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MR 의 이해
TMR 의 필요성
TMR 의 목표
TMR 의 장단점
TMR 의 제조시 고려사항
TMR 의 제조방법
고려해야 할 사항
TMR 의 필요성
TMR 의 목표
TMR 의 장단점
TMR 의 제조시 고려사항
TMR 의 제조방법
고려해야 할 사항
본문내용
이중 가장 공통적이고도 균형있는 사료 급여량을 조율하여 최종 기초 TMR을 정한다. 여의치 않을 경우 30kg, 35kg 두가지 배합비를 활용하여 최적 기초 TMR을 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량증가에 따른 필요한 영양소는 배합사료 급여배합사료를 추가로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고려해야 할 사항
-건물섭취량
고능력우는 대체로 건물섭취량이 많은데, 건물섭취량을 기준으로 TMR의 영양소함량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TMR을 급여할 때 건물섭취량을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즉, 조단백질(CP), 가소화영양소총량(TDN), 칼슘, 인 등과 같은 영양소가 TMR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가 보다는 실제로 이들 영양소를 얼마나 섭취하였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다. 따라서 정확한 건물섭취량의 예측이야말로 사료 배합 시 이들 영양소의 함량을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가를 계산하는 열쇠가 된다. 건물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료의 수분 함량, 조사료의 질, 사료조의 길이와 관리, 환경(더위, 환기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체중, 산유량 및 유지율, 비유단계(stage of lactation) 등이다.
① 건물섭취량 수준
젖소가 우유생산의 유전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데 필요한 영양소를 합리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젖소의 건물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건물섭취량에 관한 정확한 자료가 없이는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사료 배합표를 작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사료급여량과 잔량을 달고 기록하여 사료(건물)섭취량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그날 그날의 실제 건물섭취량을 사료 배합 시에 사용했던 기준 즉, 다음의 추정식에 의해 계산된 기준치와 비교해 봐야 한다. 실제 건물섭취량과 사료배합에 사용된 기준이 5% 차이일 때는 그 원인 을 찾아 교정한 다음에 사료배합을 다시 해야 한다.
2산 이상의 경산우
건물섭취량(kg/일) = 0.959 + 1.051 × 주령 - 0.42 × 주령2 + 0.0005 × 주령3 + 0.012 × 체중(kg) + 0.354 × 4%지방보정산유량(FCM;kg/일) - 1.966 × 유지방% + 0.941 × 유단백%
초산우
섭취량(kg/일) = -2.21 + 0.882 × 주령 -0.31 × 주령2 + 0.0003 × 주령3 + 0.016 × 체중(kg) + 0.351 × 4%지방보정산유량(kg/일) - 1.51 × 유지방(%) + 0.752 × 유단백%
여기서, 주령 = 착유주(週)수
② 실제 건물섭취량이 감소할 경우 점검사항
TMR급여의 장점중의 하나가 건물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TMR의 실제섭취량이 상기의 예상섭취량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 다음 사항을 살펴보아야 한다.
○ TMR의 수분함량과 조사료와 농후사료(곡류)의 배합비는 적절한가?
○ TMR중 조사료에 함유된 조섬유(NDF와 ADF)함량은 적당한가?
○ 사료급여횟수, 급여량, 계기의 정확도, 사료배합과정이 올바른지?
○ 사료조가 완전히 비었을 때 사료를 주었는지 또는, 사료섭취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사료를 급여 하였는가?
○ 완전히 발효되지 않은 사일리지, 육골분, 탤로우 등 기호성이 낮은 단미사료가 과다하게 첨가되었는지의 여부?
○ 발효된 사료를 기초로 하는 TMR의 수분함량이 50%를 넘는지?
○ 사료조의 길이가 우군에 충분한지, 그리고 잘 관리되고 있는지?
○ 젖소가 편안한자, 고열에 의한 스트레스 및 적절한 환기 여부?
○ 적정량의 단백질과 소금이 공급되고 있는지?
○ 보호단백질(bypass protain)이 과다 또는 과소급여 되는지?
○ 물의 신선도와 공급량은 충분한지?
7. 고려해야 할 사항
-건물섭취량
고능력우는 대체로 건물섭취량이 많은데, 건물섭취량을 기준으로 TMR의 영양소함량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TMR을 급여할 때 건물섭취량을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즉, 조단백질(CP), 가소화영양소총량(TDN), 칼슘, 인 등과 같은 영양소가 TMR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가 보다는 실제로 이들 영양소를 얼마나 섭취하였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다. 따라서 정확한 건물섭취량의 예측이야말로 사료 배합 시 이들 영양소의 함량을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가를 계산하는 열쇠가 된다. 건물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료의 수분 함량, 조사료의 질, 사료조의 길이와 관리, 환경(더위, 환기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체중, 산유량 및 유지율, 비유단계(stage of lactation) 등이다.
① 건물섭취량 수준
젖소가 우유생산의 유전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데 필요한 영양소를 합리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젖소의 건물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건물섭취량에 관한 정확한 자료가 없이는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사료 배합표를 작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사료급여량과 잔량을 달고 기록하여 사료(건물)섭취량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그날 그날의 실제 건물섭취량을 사료 배합 시에 사용했던 기준 즉, 다음의 추정식에 의해 계산된 기준치와 비교해 봐야 한다. 실제 건물섭취량과 사료배합에 사용된 기준이 5% 차이일 때는 그 원인 을 찾아 교정한 다음에 사료배합을 다시 해야 한다.
2산 이상의 경산우
건물섭취량(kg/일) = 0.959 + 1.051 × 주령 - 0.42 × 주령2 + 0.0005 × 주령3 + 0.012 × 체중(kg) + 0.354 × 4%지방보정산유량(FCM;kg/일) - 1.966 × 유지방% + 0.941 × 유단백%
초산우
섭취량(kg/일) = -2.21 + 0.882 × 주령 -0.31 × 주령2 + 0.0003 × 주령3 + 0.016 × 체중(kg) + 0.351 × 4%지방보정산유량(kg/일) - 1.51 × 유지방(%) + 0.752 × 유단백%
여기서, 주령 = 착유주(週)수
② 실제 건물섭취량이 감소할 경우 점검사항
TMR급여의 장점중의 하나가 건물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TMR의 실제섭취량이 상기의 예상섭취량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 다음 사항을 살펴보아야 한다.
○ TMR의 수분함량과 조사료와 농후사료(곡류)의 배합비는 적절한가?
○ TMR중 조사료에 함유된 조섬유(NDF와 ADF)함량은 적당한가?
○ 사료급여횟수, 급여량, 계기의 정확도, 사료배합과정이 올바른지?
○ 사료조가 완전히 비었을 때 사료를 주었는지 또는, 사료섭취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사료를 급여 하였는가?
○ 완전히 발효되지 않은 사일리지, 육골분, 탤로우 등 기호성이 낮은 단미사료가 과다하게 첨가되었는지의 여부?
○ 발효된 사료를 기초로 하는 TMR의 수분함량이 50%를 넘는지?
○ 사료조의 길이가 우군에 충분한지, 그리고 잘 관리되고 있는지?
○ 젖소가 편안한자, 고열에 의한 스트레스 및 적절한 환기 여부?
○ 적정량의 단백질과 소금이 공급되고 있는지?
○ 보호단백질(bypass protain)이 과다 또는 과소급여 되는지?
○ 물의 신선도와 공급량은 충분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