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병태생리

원인

치료

예방

관리

합병증

case
진단

본문내용

- med 2#3 - 가미십전탕
양방 :
glinme(글리메) - 당뇨약
Self medication
- Verapamil tab ( 칼슘 채널 길항제)
협심증, 관경화증, 부정맥, 본태성 고혈압
- lsoket retard tab 40mg (혈관 확장제)
협심증, 심근경색, 관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의 보조요법
- Astrix cap 100mg (항혈전, 혈소판응집억제제)
일과성 허혈발작, 다른 혈전색전 질환의 예방, 치료, 심판막치환술 후 전신성 색전증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의 보조요법
6 간호 문제
-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 진단
진단
#1 부동과 관련된 피부 손상.


주관적 자료
“엉덩이 위에가 너무 아프다.”
② “ 따갑다...”
객관적 자료
① 둔부쪽이 빨갛게 발적 되어 있음.
질병으로 인해서 침상에 부동.
침상의 시티와 환의가 구겨져 있음.
③ 기저귀를 사용하심.
스스로 체위 변경하기 힘드심.
환자 나이 74세


기저귀 발진 부분 드레싱을 철저히 함으로 더 나아가 욕창을 예방한다.




기대되는 결과 : 피부 손상 위험성이 감소한다.
① 2시간 마다 체위 변경을 해주어 한 부위에 압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② 체위 변경 시 등부 쪽에 마사지를 한다.
환의와 시트는 늘 건조하고 팽팽하도록 하며 구김살이나 부스러기가 없도 록 한다.
매일 피부를 사정한다. (피부손상 위험 요인)
배변시 기저귀를 즉시 갈아준다.
대상자의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기저귀 발진이 생긴 부분에 매일 드레싱을 해 준다.




① 대상자의 체위를 간병사님과 함께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하였다. 체위 변경을 하면서 등 마사지를 하였다.
침상과 환의는 구겨지는 부분이 없이 편평하도록 하였다.
배변시 기저귀를 즉시 갈아 주었다.
④ 선생님께서 매일 기저귀 발진이 일어난 부분에 드레싱을 해 주셨다.


기저귀 발진이 일어난 부분에 매일 드레싱을 해 주어 발적 된 부분이 조금이 감소하였고, pt\'s 분도 소독 할 때 불편함이 감소하는 것 같다고 하셨다.
기저귀 발진이 생긴 부분을 잘 관리함으로 해서 2차적으로 생길 수 있는 욕창 예방하였다.
진단
#2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주관적 자료
① “ 혼자 움직이지 못하니깐 여간 불편한게 아냐..”
객관적 자료
스스로 보행이 불가능하여 휠체어 이용.
혼자 침대에 일어나 앉으시기는 하나 거동이 불편하시어 운동범위가 제한 되어 있다.


- 환자의 관절 운동범위가 유지된다.
- 환자의 장애가 최소화되고 움직임이 굳지 않는다.
- 환자가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① 근육의 강도, 관절구축의 유무, 활동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등장성 등척성 운동을 가르치고 도와준다.
환자 혼자서도 가능한 활동은 스스로 하게끔 교육하고 활동수준을 조금씩 높이도록 격려한다.




①누워있을 때, 외전의 제한이 있는 부위의 액와에 베게를 대어주고 손상 받 은 쪽의 팔은 베게 위에 올려놓았다.
환자에게 duty동안 2번 우측사지 특히 우측 견ㆍ주관절을 ROM한다.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인다.


환자가 스스로 잘 움직일 수 없어 간병사의 도움을 받아 조금씩 운동량을 늘이도록 하였다.
참고 문헌
-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 임상 매뉴얼 하 - 현문사
- 질환 증상별 간호와 처치 - 한우리
- 신경외과 학 - 대한 신경외과 학회
-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 대한 간호 협회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 현문사

키워드

뇌경색,   ,   경색,   진단,   한방간호,   한방,   뇌졸중,   뇌질환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8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