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23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암으로 변한다. 사암과 규암을 구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① 규암에는 화석이 발견된다.
② 사암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기체가 발생하나, 규암은 그렇지 않다.
③ 규암에는 기체가 빠져나간 구멍이 발견된다.
④ 규암은 사암보다 비교적 결정이 크다.
⑤ 규암에는 층리구조인 줄무늬가 발견된다.
18. 그림의 ⓐ에서 주로 생성되는 퇴적암은?
① 역암 ② 사암 ③ 셰일
④ 응회암 ⑤ 암염
19. 다음 퇴적암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생성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 위층이 아래층을 눌러서 퇴적물이 다져진다.
ⓑ 퇴적물이 운반되어 두껍게 쌓인다.
ⓒ 물속의 광물질성분이 침전되면서 알갱이를 결합시킨다.
ⓓ 퇴적물이 전점 굳어져 암석이 된다.
① ⓑ-ⓒ-ⓐ-ⓓ ② ⓐ-ⓑ-ⓒ-ⓓ
③ ⓑ-ⓐ-ⓒ-ⓓ ④ ⓑ-ⓐ-ⓓ-ⓒ
⑤ ⓐ-ⓒ-ⓑ-ⓓ
20. 그림은 어떤 지형의 단면도이다. 이 그림의 (가)와 (나)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변성암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가) - 사암, (나) - 대리암
② (가) - 편암, (나) - 대리암
③ (가) - 규암, (나) - 대리암
④ (가) - 편마암, (나) - 각섬암
⑤ (가) - 편암, (나) - 편마암
21. 지진이 일어난 곳을 진원,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을 진앙이라고 한다. P파가 도착한 시간과 S파가 도착한 시간 차이를 PS시 라고 하는데 이 PS시를 이용하면 진앙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다음의 그래프에서 PS시가 10초 관측된 지점은 진앙에서 몇 km 떨어진 곳인가?
① 40km ② 80km ③ 120km
④ 160km ⑤ 200km
22. 현미경으로 양파세포를 관찰하려고 한다. ×10의 접안렌즈를 사용하여 가장 많은 세포를 관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대물렌즈로 적당한 것을 고르면?
23. 다음은 현미경의 조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A. (마)를 돌려 초점을 정확
히 맞춘다.
B. (라)를 조절하여 (나)
가 프레파라트에 거의
닿을 정도로 내린다.
C. (다)를 조절하여 시야
를 밝게 보이도록 한다.
D. (가)를 보면서 (라)를
돌려 상을 찾는다.
① A→D→C→B ② B→C→D→A
③ C→B→D→A ④ B→C→A→D
⑤ D→A→B→C
<객관식 정답>
1
2
3
4
5
6
7
8
3
4
4
1
5
2
5
1
9
10
11
12
13
14
15
16
2
2
1
4
2
2
1
1
17
18
19
20
21
22
23
4
1
3
2
1
1
3
① 규암에는 화석이 발견된다.
② 사암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기체가 발생하나, 규암은 그렇지 않다.
③ 규암에는 기체가 빠져나간 구멍이 발견된다.
④ 규암은 사암보다 비교적 결정이 크다.
⑤ 규암에는 층리구조인 줄무늬가 발견된다.
18. 그림의 ⓐ에서 주로 생성되는 퇴적암은?
① 역암 ② 사암 ③ 셰일
④ 응회암 ⑤ 암염
19. 다음 퇴적암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생성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 위층이 아래층을 눌러서 퇴적물이 다져진다.
ⓑ 퇴적물이 운반되어 두껍게 쌓인다.
ⓒ 물속의 광물질성분이 침전되면서 알갱이를 결합시킨다.
ⓓ 퇴적물이 전점 굳어져 암석이 된다.
① ⓑ-ⓒ-ⓐ-ⓓ ② ⓐ-ⓑ-ⓒ-ⓓ
③ ⓑ-ⓐ-ⓒ-ⓓ ④ ⓑ-ⓐ-ⓓ-ⓒ
⑤ ⓐ-ⓒ-ⓑ-ⓓ
20. 그림은 어떤 지형의 단면도이다. 이 그림의 (가)와 (나)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변성암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가) - 사암, (나) - 대리암
② (가) - 편암, (나) - 대리암
③ (가) - 규암, (나) - 대리암
④ (가) - 편마암, (나) - 각섬암
⑤ (가) - 편암, (나) - 편마암
21. 지진이 일어난 곳을 진원,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을 진앙이라고 한다. P파가 도착한 시간과 S파가 도착한 시간 차이를 PS시 라고 하는데 이 PS시를 이용하면 진앙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다음의 그래프에서 PS시가 10초 관측된 지점은 진앙에서 몇 km 떨어진 곳인가?
① 40km ② 80km ③ 120km
④ 160km ⑤ 200km
22. 현미경으로 양파세포를 관찰하려고 한다. ×10의 접안렌즈를 사용하여 가장 많은 세포를 관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대물렌즈로 적당한 것을 고르면?
23. 다음은 현미경의 조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A. (마)를 돌려 초점을 정확
히 맞춘다.
B. (라)를 조절하여 (나)
가 프레파라트에 거의
닿을 정도로 내린다.
C. (다)를 조절하여 시야
를 밝게 보이도록 한다.
D. (가)를 보면서 (라)를
돌려 상을 찾는다.
① A→D→C→B ② B→C→D→A
③ C→B→D→A ④ B→C→A→D
⑤ D→A→B→C
<객관식 정답>
1
2
3
4
5
6
7
8
3
4
4
1
5
2
5
1
9
10
11
12
13
14
15
16
2
2
1
4
2
2
1
1
17
18
19
20
21
22
23
4
1
3
2
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