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34번
주관식35~36번
정답
주관식35~36번
정답
본문내용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한다.
③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뚜렷하다.
④ 땅 속 깊이 뿌리를 내려 겨울을 난다.
⑤ 낱꽃이 모여 겹꽃이나 이삭을 형성한다.
27. 겉씨식물이 갖는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꽃이 핀다.
② 관다발을 갖는다.
③ 모두 침엽 상록수이다.
④ 밑씨가 겉으로 드러나 있다.
⑤ 화분은 바람에 의해 수분된다.
28. 다음 고사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다.
② 꽃이 피지 않고 포자로 번식한다.
③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한다.
④ 줄기는 땅속줄기이다.
⑤ 뿌리는 헛뿌리이다.
29. 선태식물보다 양치식물이 육상생활에 더 잘 적응하였다. 그 이유는?
① 양치식물은 다년생이고, 선태식물은 1년생이다.
② 양치식물은 꽃이 피나, 선태식물은 꽃이 피지 않는다.
③ 양치식물은 관다발이 있지만, 선태식물은 관다발이 없다.
④ 양치식물은 광합성을 하지만, 선태식물은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⑤ 양치식물은 암수의 구분이 있지만, 선태식물은 암수의 구분이 없다.
30. 선태식물은 다음 중 어떤 상태로 변해 가는 단계의 식물인가?
① 민꽃식물 → 종자식물
② 겉씨식물 → 속씨식물
③ 수중 생활 → 육상 생활
④ 기생 생활 → 독립 생활
⑤ 단세포 생물 → 다세포 생물
31. 그림은 바다의 깊이에 따른 종류의 분포이다. A지역에 주로 사는 종류를 모두 골라라.
① 김② 미역③ 파래
④ 청각⑤ 다시마
32. 다음 중 버섯의 몸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은?
① 포자② 자루③ 균사
④ 뿌리⑤ 갓
33. 곰팡이와 버섯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① 포자로 번식한다.
② 기생 생활을 한다.
③ 몸이 균사로 되어 있다.
④ 균사의 끝에 갓과 자루가 생긴다.
⑤ 유기 양분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34. 다음 실험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생물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삶은 감자를 납작하게 썰어서 샬레에 넣고, 따뜻하고 그늘진 곳에 1주일 정도 둔다.
㉡ 삶은 감자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살짝 대었다가 뗀다.
㉢ 이 셀로판 테이프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 붙이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① 관다발이 있다.
② 엽상체와 헛뿌리가 있다.
③ 꽃이 피며, 종자로 번식한다.
④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다.
⑤ 몸은 균사로 되어 있으며, 포자로 번식한다.
35. 아래 그림과 같이 나무 막대에 힘을 가하면 막대가 부러지는 순간 막대의 끝에서 흔들림이 생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일어나는 현상을 쓰시오.
36. 그림과 같은 화석 생물의 이름과 번성했던 지질 시대의 이름을 쓰시오.
화석 이름
지질 시대 이름
(가)
A
B
(나)
C
D
4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①
⑤
②
③
⑤
①
⑤
③
②
③
⑤
⑤
①
③
③
①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②
②
①
②
②
③
③
①
①
③
⑤
③
③
①
④
④
⑤
35 : 지진 36 : A:삼엽충, B:고생대, c:암모나이트, D:중생대
내신문제연구소
③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뚜렷하다.
④ 땅 속 깊이 뿌리를 내려 겨울을 난다.
⑤ 낱꽃이 모여 겹꽃이나 이삭을 형성한다.
27. 겉씨식물이 갖는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꽃이 핀다.
② 관다발을 갖는다.
③ 모두 침엽 상록수이다.
④ 밑씨가 겉으로 드러나 있다.
⑤ 화분은 바람에 의해 수분된다.
28. 다음 고사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다.
② 꽃이 피지 않고 포자로 번식한다.
③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한다.
④ 줄기는 땅속줄기이다.
⑤ 뿌리는 헛뿌리이다.
29. 선태식물보다 양치식물이 육상생활에 더 잘 적응하였다. 그 이유는?
① 양치식물은 다년생이고, 선태식물은 1년생이다.
② 양치식물은 꽃이 피나, 선태식물은 꽃이 피지 않는다.
③ 양치식물은 관다발이 있지만, 선태식물은 관다발이 없다.
④ 양치식물은 광합성을 하지만, 선태식물은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⑤ 양치식물은 암수의 구분이 있지만, 선태식물은 암수의 구분이 없다.
30. 선태식물은 다음 중 어떤 상태로 변해 가는 단계의 식물인가?
① 민꽃식물 → 종자식물
② 겉씨식물 → 속씨식물
③ 수중 생활 → 육상 생활
④ 기생 생활 → 독립 생활
⑤ 단세포 생물 → 다세포 생물
31. 그림은 바다의 깊이에 따른 종류의 분포이다. A지역에 주로 사는 종류를 모두 골라라.
① 김② 미역③ 파래
④ 청각⑤ 다시마
32. 다음 중 버섯의 몸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은?
① 포자② 자루③ 균사
④ 뿌리⑤ 갓
33. 곰팡이와 버섯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① 포자로 번식한다.
② 기생 생활을 한다.
③ 몸이 균사로 되어 있다.
④ 균사의 끝에 갓과 자루가 생긴다.
⑤ 유기 양분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34. 다음 실험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생물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삶은 감자를 납작하게 썰어서 샬레에 넣고, 따뜻하고 그늘진 곳에 1주일 정도 둔다.
㉡ 삶은 감자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살짝 대었다가 뗀다.
㉢ 이 셀로판 테이프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 붙이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① 관다발이 있다.
② 엽상체와 헛뿌리가 있다.
③ 꽃이 피며, 종자로 번식한다.
④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다.
⑤ 몸은 균사로 되어 있으며, 포자로 번식한다.
35. 아래 그림과 같이 나무 막대에 힘을 가하면 막대가 부러지는 순간 막대의 끝에서 흔들림이 생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일어나는 현상을 쓰시오.
36. 그림과 같은 화석 생물의 이름과 번성했던 지질 시대의 이름을 쓰시오.
화석 이름
지질 시대 이름
(가)
A
B
(나)
C
D
4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①
⑤
②
③
⑤
①
⑤
③
②
③
⑤
⑤
①
③
③
①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②
②
①
②
②
③
③
①
①
③
⑤
③
③
①
④
④
⑤
35 : 지진 36 : A:삼엽충, B:고생대, c:암모나이트, D:중생대
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