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백범의 생애
3. 백범의 사상
4. 맺음말
2. 백범의 생애
3. 백범의 사상
4. 맺음말
본문내용
생을 망명생활에서 고생했으므로 나머지 여생을 어떻게 하면 안락하게 지낼 수 있는가를 잘 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 안락의 길을 택하지 않고 험난한 수난의 길을 택한다고 했다. 그의 말에 의하면 민족이 바야흐로 절벽으로 떨어지려고 하는 순간에 평생을 독립운동을 했다는 몸으로서 차마 그냥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갈라진 국토를 다시 통일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김구는 아직도 독립운동의 단계라고 보고 있었다.
김구의 민족 사상은 일관성과 순수성에 특징이 있다고 했다. 그가 반탁운동에 앞장서 오히려 민족과 국토분열에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다. 김구는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의 한반도 문제 결정-신탁통치-이 3.1운동 이래의 민족 염원이 담긴 임정의 정통성을 무시한 결정이라는 점에서 반대했다. 그러나 김구의 반탁이 주관적으로 어떠한 목적에서 전개됐건 그가 반탁에 앞장섬으로써 한반도는 통일 대신 분열의 길로 치닫게 되었다. 김구는 후일 이승만의 단정을 반대하고 통일조국 건설을 위해 투쟁하나 그는 자기가 벌인 반탁운동으로 한반도 분열의 계기를 결정적인 것으로 상황을 조성해놓고 그러한 분단의 여건하에서 통일운동을 전개했으므로 스스로 파놓은 묘혈 위에서 통일운동을 벌인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여하튼간에 김구의 정치 투쟁과 민족 사상이 찬연히 빛나는 것은 바로 그의 통일운동에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4. 맺음말
지금 우리는 분단과 예속으로 갈라진 시대에 살고 있다. 김구가 그토록 절절한 염원을 안고 추구했던 자주독립과 평화통일을 이루지 못한채 우리는 50여년의 역사를 살아온 것이다.
하지만 민족의 자주 통일을 위해 노력해온 세력들로 인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이 주어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분단된 현실앞에서 통일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할 것이다.
분단된 나라가 아니라 통일된 나라를 쟁취하려는 진정한 애국심 그리고 참다운 인간의 양심은 어디까지나 하나이다. 따라서 민족통일의 대원칙을 놓고서는 이를 권력투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될 것이다. 통일은 네가 이기고 내가 지는 문제가 아니니 모든 양심세력은 다투어 나서서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두 개의 한국은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염원이자 백범 김구의 염원일 것이다.
◈ 참고문헌
송건호,『김구』, 한길사, 1980
백기완,『항일민족론』, 한마당, 1982
백기완,『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1979.
김구의 민족 사상은 일관성과 순수성에 특징이 있다고 했다. 그가 반탁운동에 앞장서 오히려 민족과 국토분열에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다. 김구는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의 한반도 문제 결정-신탁통치-이 3.1운동 이래의 민족 염원이 담긴 임정의 정통성을 무시한 결정이라는 점에서 반대했다. 그러나 김구의 반탁이 주관적으로 어떠한 목적에서 전개됐건 그가 반탁에 앞장섬으로써 한반도는 통일 대신 분열의 길로 치닫게 되었다. 김구는 후일 이승만의 단정을 반대하고 통일조국 건설을 위해 투쟁하나 그는 자기가 벌인 반탁운동으로 한반도 분열의 계기를 결정적인 것으로 상황을 조성해놓고 그러한 분단의 여건하에서 통일운동을 전개했으므로 스스로 파놓은 묘혈 위에서 통일운동을 벌인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여하튼간에 김구의 정치 투쟁과 민족 사상이 찬연히 빛나는 것은 바로 그의 통일운동에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4. 맺음말
지금 우리는 분단과 예속으로 갈라진 시대에 살고 있다. 김구가 그토록 절절한 염원을 안고 추구했던 자주독립과 평화통일을 이루지 못한채 우리는 50여년의 역사를 살아온 것이다.
하지만 민족의 자주 통일을 위해 노력해온 세력들로 인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이 주어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분단된 현실앞에서 통일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할 것이다.
분단된 나라가 아니라 통일된 나라를 쟁취하려는 진정한 애국심 그리고 참다운 인간의 양심은 어디까지나 하나이다. 따라서 민족통일의 대원칙을 놓고서는 이를 권력투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될 것이다. 통일은 네가 이기고 내가 지는 문제가 아니니 모든 양심세력은 다투어 나서서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두 개의 한국은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염원이자 백범 김구의 염원일 것이다.
◈ 참고문헌
송건호,『김구』, 한길사, 1980
백기완,『항일민족론』, 한마당, 1982
백기완,『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197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