매일 회사에 나가 함께 차도 마시고, 부딪치며, 경쟁해 가며 사는 데에 인간다운 맛이 있는 것이라면, 안방 근무는 이런 본능적인 인간 관계의 수정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범죄가 크게 걱정되는 것도 같은 이유에 서이다. 인간의 죄의식이란 오랜 인간 사회의 발달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우리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었을 경우에는 죄의식과 가책을 느끼게 된다. ( ㉡ ) 컴퓨터의 조작으로 큰 돈을 훔칠 경우, 그 피해자는 어떤 개인도 아니며, 그 피해의 성격이 전통적인 사고의 틀로는 쉽게 가늠되지도 않는다. 이웃의 돈은 10원도 훔치지 않을 사람이 눈도 꿈쩍하지 않고 컴퓨터 조작으로 10억 원을 날치기할지도 모른다. 첨단 과학이 발달하여 인간과 인간사이에 기계 장치가 많이 끼어들수록 사람 사이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
[문단의 이해] ★★★
(가)를 통해 비판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③
① 이기적이다.② 무책임하다.
③
여유가 없다.④ 불성실하다.
⑤ 직업 정신이 부족하다.
[글의 설명 방법] ★
(나), (다)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설명 방법은? ②
① 정의② 분류③ 대조
④ 비교⑤ 예시
[문단의 중심 내용] ★★
(라)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⑤
① 첨단 과학은 인간에게 풍요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② 과학 기술은 안방 시대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③ 과학 기술의 발달은 컴퓨터 범죄를 증가시켰다.
④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에게 죄의식과 가책을 느끼게 하였다.
⑤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멀어지게 하였다.
[( ) 채우기] ★★
㉠에 들어갈 2음절의 말을 (라)에서 찾아 쓰시오. 기계
[접속사] ★★
㉡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는? ②
① 또② 그러나③ 그리고
④ 그래서⑤ 왜냐하면
[문단의 이해] ★★★
(가)~(마)에서 내용상 글의 끝 부분에 와야 할 문단은? ③
① (가)② (나)③ (다)
④ (라)⑤ (마)
[문단의 중심 문장] ★★★
(가)~(마)에서 중심 문장이 문단의 맨 앞에 제시된 것은? ⑤
① (가)② (나)③ (다)④ (라)⑤ (마)
[문단의 이해] ★★★
다음 중 (라)의 내용에 대한 주장을 펼친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⑤
① 과학이 우리 인간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은 물질적인 풍요와 편리함이다.
②컴퓨터는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으므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③과학 기술의 발달은 세상을 온통 바꿔 주고 있으며,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④컴퓨터 범죄에 따른 사고를 미리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보안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⑤
첨단 과학이 발달하여 인간과 인간 사이에 기계 장치가 많이 끼어들수록 사람 사이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5~19)
(가) ‘서울 담장이’라는 말이 있다. 그 말의 뜻인즉, ‘서울에서는 담을 쌓는 인부들이 꼭 둘이 함께 다니며 담 쌓는 일을 하는데, 그 담은 일꾼들이 자리를 뜨자마자 곧 무너질 만큼 되는 대로’ 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꼭 두 사람씩 같이 다닌단다. 담을 다 쌓고는 한 사람은 담이 무너지지 않도록 등으로 받치고 있고, 한 사람은 집주인한테 가서 돈을 받는단다. 그렇게 돈만 받아 쥐면, 두 일꾼은 그대로 골목 밖으로 달아나고, 그와 동시에 쌓은 담은 와르르 주저앉는다는 것이다.
(나) 예전에는 샅바를 어떻게 매고 상대방의 어느 쪽 어깨를 대고 겨루는가에 따라 씨름의 종류가 나뉘었다.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이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 성행하던 씨름의 종류가 달랐다. 그러던 것이 요즈음에는 왼씨름 한 가지로 통일되었다.
(다) 잡지는 발행 주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잡지는 한 달에 한 번 나오는 월간이 보통이지만, 이 밖에 주간, 순간, 계간, 연간도 있다. 주간이나 순간과 같이 짧은 간격을 두고 나오는 잡지는 대개 신문과 비슷하게 시사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월간이나 연간과 같이 발행 간격이 긴 잡지는 대개 서적과 비슷하게 전문적인 문제에 중심을 두고 꾸미는 수가 많다.
(라) 과학 기술의 발달은 더욱 더 인간과 인간의 사이를 멀어지게 하고 있다. 그 사이에 ( ㉠ )가 끼어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발달로 인간이 안방 근무 시대에 들어간다고 해서 편하고 좋다고만은 말할 수가 없다. 매일 회사에 나가 함께 차도 마시고, 부딪치며, 경쟁해 가며 사는 데에 인간다운 맛이 있는 것이라면, 안방 근무는 이런 본능적인 인간 관계의 수정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범죄가 크게 걱정되는 것도 같은 이유에 서이다. 인간의 죄의식이란 오랜 인간 사회의 발달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우리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었을 경우에는 죄의식과 가책을 느끼게 된다. ( ㉡ ) 컴퓨터의 조작으로 큰 돈을 훔칠 경우, 그 피해자는 어떤 개인도 아니며, 그 피해의 성격이 전통적인 사고의 틀로는 쉽게 가늠되지도 않는다. 이웃의 돈은 10원도 훔치지 않을 사람이 눈도 꿈쩍하지 않고 컴퓨터 조작으로 10억 원을 날치기할지도 모른다. 첨단 과학이 발달하여 인간과 인간사이에 기계 장치가 많이 끼어들수록 사람 사이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
[문단의 이해] ★★★
(가)를 통해 비판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③
① 이기적이다.② 무책임하다.
③
여유가 없다.④ 불성실하다.
⑤ 직업 정신이 부족하다.
[글의 설명 방법] ★
(나), (다)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설명 방법은? ②
① 정의② 분류③ 대조
④ 비교⑤ 예시
[문단의 중심 내용] ★★
(라)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⑤
① 첨단 과학은 인간에게 풍요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② 과학 기술은 안방 시대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③ 과학 기술의 발달은 컴퓨터 범죄를 증가시켰다.
④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에게 죄의식과 가책을 느끼게 하였다.
⑤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멀어지게 하였다.
[( ) 채우기] ★★
㉠에 들어갈 2음절의 말을 (라)에서 찾아 쓰시오. 기계
[접속사] ★★
㉡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는? ②
① 또② 그러나③ 그리고
④ 그래서⑤ 왜냐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