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U-폐렴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상자 간호력

2. 병태생리.

3. 임상검사결과

4. 간호진단

본문내용

양상이 정상상태를 유지하였다.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⑤ 11월 20일 호흡 시 Wheezing sound가 들렸다.
⑥ 호흡리듬은 규칙적이나 얕고 빠르다. (tachypnea)
⑦ 처방된 항생제 Rukasyn 180Mg 3회/day IV, Netilmicin Sulfate 8mg 2회/day IV, Banan dry syrup 1.5ml 3회/day PO로 투여한다.
⑧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 약 3시간마다 50~65cc의 BMF(Breast Milk Bottle Feeding)를 수유한다.
⑨ 보육기안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지 위해 가습기를 적용시킨다.
⑩ 흉부 물리요법 (진동법)을 실시한다.
⑦ 정확한 양의 항생제를 투여하여 폐렴을 치료한다.
⑧ 호흡근육을 지지하고 호흡에 필요하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⑨ 적절한 습도의 공기는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⑩ 기관지를 막고 있는 객담을 제거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⑥ 대상자의 머리부분을 30~40도 정도 올려 주었고 베개로 지지하여 측위를 취해주었다.
⑦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⑧ 약 3시간마다 50~65cc의 BMF(Breast Milk Bottle Feeding)를 수유하였다.
Total
11/20
11/21
11/22
400
465
480
11/23
11/24
11/25
480
492
504
⑨ 가습기 (멸균된 증류수)를 apply 하였다.
⑩ 흉부 물리요법을 수유 15 분전 매 3회 실시하였다.
#2.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① 11월 18일 Chest X-ray 에서 Rt. Lung Pneumonia 진단 받았다. (11/18 입원)
② 11월 20일 대상자는 incubator 속에서 계속 울어댐.
③ 11월 20일 nasal과 oral로 육안으로 보이는 노란 분비물이 차 있음이 관찰되었다.
④ 호기시 색색거리는 호기성 신음(grunting)이 들렸다.
⑤ 호흡시 대상자의 비공이 확장되어 있었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효율적인 기도청결을 유지한다.
<단기 목표>
①대상자의 secration 양이 줄어든다.
② 육안으로 비강, 구강 분비물의 양상이 보이지 않는다.
③ 대상자는 ABGA상 정상수치를 보인다.(pH, PCO2, PO2, HCO3)
<진단적 계획>
① 호흡양상을 매 3시간 마다 관찰한다. (호흡수, 호흡깊이, 호흡리듬)
② secration의 양, 색, 농도를 매 3시간 마다 관찰한다.
③ ABGA상 (pH, PCO2, PO2, HCO3) 수치가 정상범위인지 여부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처방된 수액(10% DW 300 IV + Nacl-40 7.5ml)을 3gtt/min으로 공급한다.
⑤ 상하기도 청결을 위하여 필요시 마다 suction 시행하되 1회 5초를 넘기지 않고2~3회 반복하며 tip을 넣은 뒤 빼내면서 압력을 가한다.
① 환자의 기도개방성 장애가 있으면 호흡수가증가하고 깊이가 깊어지며 리듬이 불규칙하다.
③ 동맥혈 가스분석은 폐의 가스교환능력을 알아보는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관리하고 평가하는데 가장 기본적 검사이다.
④수분공급은 객담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⑤ 흡인 행위는 점막을 자극하므로 suction 시행하되 1회 5초를 넘기지 않고2~3회 반복하며 tip을 넣은 뒤 빼내면서 압력을 가한다.
① 호흡양상을 매 3시간 마다 관찰하였다.
② secration의 양, 색, 농도를 매 3시간 마다 관찰하였다.
③ ABGA상 (PH, PCO2, PO2, HCO3)수치가 정상 범위인지 여부를 사정하였다.
검사명
결과치
11/18
11/22
pH
7.464
7.435
PCO2
33.7
35.0
PO2
70.5
77.4
O2 Saturation
96.0
98.0
O2 content
14.1
15.9
④ 처방된 수액을 3gtt로 공급하였다.
⑤ 상하기도 청결을 위하여 필요시 마다 suction 시행하되 1회 5초를 넘기지 않고2~3회 반복하며 tip을 넣은 뒤 빼내면서 압력을 가하면서 담당간호사가 시행함을 관찰하였다.
① 11월 22일 대상자의 secration 양이 크게 줄어든 것을 관찰하였다.
② 육안으로 구강 분비물은 보이지 않았지만 비강 분비물은 소량 관찰되었다.
③ 대상자의 ABGA 수치가 11월 22일날 정상수치를 유지하였다.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⑥ 흉곽운동이 심하게 일어 나며 흉골부의 꺼짐이 깊었 다.
⑦ 11월 18일 ABGA 검사상
PCO2
33.7
PO2
70.5
O2 content
14.1
로 낮게 측정 되었다.
⑥ suction tip 과 saline을 incubator옆에 항상 무균적으로 준비한다.
⑦ suction 전후로 등을 가볍게 두드려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⑧ 3시간마다 체위를 변경시켜 배액을 유도한다.
⑨ incubator 내에 가습을 하되 습도를 70%이하로 유지시켜준다.
⑩ 구강청결을 위해 boric을적신 솜을 이용하여 닦아준다.
⑪ 하루 3회 구강간호 후 incubator를 약 15°정도 head up 시켜준다.
⑥ secration의 농도가 짙은 경우 묽게 하는 방법으로 saline을 투여 후 시행한다.
⑦ 체위변경과 물리요법은 배액이 잘 되도록 한다.
⑨ 분비물이 습화되어 배액이 잘된다.
⑩ 가습과 수분섭취는 점막작용을 증가시킨다.
⑪ 분비물로 인한 냄새와 구강 점막 등의 이차적 감염을 예방한다
⑥ suction tip 과 saline을 incubator옆에 항상 무균적으로 준비하였다.
⑦ suction 전후로 등을 가볍게 두드려 두드리고 시행하였다.
⑧ 3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시켰다.
⑨ 멸균된 증류수를 가습기에 공급하여 incubator안을 가습하였다.
⑩ 구강청결을 위해 boric을 적신 솜을 이용하여 하루에 3회(11AM, 8PM, 6AM) 실시하였고 11AM, 8PM에 담당간호사가 실시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⑪ 하루 3회 구강간호를 실시하였으며 그 후 incubator를 head up시켜주었다.

키워드

NICU,   폐렴,   케이스,   case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8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