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사 2-22 거간 여진과의 전쟁 01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거란․여진과의 전쟁~몽고와의 전쟁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섭하였다.
② 몽고 사신 살해 사건을 구실삼아 침입하였다.
③ 몽고군이 개경을 포위하자, 고려는 몽고와 강화하였다.
④ 몽고는 지방의 감시관인 다루가치를 남겨 두고 철수하였다.
⑤ 귀주성에서 박서는 몽고군의 공격을 끝까지 싸워 막아 냈다.
36. 다음 [보기]에서 몽고와의 전쟁 중에 있었던 일을 골라 묶은 것은?
(청담, 창일)
ㄱ. 7대 실록 펀찬 ㄴ. 천리 장성 축조
ㄷ. 강화 천도 ㄹ. 팔만 대장경 조판
① ㄱ, ㄴ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37. 다음 문화재 중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은? (은광여중, 신목)
① 경주 불국사 ② 영풍 부석사
③ 서울 경복궁 ④ 황룡사 9층탑
⑤ 월정사 8각 9층 석탑
38. 원의 간섭 시기에 있었던 사실이 아닌 것은? (한산, 환일)
① 영토의 상실 ② 일본 원정 참여
③ 관제의 변화 ④ 왕실 용어의 격상
⑤ 공물의 징발
객관식기출문제
1. ②
별무반을 조직하여 정복하였다.
2. ③
부처의 힘을 빌려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려 하였다.
3. ④
불국사와 경복궁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4. ③
5. ①
6. ②
7. ①, ③
강동 6주와 관련된 문제이다. 거란의 제1차 침입때에 고려는 이 지역을 획득하였으며, 제3차 침입때는 귀주 대첩의 승리를 거두었다.
8. ⑤
삼별초는 개경 환도를 몽고에 대한 굴욕이라고 생각하여, 배중손의 지휘하에 대몽 항쟁을 계속하였다.
9. ⑤
1차-서희의 외교 담판, 2차-양규의 활약, 3차-강감찬의 귀주 대첩
10. ③
서희는 거란의 1차 침입 당시 외교 담판으로 이를 물리쳤다.
11. ④
거란 침입 이후 강감찬의 건의에 따라 개경 주위에 나성을 쌓고, 덕종 때에는 압록강 입구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 장성을 쌓았다.
12. ⑤
13. ④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후, 고려는 나성과 천리 장성을 축조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였다.
14. ②
요의 건국(916), 송의 중국 통일(960), 금의 건국(1115)
15. ⑤
이자겸은 정권 유지를 위해 금의 요구를 수락하여 북진 정책 의지를 꺾었다.
16. ①
거란과는 11세기, 여진과는 12세기, 몽고와는 13세기에 전쟁을 하였다.
17. ④
거란족-강동 6주 개척, 여진족-별무반 조직, 몽고족-강화도 천도
18. ③
모두 고려 시대의 계속된 북진 정책을 보여주는 내용들이다.
19. ④
거란의 침입은 고려의 친송, 북진 정책 때문이었다. ④-거란 침입 이후의 사실이다.
20. ④
강동 6주는 압록강 유역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21. ③
거란 침입 이후 개경에 나성을 쌓고, 압록강~도련포에 이르는 천리 장성을 쌓았다. ⑤-고구려 때 쌓은 천리 장성이다.
22. ②
묘청 등은 황제라 칭하고 금나라를 정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23. ⑤
원에 의한 쌍성 총관부, 동녕부, 탐라 총관부의 설치 등으로 영토가 상실되었다.
24. ③
천리 장성은 거란 침입 후에 쌓은 것이다. 별무반은 여진을 정벌하기 위한 특수부대이다.
25. ①
고려는 거란, 여진, 몽고 등 북방 유목 민족과 대립하였으나, 송나라와는 경제, 문화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하였다.
26. ③
여진의 세력이 커지면서 고려에 압력을 가해오자 고려는 이에 굴복하였다.
⑤-③-②-④-①의 순서
27. ③
28. ①
29. ③
30. ⑤
31. ⑤
32. ④
대몽고 항쟁의 주체는 농민천민 등 민중이었다.
33. ④
34. ③
강동성에 쳐들어온 거란족을 몽고와 연합해 소탕한 것이 고려와 몽고의 첫 접촉이었다.
35. ①
정동행성은 몽고의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세운 기구이다.
36. ⑤
최우는 결사 항전의 의지로 강화 천도를 단행하고, 8만 대장경 조판에
착수하였다.
37. ④
38. ④
원은 고려를 간섭하여 관제뿐만 아니라 왕실 용어도 격하시켰다.
1. 다음 내용과 관계 있는 인물을 쓰시오. (이수, 신상)
거란 장수 소손녕이 대군을 거느리고 고려에 침입해 왔을 때, 그는 외교 담판으로 거란군을 물리치고 강동 6주를 회복하였다.
2. 몽고와의 굴욕적 강화에 반기를 들고 강화도에서 대몽 항쟁을 계속한 부 대의 명칭을 쓰시오. (한영, 한천)
3. 다음 글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불렀는지 쓰시오.
(일신여중, 신서)
고려의 풍속의 몽고에 흘러들어가 유행하였다. 원 왕실과 귀족들은 후궁, 궁녀, 시녀 등에 충당하기 위해 자주 고려의 처녀들을 데려갔고, 또 많은 고려인들이 전쟁 포로로 원에 붙잡혀 갔다. 바로 이들에 의해 고려의 풍속이 원의 왕실과 일반 사회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특히, 고려의 풍속 가운데 의복, 신발, 모자와 만두, 떡 등의 음식이 몽고 사회에 급속히 전파되었는데, 고려 만두, 고려 떡 등의 용어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4. 다음 ㉠, ㉡에 들어갈 말을 각각 쓰시오. (휘문, 충암)
거란 침입 후 고려는 개경 주위에 ㉠ (를)을 쌓았고, 압록강 입구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 (를)을 쌓아 국방을 강화하였다.
5. 별무반이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하여 동북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고 9성 을 쌓은 사람을 쓰시오. (잠신, 아현)
6. 12세기 초 고려가 여진을 정벌하기 위하여 조직한 특수 부대를 쓰시오. (진선여중, 청운)
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관청을 쓰시오. (잠실, 양동)
원이 일본 정벌을 위해 고려에 설치한 관청이었으나 일본 정벌이 실패한 후에는 원과 고려의 공적 연락 기관으로 운영되어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였다.
8. 다음의 사실에 모두 관련 있는 북방 민족을 쓰시오. (풍납여중, 천호)
강동 6주의 회복 강감찬의 귀주 대첩
9. 다음 지도상에 표시된 지역을 고려의 영토로 회복하게 된 사실과 관련되는 인물을 쓰시오. (선덕, 신천)
10. 몽고 침입시 집권자로 강화 천도를 주장하여 대몽 항전 태세를 갖춘 당 시의 최고 권력자를 쓰시오. (이수, 한양)
주관식 기출문제
1. 서희
2. 삼별초
3. 고려양
4. ㉠ : 나성, ㉡ : 천리장성
5. 윤관
6. 별무반
7. 정동행성
8. 거란
9. 서희
10. 최우

키워드

서희,   삼별초,   고려,   나성,   천리장성,   윤관,   별무반,   정동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