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과학 3-2학기 기말 03 태양계의 운동 기출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구의 운동

본문내용


[황도와 백도]
황도와 백도를 나타낸 다음 그림에서 월식이 일어날 수 있는 달과 태양의 위치를 각각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
달 태양 달 태양
① b a② b c
③ c a④ c e
⑤ d e
[달의 위치] ★★
다음 그림은 지구 둘레를 공전하는 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동틀 무렵에 남쪽 하늘에서 달을 보았다면 이 날 달의 위치는? ①
①A②B③C
④D⑤E
[달과 지구의 운동] ★★★
다음 그림은 달과 지구의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A에서 C까지 달이 이동한 데 걸리는 시간과 일치하지 않은 것은? ④
①삭망월②29.5일
③음력의 한 달④달의 자전 주기
⑤달의 모양 변화 주기
[태양] ★
다음 사진은 어느 지역에서 태양을 촬영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은 아래 그림의 어느 지역인가? ①
①A②B③C
④D⑤E
[부분 월식] ★★
다음 그림에서 부분 월식이 일어날 때 달의 위치는? ③
①A②B③C
④D⑤E
[별자리와 태양의 위치 변화] ★★
별자리와 태양의 위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④
①태양은 황도를 따라 이동한다.
②별자리는 매일 조금씩 서쪽으로 이동한다.
③한밤중에 남쪽에 있는 별들은 태양의 정 반대쪽에 있는 별이다.
④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보이는 별은 태양과 반대 방향이다.
⑤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는 별은 해가 뜨기 직전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 다음 그림은 공전 궤도상의 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136~137)
[태양]
태양의 대기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을 관측하였다면 이 날 달의 위치와 모양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③
코로나 채층 홍염
①A - 상현②B - 망③B - 삭
④D - 망⑤D - 삭
[달의 위치]
달이 A 위치에 있을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④
①하현이다.
②음력 22~23일경이다.
③왼쪽이 둥근 반달 모양이다.
④초저녁 동쪽 지평선에서 뜬다.
⑤새벽에만 남중한다.
[달 표면 무늬] ★
달이 공전만 하고 자전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달 표면의 무늬를 예측하여 서술하시오. 달표면의 무늬는 계속 변할 것이다.
[달과 지구 및 태양의 위치 관계]
다음 그림은 달과 지구 및 태양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A~D 중 일식과 월식이 일어날 수 있는 달의 위치를 각각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
일식 월식 일식 월식
① A B
② B C
③ A C④ B D
⑤ A D
[천구의 적도와 황도] ★★★
다음 그림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를 나타낸 것이다. 동짓날 월식이 일어났다면 이 날 달이 있는 방향은 어디인가? ③
①A②B③C
④D⑤E
3. 행성의 운동
※다음 그림은 행성의 운동이 일어나는 과정을 간단한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141~142)
[행성의 운동] ★
지구에서 볼 때, A행성은 어떻게 움직일까? ①
①태양 사이를 동서로 왔다갔다 한다.
②태양 사이를 남북으로 왔다갔다 한다.
③동으로 갔다가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서로 가는 운동을 한다.
④동으로 갔다가 서로 갔다가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동으로 간다.
⑤항상 제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내행성] ★
그림 A 행성을 볼 수 있는 시각과 위치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
새벽 낮 초저녁 한밤중
①동쪽 하늘 남쪽 하늘 서쪽 하늘 북쪽 하늘
②서쪽 하늘 남쪽 하늘 동쪽 하늘 북쪽 하늘
③동쪽 하늘 볼 수 없다 서쪽 하늘 볼 수 없다
④서쪽 하늘 볼 수 없다 동쪽 하늘 볼 수 없다
⑤북쪽 하늘 볼 수 없다 남쪽 하늘 볼 수 없다
[행성의 시운동] ★★★
다음 그림과 같은 시운동을 하는 행성들 중 A와 B의 간격이 가장 넓은 것은? ③
①수성②금성③화성
④목성⑤토성
[금성의 시운동] ★
다음은 천동설로 금성의 시운동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이 그림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것은? ⑤
①금성은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보인다.
②금성은 한밤 중에는 관측이 어렵다.
③금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왔다갔다 한다.
④금성은 태양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⑤금성은 위상 변화는 물론 크기도 변한다.
[화성의 시운동]
화성이 복잡한 시운동을 하는 까닭을 모두 고르면? ②, ④
①지구보다 공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②지구보다 공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③지구 안쪽 궤도를 돌고 있기 때문이다.
④지구 바깥쪽 궤도로 돌고 있기 때문이다.
⑤실제 운동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천체]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천체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③
황도 근처의 별자리 사이에서 관측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다가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①태양②달③토성
④수성⑤금성
[금성의 공전 궤도]
금성의 공전 궤도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그림을 그렸다. 선분 SE : 선분 SV=1 : 0.75라고 하면 금성의 실제 공전 궤도를 반지름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단, 지구에서 금성까지의 최단 거리는 4.05×km이다.) 1.2×km
[금성의 공전 궤도]
다음 그림은 금성의 공전 궤도를 그리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 최대 이각 48°
(2) 수성
(1) 그림에서 를 무엇이라 하며, 이 각은 몇 도인가?
(2)금성 외에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공전 궤도를 그릴 수 있는 행성은?
[화성의 공전 궤도]
다음 그림은 화성의 공전 궤도를 그리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알고 있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⑤
① 지동설②화성의 공전 주기
③지구의 공전 주기④화성의 관측 자료
⑤지구에서 화성까지의 거리
[화성의 공전 궤도]
다음 그림은 화성의 공전 궤도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의 크기를 구하기 위한 다음 식의 ( ) 안에 알맞은 식을 쓰시오.(단, 지구와 화성의 공전 주기는 각각 365일과 687일이다.)
= 720°- 360°×( )
※ 다음 표는 몇 가지 행성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를 나타낸 것이다.(151~152)
행성
수성
금성
목성
명왕성
자전 주기
59일
243일
0.41일
6.4일
공전 주기
0.24
0.62년
11.9년
249년
[행성의 자전과 공전] ★★★
표의 행성 중 하루가 가장 짧은 행성은 어느 것인지 쓰시오. 목성
[명왕성] ★★★
공전 속도가 가장 느린 행성은 어느 것인지 쓰시오. 명왕성

키워드

삭현상,   둘레,   공전,   자전,   현상,   위치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2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