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관식 문제
2. 주관식 문제 정답
2. 주관식 문제 정답
본문내용
총획수를 써 보자.
9. 밑줄 친 한자의 뜻을 둘 이상 쓰시오.
日就月將
10. 다음 ㉠, ㉡의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開□有益 ㉡手不釋□
11. 다음 문장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각각 쓰시오.
□而不學이면 □無所知니라
어려서 배우지 아니하면 늙어서 아는 바가 없다.
12. ㉠이 ㉡의 뜻이 되도록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晝耕□讀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13. 다음에서 잘못 쓴 한자를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가다가 重止 하면 아니 감만 못하니라.
14. 밑줄친 한자의 독음을 쓰시오.
취미를 묻자, 그는 卽席에서 춤을 추었다.
15.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이창호는 3개의 타이틀을 모조리 석권했다.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사 성어를 쓰시오.
반딧불과 눈빛을 이용하여 책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불우한 환경에서 학문에 힘쓰는 공을 일컫는다.
17. 밑줄 친 부분을 풀이 하시오.
貧若勤學이면, 可以立身이라.
18. 다음 글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少年易老 學□成
19. 다음 □안에 들어갈 한자를 써 보자.
救
行
가로풀이 : 급히 가다 세로풀이 : 위급함을 구하다.
20.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써 보자.
나는 體力增進을 위하여 날마다 운동을 한다.
(주관식문제 정답)
1. 人
2. 寸陰
3. 익히다
4. 手
5. 溫故知新
6. 선견지명
7. 加
8. 又, 4획
9. 나아가다, 이루다
10. 卷
11. 幼, 老
12. 夜
13. 中
14. 즉석
15. 席卷
16. 螢雪之功
17. 부지런히 배우다
18. 難
19. 急
20. 체력증진
9. 밑줄 친 한자의 뜻을 둘 이상 쓰시오.
日就月將
10. 다음 ㉠, ㉡의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開□有益 ㉡手不釋□
11. 다음 문장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각각 쓰시오.
□而不學이면 □無所知니라
어려서 배우지 아니하면 늙어서 아는 바가 없다.
12. ㉠이 ㉡의 뜻이 되도록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晝耕□讀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13. 다음에서 잘못 쓴 한자를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가다가 重止 하면 아니 감만 못하니라.
14. 밑줄친 한자의 독음을 쓰시오.
취미를 묻자, 그는 卽席에서 춤을 추었다.
15.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이창호는 3개의 타이틀을 모조리 석권했다.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사 성어를 쓰시오.
반딧불과 눈빛을 이용하여 책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불우한 환경에서 학문에 힘쓰는 공을 일컫는다.
17. 밑줄 친 부분을 풀이 하시오.
貧若勤學이면, 可以立身이라.
18. 다음 글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少年易老 學□成
19. 다음 □안에 들어갈 한자를 써 보자.
救
行
가로풀이 : 급히 가다 세로풀이 : 위급함을 구하다.
20.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독음을 써 보자.
나는 體力增進을 위하여 날마다 운동을 한다.
(주관식문제 정답)
1. 人
2. 寸陰
3. 익히다
4. 手
5. 溫故知新
6. 선견지명
7. 加
8. 又, 4획
9. 나아가다, 이루다
10. 卷
11. 幼, 老
12. 夜
13. 中
14. 즉석
15. 席卷
16. 螢雪之功
17. 부지런히 배우다
18. 難
19. 急
20. 체력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