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발달 배경
2. DSM-Ⅳ 개정 과정
2-1)문헌고찰
2-2)자료의 재분석
2-3)임상적 시도
3. 변화의 기준
4. DSM-Ⅳ의 전망
5. 고찰
2. DSM-Ⅳ 개정 과정
2-1)문헌고찰
2-2)자료의 재분석
2-3)임상적 시도
3. 변화의 기준
4. DSM-Ⅳ의 전망
5. 고찰
본문내용
. 셋째, 진단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낙인이 존재함을 인정하고 그것에 대해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이 그것에 속한다. 사람이 만든 것임에 비판이나 오류가 있음은 당연한 것일 지도 모른다. 사람의 마음과 상태를 이런 체계로 다 잴 수 있다면 그 치료도 쉬워지겠지만 사람의 마음이란 그 끝을 알수 없고 알면 알수록 더욱 복잡한 것 일지도 모른다. 다만 조금이라도 그 이상 행동들에 대한 보편적인 양상을 잡아 낼 수 있음에 이 체계가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이상심리학-이봉건 옮김, 시그마프레스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 DSM-IV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하나醫學社
http://cafe.daum.net/enneapersonality
*참고문헌
이상심리학-이봉건 옮김, 시그마프레스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 DSM-IV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하나醫學社
http://cafe.daum.net/enneapers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