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권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관계 깊은 정치 기구는? (봉은, 상명사대부속)
고려 최씨 무신 정권 시대에 설치됨
개인 저택에서 정부의 인사 및 행정을 처리함
① 정방② 중방
③ 도방④ 교정도감
⑤ 도병마사
(27~28)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무신 정변 이후 국가의 높은 벼슬아치들은 천민에서 많이 나왔다. 어찌 왕후 장상의 씨가 따로 있겠는가? … 주인들을 죽이고 노비 문서를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면 우리도 될 수 있다.”
27. 이 글에서 알 수 있는 시대 상황은? (고덕, 서연)
① 문벌 귀족 사회였다.
② 가문이 중요시되었다.
③ 농촌 경제가 발달하였다.
④ 평민의 신분 해방 운동이 활발하였다.
⑤ 신분제 동요로 낮은 신분의 사람도 출세하였다.
28. 위와 같은 주장을 하면서 노비들의 신분 해방 운동을 주도한 사람을 쓰 시오. (보인, 동대사대부속)
29. <보기>의 역사적 사실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구룡, 서울여중)
ㄱ. 대조영의 발해 건국ㄴ.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ㄷ. 강감찬의 귀주 대첩ㄹ.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① ㄱ-ㄴ-ㄷ-ㄹ② ㄴ-ㄱ-ㄷ-ㄹ
③ ㄷ-ㄹ-ㄱ-ㄴ④ ㄹ-ㄴ-ㄱ-ㄷ
⑤ ㄱ-ㄷ-ㄴ-ㄹ
30. 고려 중기의 무신 집권 시기에 일어난 것은? (배재, 동명여중)
① 천민의 저항 운동② 성리학의 수용
③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④ 목화의 전래
⑤ 이자겸의 난
31. 고려에서 일찍부터 궁중에 설치하여 화가를 양성하였던 기관은?
① 도화원② 춘추관 (구정, 신정여중)
③ 화통도감④ 삼사
⑤ 정방
32.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배명, 동원)
① 고위 관직을 차지하여 권력을 독점하였다.
② 막대한 농토와 임야를 차지하고 녹봉까지 받아 경제적으로 부를 누렸다.
③ 공음전과 음서제는 고려 귀족 사회를 지탱해 주는 기반이 되었다.
④ 이들 문벌 귀족들은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타적이고 보수적이 었다.
⑤ 문벌 귀족들과 경쟁하면서 신진 사대부 세력이 성장하였다.
33. 농민의 저항 운동과 천민들의 신분 해방 운동이 각지에서 일어났던 시 기는? (서초, 상원)
① 몽고의 침입 이후
② 문벌 귀족 사회가 정착된 이후
③ 무신이 정권을 잡은 뒤
④ 이자겸의 난으로 귀족 사회가 분열된 이후
⑤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이후
객관식기출문제
1. ②
왕의 외척인 이자겸은 당시 대표적인 문벌 귀족이었다.
2. ④
천민들은 사회적인 부당한 대우와 천한 신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3. ③
최충헌의 노비로 있었던 자이다.
4. ③
12세기에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드러나 여러 가지 사건이 일어났다.
5. ③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결과 서경파는 몰락하였으나, 문벌 귀족 사회는 더욱 동요하였다.
6. ⑤
7. ②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무신 정변 등이 이 시기에 일어났다.
8. ①
천민의 난은 무신 정권이 들어선 후 계속적으로 일어났다.
9. ③
무신 정권하에서의 천민의 저항 운동은 신분의 향상과 자유로운 사회 활동을 요구한 것이다.
10. ①
경대승은 중방을 중심으로 집권하였다.
11. ③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은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일어난 귀족들의 반란이다.
12. ②,③
13. ④
천민들의 신분 해방 운동은 무신 정권기의 신분 질서 문란에서 비롯되었다.
14. ⑤
15. ①
16. ②
17. ③
18. ⑤
19. ③
20. ⑤
묘청은 칭제 건원과 서경 천도, 금국 정벌 등을 주장하여 자주적인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21. ④
고려 전기의 사회는 문벌 중심의 사회였다. ④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22. ①
무신 정변을 일으킨 사람은 정중부이며, 최충헌 때에 이르러 무신 정권이 안정되었다.
23. ③
①은 문벌 귀족, ②는 무신, ④, ⑤는 천민의 난이다.
24. ②
개경과 전주는 노비들의 저항 운동, 운문초전은 농민들의 저항 운동이 일어난 곳이다.
25. ②
개경은 지덕이 쇠퇴하였고, 서경으로 도읍을 옮기면 나라가 흥하고 이웃 나라들이 조공을 바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묘청은 우리 왕도 황제라 칭하고 금나라의 압력을 받을 것이 아니라, 금을 쳐서 정벌하자고 하였다.
26. ①
최우 때 자신의 집에 설치하여 정부 인사와 행정을 주관하였다.
27. ⑤
28. 만적
29. ①
30. ①
31. ①
춘추관―역사 편찬, 화통도감―화약과 각종 화포 제작, 삼사―회계 담당, 정방―최우가 설치한 인사행정 기구
32. ⑤
신진 사대부 세력은 권문 세족과 경쟁하면서 성장하였다.
33. ③
무신 집권 이후부터 최충헌이 집권할 때까지 가장 동요가 컸다.
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중심 인물을 쓰시오. (정신여중, 여의도)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였으며, 또 황제라 칭하고 금나라를 치자 고 하였다.
서경 천도가 실패하자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부군에 의해 평정되었다.
2. 최우가 자기 집에 두어 정부의 모든 인사 행정을 처리하였던 기관을 쓰 시오. (풍납, 중평)
3. 고려 중기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귀족 사회 세력이 몰락하게 된 결 정적인 계기가 된 사건을 쓰시오. (중동, 영등포여중)
4. 고려 시대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이루어질 당시의 집권 세력을 쓰시오.
(청담, 영등포)
중방이 국가의 최고 권력 기구가 되었다.
농민과 천민 등 민중들의 항거가 있었다.
5. 고려 무신 집권기에 공주 명학소의 사람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지명으 로 볼 때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신분은 무엇이었는지 쓰시오.
(오륜, 중앙여중)
6.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제도를 쓰시오. (한산, 영훈)
달마다 시를 지어 국왕에게 바치도록 하는 제도로 한문학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7. 다음 글의 빈 칸에 알맞은 말은? (오주, 중대사대부속)
무신 집권자는 사병을 조직하여 정권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경대승 집권 시기에 설치된 도방은 최씨 정권이 수립되면서 더욱 확장되었다. 또 최씨 정권은 도방과 함께 ( )을(를) 그들의 군사적 기반으로 삼았다.
주관식 기출문제
1. 묘청
2. 정방
3. 무신 정변
4. 무신 세력
5. 천민
6. 문신 월과법
7. 삼별초
고려 최씨 무신 정권 시대에 설치됨
개인 저택에서 정부의 인사 및 행정을 처리함
① 정방② 중방
③ 도방④ 교정도감
⑤ 도병마사
(27~28)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무신 정변 이후 국가의 높은 벼슬아치들은 천민에서 많이 나왔다. 어찌 왕후 장상의 씨가 따로 있겠는가? … 주인들을 죽이고 노비 문서를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면 우리도 될 수 있다.”
27. 이 글에서 알 수 있는 시대 상황은? (고덕, 서연)
① 문벌 귀족 사회였다.
② 가문이 중요시되었다.
③ 농촌 경제가 발달하였다.
④ 평민의 신분 해방 운동이 활발하였다.
⑤ 신분제 동요로 낮은 신분의 사람도 출세하였다.
28. 위와 같은 주장을 하면서 노비들의 신분 해방 운동을 주도한 사람을 쓰 시오. (보인, 동대사대부속)
29. <보기>의 역사적 사실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구룡, 서울여중)
ㄱ. 대조영의 발해 건국ㄴ.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ㄷ. 강감찬의 귀주 대첩ㄹ.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① ㄱ-ㄴ-ㄷ-ㄹ② ㄴ-ㄱ-ㄷ-ㄹ
③ ㄷ-ㄹ-ㄱ-ㄴ④ ㄹ-ㄴ-ㄱ-ㄷ
⑤ ㄱ-ㄷ-ㄴ-ㄹ
30. 고려 중기의 무신 집권 시기에 일어난 것은? (배재, 동명여중)
① 천민의 저항 운동② 성리학의 수용
③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④ 목화의 전래
⑤ 이자겸의 난
31. 고려에서 일찍부터 궁중에 설치하여 화가를 양성하였던 기관은?
① 도화원② 춘추관 (구정, 신정여중)
③ 화통도감④ 삼사
⑤ 정방
32.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배명, 동원)
① 고위 관직을 차지하여 권력을 독점하였다.
② 막대한 농토와 임야를 차지하고 녹봉까지 받아 경제적으로 부를 누렸다.
③ 공음전과 음서제는 고려 귀족 사회를 지탱해 주는 기반이 되었다.
④ 이들 문벌 귀족들은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타적이고 보수적이 었다.
⑤ 문벌 귀족들과 경쟁하면서 신진 사대부 세력이 성장하였다.
33. 농민의 저항 운동과 천민들의 신분 해방 운동이 각지에서 일어났던 시 기는? (서초, 상원)
① 몽고의 침입 이후
② 문벌 귀족 사회가 정착된 이후
③ 무신이 정권을 잡은 뒤
④ 이자겸의 난으로 귀족 사회가 분열된 이후
⑤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이후
객관식기출문제
1. ②
왕의 외척인 이자겸은 당시 대표적인 문벌 귀족이었다.
2. ④
천민들은 사회적인 부당한 대우와 천한 신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3. ③
최충헌의 노비로 있었던 자이다.
4. ③
12세기에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드러나 여러 가지 사건이 일어났다.
5. ③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결과 서경파는 몰락하였으나, 문벌 귀족 사회는 더욱 동요하였다.
6. ⑤
7. ②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무신 정변 등이 이 시기에 일어났다.
8. ①
천민의 난은 무신 정권이 들어선 후 계속적으로 일어났다.
9. ③
무신 정권하에서의 천민의 저항 운동은 신분의 향상과 자유로운 사회 활동을 요구한 것이다.
10. ①
경대승은 중방을 중심으로 집권하였다.
11. ③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은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일어난 귀족들의 반란이다.
12. ②,③
13. ④
천민들의 신분 해방 운동은 무신 정권기의 신분 질서 문란에서 비롯되었다.
14. ⑤
15. ①
16. ②
17. ③
18. ⑤
19. ③
20. ⑤
묘청은 칭제 건원과 서경 천도, 금국 정벌 등을 주장하여 자주적인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21. ④
고려 전기의 사회는 문벌 중심의 사회였다. ④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22. ①
무신 정변을 일으킨 사람은 정중부이며, 최충헌 때에 이르러 무신 정권이 안정되었다.
23. ③
①은 문벌 귀족, ②는 무신, ④, ⑤는 천민의 난이다.
24. ②
개경과 전주는 노비들의 저항 운동, 운문초전은 농민들의 저항 운동이 일어난 곳이다.
25. ②
개경은 지덕이 쇠퇴하였고, 서경으로 도읍을 옮기면 나라가 흥하고 이웃 나라들이 조공을 바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묘청은 우리 왕도 황제라 칭하고 금나라의 압력을 받을 것이 아니라, 금을 쳐서 정벌하자고 하였다.
26. ①
최우 때 자신의 집에 설치하여 정부 인사와 행정을 주관하였다.
27. ⑤
28. 만적
29. ①
30. ①
31. ①
춘추관―역사 편찬, 화통도감―화약과 각종 화포 제작, 삼사―회계 담당, 정방―최우가 설치한 인사행정 기구
32. ⑤
신진 사대부 세력은 권문 세족과 경쟁하면서 성장하였다.
33. ③
무신 집권 이후부터 최충헌이 집권할 때까지 가장 동요가 컸다.
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중심 인물을 쓰시오. (정신여중, 여의도)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였으며, 또 황제라 칭하고 금나라를 치자 고 하였다.
서경 천도가 실패하자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부군에 의해 평정되었다.
2. 최우가 자기 집에 두어 정부의 모든 인사 행정을 처리하였던 기관을 쓰 시오. (풍납, 중평)
3. 고려 중기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으로 귀족 사회 세력이 몰락하게 된 결 정적인 계기가 된 사건을 쓰시오. (중동, 영등포여중)
4. 고려 시대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이루어질 당시의 집권 세력을 쓰시오.
(청담, 영등포)
중방이 국가의 최고 권력 기구가 되었다.
농민과 천민 등 민중들의 항거가 있었다.
5. 고려 무신 집권기에 공주 명학소의 사람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지명으 로 볼 때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신분은 무엇이었는지 쓰시오.
(오륜, 중앙여중)
6.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제도를 쓰시오. (한산, 영훈)
달마다 시를 지어 국왕에게 바치도록 하는 제도로 한문학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7. 다음 글의 빈 칸에 알맞은 말은? (오주, 중대사대부속)
무신 집권자는 사병을 조직하여 정권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경대승 집권 시기에 설치된 도방은 최씨 정권이 수립되면서 더욱 확장되었다. 또 최씨 정권은 도방과 함께 ( )을(를) 그들의 군사적 기반으로 삼았다.
주관식 기출문제
1. 묘청
2. 정방
3. 무신 정변
4. 무신 세력
5. 천민
6. 문신 월과법
7. 삼별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