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예상문제 0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19번

<정답>

본문내용

의식주,( ㉠ ) 자연 현상에 관한 것에서부터 생겨났다. ( ㉡ ) 그림 문자를 점차 많이 쓰게 되면서 사람들은 사건의 경과나 명령의 기록 등 추상적인 생각이나 개념을 표시할 필요성을 느꼈다. ( ㉢ ) 하나의 그림 문자에 그와 연관되는 의미도 함께 나타내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나) 모음자는 그 모음자의 발음을 그대로 이름으로 삼았다. 그런데 자음자의 이름을 붙이는 방식은 모음자의 경우와는 다소 달랐다. 우선 다음 그
림을 먼저 살펴보자.
ㅣ 으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자음자의 이름은 그 자음자를 파란 네모 상자에 넣어서 만들어지는 단어로 하였다. 예를 들어, ‘ㄴ’을 두 상자에 넣으면 ‘니은’이라는 이름의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 ), ( ), ( )은 이 방법에 어긋나는 이름들이다.
15. ㉠ - ㉢에 들어갈 접속어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그리고
그러나
그래서
2)
또한
따라서
그러므로
3)
그런데
그래서
그리고
4)
그러므로
그리고
그러나
5)
그러나
그런데
따라서
16. 글(나)의 밑줄 친 빈 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기읔, 드귿, 시읏
2) 기역, 디귿, 시옷
3) 기역, 리을, 히읗
4) 기역, 디귿, 시읏
5) 기역, 디귿, 키읔
17. 다음 중 음성 언어의 특징을 모두 고르면?
========================================
가) 청각에 의존한다.
나) 오래 보존할 수 있다.
다) 옴짓, 표정을 활용 할 수 있다.
라) 공간의 제약을 받는다.
마) 지식을 전승하는 주요 수단이다.
=======================================
1) 가, 나
2) 가, 다
3) 나, 다, 마
4) 가, 라, 마
5) 가, 다, 라
18. 다음은 한자 이름을 토박이 이름으로 바꾼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서울 - 한양
2) 광주 - 빛고을
3) 운곡동 - 구름골마을
4) 초동 - 푸실(풀실)
5) 대전 - 한밭
1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말을 아래 제시된 글에서 고르면?
[이런 말의 사용은 원만한 인간 관계를 해치며, 정서적인 면에서도 나쁜 영향을 준다.]
=======================================
①잔디밭에서 송아지 데린 암소가 놀고 있었다. 어미는 너무 크고, 송아지 등에 가 앉아 보았다. 간지럽다고 ②강종 강종 뛰었다. ③이마빡으로 옮아 앉아서 터럭을 물고 ④진득이 잡아당겼다. 부룩송아지니, 머리를 ⑤사뭇 내젓는 통에 저만치 가서 떨어졌다.
-채만식<왕치와 소새와 개미와> 중에서 -
=======================================
* 20문항이나, 교정 부호를 묻는 문항은 생략하였습니다. 양해바랍니다.
<정답>
1. (4)
2. (2)
3. (1)
4. (2)
5. (4)
6. (4)
7. (2)
8. (5)
9. (3),(5)
10. (4)
11. (3)
12. (3)
13. (4)
14. (5)
15. (1)
16. (2)
17. (5)
18. (1)
19. (3)

키워드

황순원,   소나기,   장기려,   하회,   문화,   여행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7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