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INPUT문이 실행되면 화면에 ? 기호가 나타나며,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변수에 데이터가 기억된다.
118. ④
㉮, ㉯, ㉰는 명령어가 처리할 자료로서 데이터의 값,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소의 이름 등 실행의 대상이다.
119. ④
변수에는 숫자 변수와 문자 변수가 있다.
숫자 변수 : A, JA, R9
문자변수 : ME$, E1$
120. ㉮, ㉲
숫자 상수는 숫자로 직접 표현한 값이고, 문자 상수는 인용 부호로 묶어서 표시한 상수이다.
121. ②
관계 연산 기호는 대소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122. ②
123. ④
124. ③
변수명의 첫글자는 반드시 영문자로 표시한다.
125. ①
프로그램 내에서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을 상수라하며, 문자 상수와 숫자
상수가 있다.
126. ④
127. ⑤
20 행에서 변수 X와 Y의 합을 구하게 되므로, 10행에서는 변수 X와 Y값을 키보드로 입력 받는 명령문이 필요하다.
128. ②
READ문은 DATA문의 데이터를 해당 변수에 기억시키므로, READ문이
사용된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DATA문이 필요하다.
129. ②
DATA문은 프로그램의 어느 곳에 있어도 상관 없으며, READ문은 줄 번호가 가장 작은 DATA문의 데이터부터 차례로 읽어들인다.
130. ②
READ문은 줄 번호가 작은 DATA문의 데이터부터 차례로 읽어 해당 변수에 기억시키므로, A에는 40, B에는 20, C에는 50이 각각 기억된다. 이 때 읽혀지지 않은 데이터 30과 10은 무시된다.
131. ④
문자 변수 A$에는 문자 데이터 “AA”가 정상적으로 기억되지만, 숫자 변수 B에 문자 데이터 “BB”를 기억시킬 수 없다.
132. ④
① 입출력 기호, ② 준비 기호, ③ 처리 기호, ④ 흐름선, ⑤ 비교, 판단 기호
133. ①
30 행의 GOTO 20 때문에 20 행과 30 행의 명령문이 무한히 반복 실행된다.
134. ③
프로그램은 줄 번호가 작은 명령문부터 실행되지만, 도중에 GOTO문을
만나면 GOTO 다음에 지정된 줄 번호로 무조건 실행을 옮기게 된다.
135. ①
②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③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④ A는 B와 같다, ⑤ A는 B보다 크다.
136. ③
이 명령문은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것이다.
10 REN * * SAMPLE PROGRAM* *
137. ④
A=5, B=10, C=15이다.
138. ④
시스템 명령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RUN : 주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LIST : 사용자가 작성하여 주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AUTO :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전에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컴퓨터에서 자동적으로 줄 번호를 부여하라는 명령어이다.
DELETE : 프로그램의 내용 중 일부를 삭제하라는 명령어이다.
139. ①
140. ①
141. ⑤
142. ①
143. 15
144. ③
145. ④
A가 B보다 큰 경우는 20 행에 의해 실행이 50 행으로 옮겨진고, A가 B보다 작은 경우는 30 행에 의해 실행이 50 행으로 옮겨진다. 따라서, A와 B가 같은 경우에만 40 행이 실행된다.
146. ④
20 행에 의해 N은 1, 2, 3, 4, …로 변화하며, 30 행에 의해 그때 그때의 N값이 S에 더해진다. 이와 같은 처리는 40 행에 의해 N이 10보다 작은 동안 계속된다. 즉, 변수 S에는 1+2+3+4+5+6+7+8+9+10의 계산 결과가 기억된다.
147. ⑤
5 개의 데이터를 읽어 이 중 가장 큰 값(M)을 구하여 출력한다.
(보충 설명란의 변수의 초기값란 참조)
148. ⑤
변수 I의 초기값은 2이고 증가값이 3이므로 2부터 시작하여 3씩 증가해 가다가 최종값 9의 범위를 벗어나면 FOR~NEXT문의 실행을 끝마친다.
149. ③
변수 I가 1, 3, 5, 7, 9가 될 수 있도록 1부터 10까지 2씩 변하게 하면 된다.
150. ①
배열은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DIM 명령으로 선언되어야 하며, 서로 같은 종류의 많은 데이터를 집단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준다.
151. ③
배열은 사용에 앞서 반드시 선언되어야 한다.
152. ③
0~10까지의 행과 0~5까지의 열에 따라 기억 장소가 확보된다. 즉, 11×6=66 개가 만들어 진다.
153. ②
INPUT문은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여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명령문이다.
154. ②
GOTO문은 무조건 분기문으로, 프로그램의 수행이 GOTO 다음에 지정된 줄 번호로 무조건 옮겨 간다.
155. ②
이 명령문은 프로그램의 변수가 순차적으로 바뀌면서 똑같은 형태의 계산을 반복할 때 편리하다.
156. ④
K=0이다.
J=1일 때 K=0+1 이므로 K=1이 되고,
J=3일 때 K=1+3 이므로 K=4가 되고,
J=5일 때 K=4+5 이므로 K=9가 되고,
J=7일 때 K=9+7 이므로 K=16이 되고,
J=9일 때 K=16+9 이므로 K=25가 된다.
157. ③
출력 데이터를 여러 개 표시할 때에는 쉼표(,)나 머무름표(;)로 나타낸다.
158. ③
반복되는 값은 1부터 2씩 증가한다.
159. ②
배열문은 하나의 변수만 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다.
160. ④
161. ④
162. ③
<보기>는 배열문을 이용하여 읽어들인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또 기억시킨
값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이다.
163. ③
반복문에서는 반복되는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반복의 끝을 나타내는 명령문이 필요하다.
164. ④
배열의 크기는 (가로 줄의 수)×(세로 줄의 수)로 나타내면, 15개의 기억된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0, 0)
A(0, 1)
A(0, 2)
A(0, 3)
A(0, 4)
A(1, 0)
A(1, 1)
A(1, 2)
A(1, 3)
A(1, 4)
A(2, 0)
A(2, 1)
A(2, 2)
A(2, 3)
A(2, 4)
165. ③
A(1, 2)에 기억된 데이터는 7이고, A(2, 1)에 기억된 데이터는 10이다.
INPUT문이 실행되면 화면에 ? 기호가 나타나며,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변수에 데이터가 기억된다.
118. ④
㉮, ㉯, ㉰는 명령어가 처리할 자료로서 데이터의 값,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소의 이름 등 실행의 대상이다.
119. ④
변수에는 숫자 변수와 문자 변수가 있다.
숫자 변수 : A, JA, R9
문자변수 : ME$, E1$
120. ㉮, ㉲
숫자 상수는 숫자로 직접 표현한 값이고, 문자 상수는 인용 부호로 묶어서 표시한 상수이다.
121. ②
관계 연산 기호는 대소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122. ②
123. ④
124. ③
변수명의 첫글자는 반드시 영문자로 표시한다.
125. ①
프로그램 내에서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을 상수라하며, 문자 상수와 숫자
상수가 있다.
126. ④
127. ⑤
20 행에서 변수 X와 Y의 합을 구하게 되므로, 10행에서는 변수 X와 Y값을 키보드로 입력 받는 명령문이 필요하다.
128. ②
READ문은 DATA문의 데이터를 해당 변수에 기억시키므로, READ문이
사용된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DATA문이 필요하다.
129. ②
DATA문은 프로그램의 어느 곳에 있어도 상관 없으며, READ문은 줄 번호가 가장 작은 DATA문의 데이터부터 차례로 읽어들인다.
130. ②
READ문은 줄 번호가 작은 DATA문의 데이터부터 차례로 읽어 해당 변수에 기억시키므로, A에는 40, B에는 20, C에는 50이 각각 기억된다. 이 때 읽혀지지 않은 데이터 30과 10은 무시된다.
131. ④
문자 변수 A$에는 문자 데이터 “AA”가 정상적으로 기억되지만, 숫자 변수 B에 문자 데이터 “BB”를 기억시킬 수 없다.
132. ④
① 입출력 기호, ② 준비 기호, ③ 처리 기호, ④ 흐름선, ⑤ 비교, 판단 기호
133. ①
30 행의 GOTO 20 때문에 20 행과 30 행의 명령문이 무한히 반복 실행된다.
134. ③
프로그램은 줄 번호가 작은 명령문부터 실행되지만, 도중에 GOTO문을
만나면 GOTO 다음에 지정된 줄 번호로 무조건 실행을 옮기게 된다.
135. ①
②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③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④ A는 B와 같다, ⑤ A는 B보다 크다.
136. ③
이 명령문은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것이다.
10 REN * * SAMPLE PROGRAM* *
137. ④
A=5, B=10, C=15이다.
138. ④
시스템 명령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RUN : 주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LIST : 사용자가 작성하여 주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면에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AUTO :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전에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컴퓨터에서 자동적으로 줄 번호를 부여하라는 명령어이다.
DELETE : 프로그램의 내용 중 일부를 삭제하라는 명령어이다.
139. ①
140. ①
141. ⑤
142. ①
143. 15
144. ③
145. ④
A가 B보다 큰 경우는 20 행에 의해 실행이 50 행으로 옮겨진고, A가 B보다 작은 경우는 30 행에 의해 실행이 50 행으로 옮겨진다. 따라서, A와 B가 같은 경우에만 40 행이 실행된다.
146. ④
20 행에 의해 N은 1, 2, 3, 4, …로 변화하며, 30 행에 의해 그때 그때의 N값이 S에 더해진다. 이와 같은 처리는 40 행에 의해 N이 10보다 작은 동안 계속된다. 즉, 변수 S에는 1+2+3+4+5+6+7+8+9+10의 계산 결과가 기억된다.
147. ⑤
5 개의 데이터를 읽어 이 중 가장 큰 값(M)을 구하여 출력한다.
(보충 설명란의 변수의 초기값란 참조)
148. ⑤
변수 I의 초기값은 2이고 증가값이 3이므로 2부터 시작하여 3씩 증가해 가다가 최종값 9의 범위를 벗어나면 FOR~NEXT문의 실행을 끝마친다.
149. ③
변수 I가 1, 3, 5, 7, 9가 될 수 있도록 1부터 10까지 2씩 변하게 하면 된다.
150. ①
배열은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DIM 명령으로 선언되어야 하며, 서로 같은 종류의 많은 데이터를 집단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준다.
151. ③
배열은 사용에 앞서 반드시 선언되어야 한다.
152. ③
0~10까지의 행과 0~5까지의 열에 따라 기억 장소가 확보된다. 즉, 11×6=66 개가 만들어 진다.
153. ②
INPUT문은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여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명령문이다.
154. ②
GOTO문은 무조건 분기문으로, 프로그램의 수행이 GOTO 다음에 지정된 줄 번호로 무조건 옮겨 간다.
155. ②
이 명령문은 프로그램의 변수가 순차적으로 바뀌면서 똑같은 형태의 계산을 반복할 때 편리하다.
156. ④
K=0이다.
J=1일 때 K=0+1 이므로 K=1이 되고,
J=3일 때 K=1+3 이므로 K=4가 되고,
J=5일 때 K=4+5 이므로 K=9가 되고,
J=7일 때 K=9+7 이므로 K=16이 되고,
J=9일 때 K=16+9 이므로 K=25가 된다.
157. ③
출력 데이터를 여러 개 표시할 때에는 쉼표(,)나 머무름표(;)로 나타낸다.
158. ③
반복되는 값은 1부터 2씩 증가한다.
159. ②
배열문은 하나의 변수만 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다.
160. ④
161. ④
162. ③
<보기>는 배열문을 이용하여 읽어들인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또 기억시킨
값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이다.
163. ③
반복문에서는 반복되는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반복의 끝을 나타내는 명령문이 필요하다.
164. ④
배열의 크기는 (가로 줄의 수)×(세로 줄의 수)로 나타내면, 15개의 기억된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0, 0)
A(0, 1)
A(0, 2)
A(0, 3)
A(0, 4)
A(1, 0)
A(1, 1)
A(1, 2)
A(1, 3)
A(1, 4)
A(2, 0)
A(2, 1)
A(2, 2)
A(2, 3)
A(2, 4)
165. ③
A(1, 2)에 기억된 데이터는 7이고, A(2, 1)에 기억된 데이터는 1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