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이오드의(Diode) 개요
다이오드의 종류
1)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2)발광 다이오드(LED)
3)가변용량 다이오드(배리캡 또는 버랙터:varactor)
4) 브리지 다이오드
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1)필름 콘덴서
2)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3)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4)폴리스치롤 콘덴서
5)마일러 콘덴서
6)오일 콘덴서
7)전해 콘덴서
8)탄탈 콘덴서
9)마이카 콘덴서
10)세라믹 콘덴서
콘덴서 및 각종 부품의 음질개선 포인트
1)커플링 콘덴서
2)전해 콘덴서
3)저항
4)세라믹 콘덴서
5)진공관
6)케이블
콘덴서 연결방법과 용량
1)병렬 연결
2)직렬 연결
3)콘덴서 허용전압 계산법
4)콘덴서 용량 읽는법
멀티미터의 사용법
1) 테스터(Tester)의 사용법
2) 각부 명칭과 기능
2-1. 직류전압(DCV)측정(③부분)
2.2 직류전류(DCmA)측정(③부분)
2.3 저항(Ω)측정(③부분)
2.4 단자(③부분)
2.5 교류전압(ACV) 측정 (③부분)
2.6 스케일의 0점 미세조정(⑥부분)과 0옴 미세조정(⑤부분)
2.7 DC 10[A]측정(③부분)
2.8 트랜지스터의 양부 판정 및 극성측정(①,②부분)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3. 전기적인 규격
(1) 직류전압
(2) 교류전압
(3) 직류전류
(4) 저항
(5) 기타
트랜지스터의 판별법
다이오드의 종류
1)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2)발광 다이오드(LED)
3)가변용량 다이오드(배리캡 또는 버랙터:varactor)
4) 브리지 다이오드
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1)필름 콘덴서
2)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3)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4)폴리스치롤 콘덴서
5)마일러 콘덴서
6)오일 콘덴서
7)전해 콘덴서
8)탄탈 콘덴서
9)마이카 콘덴서
10)세라믹 콘덴서
콘덴서 및 각종 부품의 음질개선 포인트
1)커플링 콘덴서
2)전해 콘덴서
3)저항
4)세라믹 콘덴서
5)진공관
6)케이블
콘덴서 연결방법과 용량
1)병렬 연결
2)직렬 연결
3)콘덴서 허용전압 계산법
4)콘덴서 용량 읽는법
멀티미터의 사용법
1) 테스터(Tester)의 사용법
2) 각부 명칭과 기능
2-1. 직류전압(DCV)측정(③부분)
2.2 직류전류(DCmA)측정(③부분)
2.3 저항(Ω)측정(③부분)
2.4 단자(③부분)
2.5 교류전압(ACV) 측정 (③부분)
2.6 스케일의 0점 미세조정(⑥부분)과 0옴 미세조정(⑤부분)
2.7 DC 10[A]측정(③부분)
2.8 트랜지스터의 양부 판정 및 극성측정(①,②부분)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3. 전기적인 규격
(1) 직류전압
(2) 교류전압
(3) 직류전류
(4) 저항
(5) 기타
트랜지스터의 판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