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30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들 그것을 찾아보지 않으면 남의 머릿속에 든 지식일 뿐이다. 아무리 크고 마르지 않는 ㉣샘물이라 할지라도 그 샘물을 먹지 않고 바라보기만 한다면 목을 축일 수 있겠는가? 목동이 말을 물가까지 끌고 갈 수는 있으나 그 물가에서 목을 축이는 일은 말 스스로가 해야 하는 법이다.
(라) 모든 일이 다 그러하지만, 책을 읽으며 사전을 찾아보는 일 역시 습관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습관이야말로 우리 인류가 이제까지 쌓아 온 ㉤'지식의 보고' 안으로 언제든지 들어가 그 속을 살펴보는 ㉥열쇠인 것이다. 그 열쇠만 가지고 있다면 예전의 누구처럼 "네, 우리 나라 문교부 장관의 이름은 검정필입니다." 하는 망신은 당하지 않을 것이다.
23. 다음 중 글 (가)의 ㉠두 종류의 사전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③
① 사전(事典)은 국어 사전이나 영어 사전 등이 있다.
② 사전(辭典)은 세상의 이치를 설명해 놓은 책이다.
③ 사전(事典)은 사전(辭典)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④ 사전(辭典)은 전문적인 다양한 분야가 있다.
⑤ 사전(事典)은 ‘말’의 뜻을 설명한 책이다.
24. 글 (나)-(라)의 ㉡-㉥ 중 의미하는 바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⑤
① ㉡미지의 세계 ② ㉢구슬 ③ ㉣샘물
④ ㉤지식의 보고 ⑤ ㉥열쇠
25. 이 글에서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②
① 사전은 지식의 보물창고이다.
② 사전을 찾으며 읽는 습관이 중요하다.
③ 사전은 필수품이다.
④ 여러 종류의 사전을 갖추어 놓고 있어야 한다.
⑤ 소설가는 사전 찾는 습관이 있어야 성공한다.
26. 다음 중 사전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는?⑤
① 빵 ② 밖 ③ 비 ④ 배추 ⑤바탕
<독서고사> 이청준 단편집 [선생님의 밥그릇]
27. ‘어머니를 위한 노래’는 ‘연’과 ‘빗새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줄거리와 의미가 다르게 설명된 것은 무엇인가?④
① ‘연’에서 어머니는 상급학교에 진학 못한 아들을 위해 연실을 마련해 준다.
② ‘연’에서 아들은 마침내 연줄을 끊어 버리고 도회지로 떠난다.
③ ‘빗새 이야기’에서 동백나무는 새들이 편히 쉴 수 있는 보금자리가 된다.
④ ‘빗새 이야기’에서 ‘빗새’는 어머니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⑤ ‘빗새 이야기’에서 아들은 30년 만에 귀향한다.
28.‘선생님의 밥그릇’에서 선생님이 밥을 미리 반
쯤이나 덜어 내고 하시는 식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②
① 제 설익은 생각을 남에게 강요한 자신의 실수에 대한 부끄러움때문에
② 소식을 통한 건강요법을 위해
③ 37년 전 제자 문상훈 군의 빈 도시락통을 확인한 후부터 시작된 습관이다.
④ 제자에게 선생님 몫의 절반을 나누고 있다는 마음이라도 전하기 위해
⑤ 뜨겁고 자애로운 제자 사랑의 마음 때문에
29. 다음 중 각 작품에 대해 바르게 말한 것은?②
① ‘별을 기르는 아이’의 어머니는 순희를 위해 동전 몇 닢을 놓아 두었다.
② ‘별을 기르는 아이’는 정직으로 가난을 이겨낼 때 값진 보상을 받게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③ ‘나들이 하는 그림’의 화가는 은종이에 주로 ‘나무’와 ‘산’과 ‘새’를 그렸다.
④ ‘나들이 하는 그림’의 화가는 마지막까지 그림을 아무에게도 주지 않았다.
⑤ ‘나들이 하는 그림’과 ‘그 가을의 내력’은 판타지(환상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30. ‘그 가을의 내력’의 내용을 바르게 말한 것은?④
① 석구의 성격은 외향적이며 금옥이는 내성적이다.
② 누렁이는 결국 베스를 이긴다.
③ 금옥이는 무남독녀 외동딸이다.
④ 목표가 달성된 순간 석구는 금옥에게 품었던 속마음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⑤ 석구와 금옥이의 집은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
(라) 모든 일이 다 그러하지만, 책을 읽으며 사전을 찾아보는 일 역시 습관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습관이야말로 우리 인류가 이제까지 쌓아 온 ㉤'지식의 보고' 안으로 언제든지 들어가 그 속을 살펴보는 ㉥열쇠인 것이다. 그 열쇠만 가지고 있다면 예전의 누구처럼 "네, 우리 나라 문교부 장관의 이름은 검정필입니다." 하는 망신은 당하지 않을 것이다.
23. 다음 중 글 (가)의 ㉠두 종류의 사전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③
① 사전(事典)은 국어 사전이나 영어 사전 등이 있다.
② 사전(辭典)은 세상의 이치를 설명해 놓은 책이다.
③ 사전(事典)은 사전(辭典)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④ 사전(辭典)은 전문적인 다양한 분야가 있다.
⑤ 사전(事典)은 ‘말’의 뜻을 설명한 책이다.
24. 글 (나)-(라)의 ㉡-㉥ 중 의미하는 바가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⑤
① ㉡미지의 세계 ② ㉢구슬 ③ ㉣샘물
④ ㉤지식의 보고 ⑤ ㉥열쇠
25. 이 글에서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②
① 사전은 지식의 보물창고이다.
② 사전을 찾으며 읽는 습관이 중요하다.
③ 사전은 필수품이다.
④ 여러 종류의 사전을 갖추어 놓고 있어야 한다.
⑤ 소설가는 사전 찾는 습관이 있어야 성공한다.
26. 다음 중 사전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는?⑤
① 빵 ② 밖 ③ 비 ④ 배추 ⑤바탕
<독서고사> 이청준 단편집 [선생님의 밥그릇]
27. ‘어머니를 위한 노래’는 ‘연’과 ‘빗새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줄거리와 의미가 다르게 설명된 것은 무엇인가?④
① ‘연’에서 어머니는 상급학교에 진학 못한 아들을 위해 연실을 마련해 준다.
② ‘연’에서 아들은 마침내 연줄을 끊어 버리고 도회지로 떠난다.
③ ‘빗새 이야기’에서 동백나무는 새들이 편히 쉴 수 있는 보금자리가 된다.
④ ‘빗새 이야기’에서 ‘빗새’는 어머니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⑤ ‘빗새 이야기’에서 아들은 30년 만에 귀향한다.
28.‘선생님의 밥그릇’에서 선생님이 밥을 미리 반
쯤이나 덜어 내고 하시는 식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②
① 제 설익은 생각을 남에게 강요한 자신의 실수에 대한 부끄러움때문에
② 소식을 통한 건강요법을 위해
③ 37년 전 제자 문상훈 군의 빈 도시락통을 확인한 후부터 시작된 습관이다.
④ 제자에게 선생님 몫의 절반을 나누고 있다는 마음이라도 전하기 위해
⑤ 뜨겁고 자애로운 제자 사랑의 마음 때문에
29. 다음 중 각 작품에 대해 바르게 말한 것은?②
① ‘별을 기르는 아이’의 어머니는 순희를 위해 동전 몇 닢을 놓아 두었다.
② ‘별을 기르는 아이’는 정직으로 가난을 이겨낼 때 값진 보상을 받게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③ ‘나들이 하는 그림’의 화가는 은종이에 주로 ‘나무’와 ‘산’과 ‘새’를 그렸다.
④ ‘나들이 하는 그림’의 화가는 마지막까지 그림을 아무에게도 주지 않았다.
⑤ ‘나들이 하는 그림’과 ‘그 가을의 내력’은 판타지(환상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30. ‘그 가을의 내력’의 내용을 바르게 말한 것은?④
① 석구의 성격은 외향적이며 금옥이는 내성적이다.
② 누렁이는 결국 베스를 이긴다.
③ 금옥이는 무남독녀 외동딸이다.
④ 목표가 달성된 순간 석구는 금옥에게 품었던 속마음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⑤ 석구와 금옥이의 집은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