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33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전개 방법이 각각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예시, 비유
② 정의, 비유
③ 비교, 분류
④ 예시, 대조
⑤ 정의, 예시
29. 이 글을 통해 지은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① 사전의 종류
② 사전의 역할
③ 사전의 효율성
④ 사전 찾는 습관의 중요성
⑤ 사전(辭典)과 사전(事典)의 뜻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그러면 우리는 왜 잠을 자는 것인가? 왜 인생의 3분의 1을 잠으로 보내야만 하는 것인가? 뒤집어 생각해 보면, 잠을 자고 있는 것이 우리의 정상적인 모습이고, 잠을 자지 않는 것은 여러 자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깨어 있는 비정상적인 모습인지도 모른다. 과연 잠을 자고 있을 때와 깨어 있을 때, 우리의 뇌에는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나)
우리가 깨어 있을 때 뇌는 규칙적인 파장을 낸다. 신경과 의사들은 뇌에서 나오는 파장을 검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를 기록한다. 깨어 있을 때, 뇌의 파장은 1초에 8회 정도로 규칙적이다. 이러한 각성 상태의 과정을 우리는 '알파파'라 부른다. 그러나 우리가 잠들기 시작하면 뇌의 파장은 달라진다. 잠이 들면 뇌의 파장이 점차 느려지고, 그 진폭은 커진다. 뇌파의 변화는 잠이 깊어질수록 더 뚜렷해진다. 우리가 아주 깊은 잠에 바지면 우리의 뇌에는 1초에 3-4회 정도 반복되는 느린 파장인 '델타파'가 나타난다. 각성 상태의 알파파보다 수면 상태의 델타파는 훨씬 느린 파장이다.
(다)
흥미로운 것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잠의 깊이에 따라 우리의 뇌파가 변한다는 것이다. 잠이 든 지 약 90분이 지나면, 뇌파의 파장이 다시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깨어 있을 때의 알파파와 흡사한 뇌파가 나타난다. 이처럼 뇌파가 느린 파장에서 빠른 파장으로 변할 때, 세상 모르고 깊이 잠들었던 사람은 몸을 뒤척이게 된다.
(라)
눈을 움직이면서 자는 얕은 잠을 렘(REM : Rapid Eye Movement) 수면이라고 한다. 렘 수면은 성인의 경우 하룻밤에 4-6회 반복되는데, 시간으로는 전체 수면의 20-25%를 차지한다. 결국, 우리는 인식하지는 못하지만, 하루에도 여러 번 얕은 잠과 깊은 잠의 상태를 반복하고 있는 셈이다. 렘 수면은 깨어 있는 것에 가까운 얕은 수면이다. 렘 수면 상태에서는 혈압, 맥박, 그리고 호흡이 증가된다. 바로 이런 상태에서 사람들은 꿈을 꾸고, 그 내용에 따라 잠꼬대도 한다.
(마)
잠을 자고 있는 돌고래의 뇌파를 검사해 보았더니, 한 쪽 뇌에는 커다란 진폭의 느린 파장(델타파)이 나타나고, 그 반대쪽 뇌에는 빠른 파장이 나타났다. 잠을 자고 있는 동안 이 녀석들의 양쪽 뇌 모두에서 델타 파장이 나오는 경우는 결코 없다. 즉 다른 동물들과 달리 돌고래의 뇌는 꼭 반만 잠을 자는 것이다. 이렇게 돌고래의 뇌 전체가 잠을 잘 수 없는 이유는 돌고래가 포유동물이기 때문이다. 돌고래는 수면 중에도 호흡을 하기 위해 간혹 수면 위로 떠올라야 하기 때문이다.
---------------------
30. (가)~(라)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1초에 8회 정도의 규칙적인 파장을 알파파라 한다.
② 잠들어 있을 때 보다 깨어있을 때의 파장이 훨씬 느리다.
③ 각성 상태에서 뇌의 파장은 점차 느려지고 진폭은 커진다.
④ 잠이 든 후에 파장이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델타파가 나타난다.
⑤ 렘수면 상태는 얕은 잠에 빠져 혈압, 맥박, 호흡이 안정되는 상태를 말한다.
31. (가)~(라)의 내용에 가장 잘 어울리는 질문은 무엇인가?
① 잠이란 무엇인가?
② 꿈이란 무엇인가?
③ 잠과 뇌는 어떤 관계인가?
④ 알파파와 델타파의 특성은 무엇인가?
⑤ 각성 상태와 수면 상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32. 다음 글과 가장 관련이 깊은 단락은?
이 세상의 모든 생물들은 자기가 처한 환경에 맞게 진화했다. 잠도 틀림없이 그럴 것이다. 우리는 병에 걸리면 잠을 자는데, 이는 에너지를 절약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다. 또 심한 병에 걸리면 아예 의식을 잃고 혼수상태에 빠져 버리는데, 이것도 일종의 보호 작용일지 모른다. 이런 여러 가지 우리의 잠의 모습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발전시켜 온 진화의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33. 뇌파에 관한 다음 글을 읽고 알 수 있는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국어
사전
뇌파(腦波) [뇌-/눼-][명사] 뇌의 활동에 따라서 일어나는 뇌전류, 또는 그것을 끌어내어 증폭 기록한 것.
백과
사전
1875년 영국의 생리학자 R.케이튼이 처음으로 토끼 원숭이의 대뇌피질(大腦皮質)에서 나온 미약한 전기활동을 검류계(檢流計)로 기록하였다.
뇌파를 관찰할 때 그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α파는 사람 뇌파의 대표적인 성분이며, 보통 10 Hz 전후의 규칙적인 파동이며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진폭은 평균 50 μV 정도로, 두정부(頭頂部)와 후두부에서 가장 크게 기록되며, 전두부에서는 작다. α파가 안정하게 나타나는 것은 눈을 감고 진정한 상태로 있을 때이며, 눈을 뜨고 물체를 주시하거나 정신적으로 흥분하면 α파는 억제된다.
α파보다 빠른 파동을 속파(速波)라고 하는데, β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중심부나 전두부에 우세하게 나타난다. 진폭은 보통 20 μV 정도이다. α파보다 늦은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서파(徐波)라고 하는데, 4~7 Hz의 것을 θ파, 그 이하의 것을 δ파라고 한다.
① 국어 사전에는 단어의 품사가 나와 있다.
② 국어 사전에는 발음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다.
③ 백과 사전에는 뇌파의 종류가 나온다.
④ 백과 사전에는 뇌파라는 단어의 뜻이 나와 있다.
⑤ 백과 사전에는 뇌파의 최초 발견자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다.
정답
1) ③
2) ①
3) ③
4) ④
5) ②
6) ④
7) ①
8) ①
9) ⑤
10) ②
11) ①
12) ⑤
13) ④
14) ⑤
15) ③
16) ②
17) ②
18) ②
19) ①
20) ③
21) ③
22) ③
23) ①, ⑤
24) ①
25) ⑤
26) ④
27) ③
28) ②
29) ④
30) ①
31) ⑤
32) ⑤
33) ④
① 예시, 비유
② 정의, 비유
③ 비교, 분류
④ 예시, 대조
⑤ 정의, 예시
29. 이 글을 통해 지은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① 사전의 종류
② 사전의 역할
③ 사전의 효율성
④ 사전 찾는 습관의 중요성
⑤ 사전(辭典)과 사전(事典)의 뜻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그러면 우리는 왜 잠을 자는 것인가? 왜 인생의 3분의 1을 잠으로 보내야만 하는 것인가? 뒤집어 생각해 보면, 잠을 자고 있는 것이 우리의 정상적인 모습이고, 잠을 자지 않는 것은 여러 자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깨어 있는 비정상적인 모습인지도 모른다. 과연 잠을 자고 있을 때와 깨어 있을 때, 우리의 뇌에는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나)
우리가 깨어 있을 때 뇌는 규칙적인 파장을 낸다. 신경과 의사들은 뇌에서 나오는 파장을 검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를 기록한다. 깨어 있을 때, 뇌의 파장은 1초에 8회 정도로 규칙적이다. 이러한 각성 상태의 과정을 우리는 '알파파'라 부른다. 그러나 우리가 잠들기 시작하면 뇌의 파장은 달라진다. 잠이 들면 뇌의 파장이 점차 느려지고, 그 진폭은 커진다. 뇌파의 변화는 잠이 깊어질수록 더 뚜렷해진다. 우리가 아주 깊은 잠에 바지면 우리의 뇌에는 1초에 3-4회 정도 반복되는 느린 파장인 '델타파'가 나타난다. 각성 상태의 알파파보다 수면 상태의 델타파는 훨씬 느린 파장이다.
(다)
흥미로운 것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잠의 깊이에 따라 우리의 뇌파가 변한다는 것이다. 잠이 든 지 약 90분이 지나면, 뇌파의 파장이 다시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깨어 있을 때의 알파파와 흡사한 뇌파가 나타난다. 이처럼 뇌파가 느린 파장에서 빠른 파장으로 변할 때, 세상 모르고 깊이 잠들었던 사람은 몸을 뒤척이게 된다.
(라)
눈을 움직이면서 자는 얕은 잠을 렘(REM : Rapid Eye Movement) 수면이라고 한다. 렘 수면은 성인의 경우 하룻밤에 4-6회 반복되는데, 시간으로는 전체 수면의 20-25%를 차지한다. 결국, 우리는 인식하지는 못하지만, 하루에도 여러 번 얕은 잠과 깊은 잠의 상태를 반복하고 있는 셈이다. 렘 수면은 깨어 있는 것에 가까운 얕은 수면이다. 렘 수면 상태에서는 혈압, 맥박, 그리고 호흡이 증가된다. 바로 이런 상태에서 사람들은 꿈을 꾸고, 그 내용에 따라 잠꼬대도 한다.
(마)
잠을 자고 있는 돌고래의 뇌파를 검사해 보았더니, 한 쪽 뇌에는 커다란 진폭의 느린 파장(델타파)이 나타나고, 그 반대쪽 뇌에는 빠른 파장이 나타났다. 잠을 자고 있는 동안 이 녀석들의 양쪽 뇌 모두에서 델타 파장이 나오는 경우는 결코 없다. 즉 다른 동물들과 달리 돌고래의 뇌는 꼭 반만 잠을 자는 것이다. 이렇게 돌고래의 뇌 전체가 잠을 잘 수 없는 이유는 돌고래가 포유동물이기 때문이다. 돌고래는 수면 중에도 호흡을 하기 위해 간혹 수면 위로 떠올라야 하기 때문이다.
---------------------
30. (가)~(라)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1초에 8회 정도의 규칙적인 파장을 알파파라 한다.
② 잠들어 있을 때 보다 깨어있을 때의 파장이 훨씬 느리다.
③ 각성 상태에서 뇌의 파장은 점차 느려지고 진폭은 커진다.
④ 잠이 든 후에 파장이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델타파가 나타난다.
⑤ 렘수면 상태는 얕은 잠에 빠져 혈압, 맥박, 호흡이 안정되는 상태를 말한다.
31. (가)~(라)의 내용에 가장 잘 어울리는 질문은 무엇인가?
① 잠이란 무엇인가?
② 꿈이란 무엇인가?
③ 잠과 뇌는 어떤 관계인가?
④ 알파파와 델타파의 특성은 무엇인가?
⑤ 각성 상태와 수면 상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32. 다음 글과 가장 관련이 깊은 단락은?
이 세상의 모든 생물들은 자기가 처한 환경에 맞게 진화했다. 잠도 틀림없이 그럴 것이다. 우리는 병에 걸리면 잠을 자는데, 이는 에너지를 절약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다. 또 심한 병에 걸리면 아예 의식을 잃고 혼수상태에 빠져 버리는데, 이것도 일종의 보호 작용일지 모른다. 이런 여러 가지 우리의 잠의 모습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발전시켜 온 진화의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33. 뇌파에 관한 다음 글을 읽고 알 수 있는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국어
사전
뇌파(腦波) [뇌-/눼-][명사] 뇌의 활동에 따라서 일어나는 뇌전류, 또는 그것을 끌어내어 증폭 기록한 것.
백과
사전
1875년 영국의 생리학자 R.케이튼이 처음으로 토끼 원숭이의 대뇌피질(大腦皮質)에서 나온 미약한 전기활동을 검류계(檢流計)로 기록하였다.
뇌파를 관찰할 때 그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α파는 사람 뇌파의 대표적인 성분이며, 보통 10 Hz 전후의 규칙적인 파동이며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진폭은 평균 50 μV 정도로, 두정부(頭頂部)와 후두부에서 가장 크게 기록되며, 전두부에서는 작다. α파가 안정하게 나타나는 것은 눈을 감고 진정한 상태로 있을 때이며, 눈을 뜨고 물체를 주시하거나 정신적으로 흥분하면 α파는 억제된다.
α파보다 빠른 파동을 속파(速波)라고 하는데, β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중심부나 전두부에 우세하게 나타난다. 진폭은 보통 20 μV 정도이다. α파보다 늦은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서파(徐波)라고 하는데, 4~7 Hz의 것을 θ파, 그 이하의 것을 δ파라고 한다.
① 국어 사전에는 단어의 품사가 나와 있다.
② 국어 사전에는 발음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다.
③ 백과 사전에는 뇌파의 종류가 나온다.
④ 백과 사전에는 뇌파라는 단어의 뜻이 나와 있다.
⑤ 백과 사전에는 뇌파의 최초 발견자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다.
정답
1) ③
2) ①
3) ③
4) ④
5) ②
6) ④
7) ①
8) ①
9) ⑤
10) ②
11) ①
12) ⑤
13) ④
14) ⑤
15) ③
16) ②
17) ②
18) ②
19) ①
20) ③
21) ③
22) ③
23) ①, ⑤
24) ①
25) ⑤
26) ④
27) ③
28) ②
29) ④
30) ①
31) ⑤
32) ⑤
33)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