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전 미리 알아야할 사항
1번 실험
토의
1번 실험
토의
본문내용
작업이 힘들었고 그래프의 파형이 정상적인 것인지 확인하여 아니면 다시 해주고 파형을 찍었으면 이 내용이 계산적 증폭률과 실험적 증폭률이 같은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각의 파라미터들을 구하고 서로 비교 하였다. 이렇게 하여 첫 번째 실험은 성공적으로 마쳤다. 하지만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이번에도 2번 실험을 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특성 곡선을 그리는 것 이였는데 처음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였다. 결국 30분 남기고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아내었는데 이때는 이미 너무 늦어버린 상황 이였다. 회로도의 저항 값을 바꾼 후 다시 각 파라미터들을 구하고 각 트렌지스터 부분의 전류를 구해야 하는데 시간이 모자랐다. 사실 약간 수치스러운 일이지만 전 실험에서도 마찬가지인 상황 이였는데
위의 그래프의 붉은 곡선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아직 까지도 잘 모르겠다. 조교님께 물어봤을 때에는 아 이런 거구나 하고 있었는데 막상 실제로 측정하려니 어떻게 하는지 몰라 직접 전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멀티미터로 측정해 보니 너무 값이 작아서 인지는 몰라도 측정이 거의 불가능 하였다. 1번 실험을 마치고 2번 실험을 시작할 때에는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끝내보려 노력하였으나 하지 못하여 정말 아쉽다. 그래도 뿌듯한 점이 있었다면 1번 실험만큼은 예비 레포트 작성 시 준비를 잘 하여 실험하는데 어려움 없이 정확한 값을 도출 시켰다는데 뿌듯함을 느꼈다. 비록 2번 실험을 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도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해가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고 이 습관을 꾸준히 몸에 익히도록 하겠다.
위의 그래프의 붉은 곡선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아직 까지도 잘 모르겠다. 조교님께 물어봤을 때에는 아 이런 거구나 하고 있었는데 막상 실제로 측정하려니 어떻게 하는지 몰라 직접 전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멀티미터로 측정해 보니 너무 값이 작아서 인지는 몰라도 측정이 거의 불가능 하였다. 1번 실험을 마치고 2번 실험을 시작할 때에는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끝내보려 노력하였으나 하지 못하여 정말 아쉽다. 그래도 뿌듯한 점이 있었다면 1번 실험만큼은 예비 레포트 작성 시 준비를 잘 하여 실험하는데 어려움 없이 정확한 값을 도출 시켰다는데 뿌듯함을 느꼈다. 비록 2번 실험을 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도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해가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고 이 습관을 꾸준히 몸에 익히도록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