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사 2-15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 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2. 핵심기출문제

3. 주관식 기출문제

본문내용

② 돌괭이로 땅을 일구어 조, 피 등을 재배하였다.
③ 돌갈판에 곡식을 갈아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④ 동굴이나 막집에 살면서 짐승의 그림을 그렸다.
⑤ 가락바퀴로 실을 뽑아 옷감을 만들고 뼈 바늘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10. 오른쪽 그림과 관계가 깊은 것은 ?(고덕, 경원)
① 구석기 시대의 막집 그림
② 신석기 시대의 움집
③ 야산, 구릉에 위치
④ 사회 계층의 형성
⑤ 약 70만 년 전
11. 신석기 시대의 유물 두 가지를 고르면 ? (광명, 오산)
① 주먹도끼 ② 토기
③ 찍개 ④ 찌르개
⑤ 간석기
12. 자르개, 돌마치, 새기개 등의 유물이 주로 사용되던 시대의 사회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 (일신여, 영도)
① 토기 사용 ② 정착 생활 시작
③ 무리 사회 형성 ④ 농경 생활 시작
⑤ 실을 이용한 옷감 제작
13. 다음 유물들이 사용되던 시기의 생활 모습은 ? (신서, 신사)
돌갈판 가락바퀴 덧무늬 토기
① 주로 동굴 생활 ② 사유 재산 형성
③ 정치적 사회의 성립 ④ 처음으로 뗀석기 제작
⑤ 혈연 중심의 부족 사회 현상
14.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 가면서 여러 가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변화 내용을 잘못 나타낸 것은 ? (2가지) (영파여, 구룡)
① 동굴 생활 → 움집 생활
② 이동 생활 → 정착 생활
③ 부족 사회 → 국가 성립
④ 사냥어로채집 → 농경목축의 시작
⑤ 빗살무늬 토기 제작 → 민무늬 토기 제작
15. 신석기 시대에 사용된 도구들이다. 그 용도가 잘못 설명된 것은 ?
① 뼈바늘 - 옷을 지어 입었다. (신정여, 개포)
② 돌갈판 - 곡식을 가공하였다.
③ 뼈낚시바늘 - 물고기를 잡았다.
④ 빗살무늬 토기 - 곡식을 저장하였다.
⑤ 가락바퀴 - 땅을 갈아 농사를 지었다.
16. 다음 지역들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사용되었던 당시의 생활 모습으로 바른 것은 ? (보인, 성내)
서울 암사동 양양 오산리
의주 미송리 부산 동삼동
① 지배 계층이 생겨났다.
② 반달 돌칼로 추수를 하였다.
③ 비로소 벼농사가 시작되었다.
④ 빗살무늬 토기에 곡식을 저장하였다.
⑤ 돌을 깨어 연모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7.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바르게 말한 것은 ? (한영, 중평)
① 뗀석기를 써서 사냥과 어로 활동을 하였다.
② 농사를 짓고 가축도 기르게 되었다.
③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④ 움집을 지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하였다.
⑤ 특정 동물을 수호신으로 삼아서 숭배하였다.
18. 구석기인의 생활로서 맞는 것은 ? (한천, 구정)
① 농사도 짓고 가축도 길렀다.
② 이른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였다.
③ 움집에 살며 정착 생활을 하였다.
④ 부족장이 생산 활동을 지휘하였다.
⑤ 뼈나 돌에 짐승의 그림을 그렸다.
19. 신석기 시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상상한 것 가운데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 (신반포, 은광여)
① 강가에서 고기를 잡았다.
②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 사람보다 큰 짐승을 잡았다.
③ 강물을 끌어들여 넓은 논을 만들고, 벼농사를 지었다.
④ 같은 핏줄의 씨족들이 모여 마을을 형성하고 살았다.
⑤ 땅을 파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움집에서 살았다.
※[20~22] 다음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20. 오른쪽 그림의 유물이 주로 발견되는 곳은 ? (신창, 원묵)
① 구릉 지대 ② 넓은 평야
③ 산악 지대 ④ 강가나 바닷가
⑤ 사막 지대
21. 위의 유물과 동시에 발견되었을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구룡, 문정)
① 주먹도끼 ② 뼈바늘
③ 돌괭이 ④ 돌도끼
⑤ 돌화살촉
22. ㉡과 같은 그릇이 발견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적지가 아닌 것은 ?
① 양양군 오산리 ② 의주군 미송리 (연희여, 월촌)
③ 서울시 암사동 ④ 봉산군 지탑리
⑤ 단양군 수양개
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토기의 명칭를 쓰시오. (이수, 진선여)
표면에 직선 또는 곡선을 평행으로 배열한 무늬를 새긴 그릇이다.
형태는 아가리가 넓고 밑이 뾰족하다.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2. 신석기인들이 옷을 만들어 입었음을 알려 주는 대표적인 유물을 쓰시오. (2가지)
(신상, 영파여)
3. 인류가 맨 처음으로 사용한 도구로 돌을 깨뜨려 만든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배재, 여의도)
4. 기원전 6000 년경에 이르면 여러 종류의 석기를 갈아서 보다 예리하게 만들어 편리하게 사용했다. 이 시대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
(서연, 신정여)

키워드

신석기,   구석기,   인류,   도구,   유물,   농사,   토기,   움집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