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개념
1. 척수
2. 척수의 구조
3. 척수의 기능
4. 촉수손상
5. 척수손상의 원인
Ⅱ.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Ⅲ. 척수손상의 치료
Ⅳ. 척수손상의 예후
Ⅴ. 환자에 대한 이해
Ⅵ. 재활의료팀 구성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Ⅶ. 척수손상환자 사례
◎ 참고문헌 ◎
◎ 참고사이트 ◎
Ⅰ. 개념
1. 척수
2. 척수의 구조
3. 척수의 기능
4. 촉수손상
5. 척수손상의 원인
Ⅱ.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Ⅲ. 척수손상의 치료
Ⅳ. 척수손상의 예후
Ⅴ. 환자에 대한 이해
Ⅵ. 재활의료팀 구성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Ⅶ. 척수손상환자 사례
◎ 참고문헌 ◎
◎ 참고사이트 ◎
본문내용
연락한다. 매형과 사이가 매우 나빠 누나가 환자를 도우면 매형이 누나를 구타할 정도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나가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환자를 돕기는 어려울 것이다.
▶ 형 (39세)
부산에서 살며 개인 사업을 한다. 환자에게 무관심하며 간병 비 문제로 전화하자 전화번호를 바꿔버렸다.
▶ 어머니(64세)
정신질환으로 자녀를 돌보거나 어머니 역할을 할 수 없다.
3) 경제력능력과 가옥구조
의료보호 1종(의료추락으로 인하여 보상을 받은 것이 없으며,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임)이다. 가옥구조는 5층 옥탑 가건물로 퇴원 후 생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주 수입원이나 자산, 부채, 보상금 등은 없는 상태이다.
4) 강점(Strength)
형과 누나는 전혀 연락이 없으나 부인은 환자 때문에 의료보호대상자가 되어 혜택을 보 고 있으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 가끔 환자와 동사무소에 연락한다. 그 때문에 부인의 주소는 파악할 수 있으며 환자가 위급한 상활일 때 연락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재활 의지가 강하고, 보조기와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다. 신체적인 마비 이외에 정신과 내과적인 문제는 없다.
5) 약점
가족이나 환자에 대해 무관심할 뿐 아니라 누나와 형은 연락조차 되지 않으며 부인도 거의 전화하지 않는 등 환자를 도울 가족이 없다. 이렇듯 가족의 도움이 전혀 없기 때문에 치료비를 지불할 수 없어 어려움이 많다.
환자는 정서적 불안감과 우울증으로 간병인과 갈등이 심해 간병인을 연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가족들이 협조하지 않아 퇴원 후 거주할 장소가 없다.
4. 개입단계
1) 개입계획
▶정서적지지
① 부인과 이혼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에 대한 걱정 등으로 유발한 우울증을 완화하기 위해 부인과 자녀가 병문안 하도록 부인과 전화면담을 시도 한다.
② 간병인과 면담하여 환자와 겪은 갈등을 해결하여 지속해서 무료 간병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잠재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환자자신과 유사한 상황의 환자와의 만남을 주선해 심리적으로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경제적 계획
① 무료간병인을 지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지관의 연락을 계속한다.
② 환자가 교회에 다니고 있음으로 간병비를 지불하기 위해 원내 신앙단체와 협의 한다.
③ 지속적인 기초생활보호대상자가 될 수 있도록 동사무소 사회복지담당자와 면담한다.
▶퇴원계획
① 가족면담 : 부인과 누나
② 시설입소 : 허가, 무허가, 시설알선
2) 개입내용
▶정서적지지
① 무료간병인과 주3회 면담과 환자 주 1회 면담 후 갈등을 조정하였다.
② 부인이 일을 쉬는 날 (월2회)환자 병문안을 하기로 했다.
③ 퇴원 후 계획에 대해 부인과 면담을 시도했으나, 3교대 일로 인해 늦은 저녁에 전화통화만 가능했고 직접 만나 면담하는 것은 직장일과 아이를 맡기는 문제 때문에 충분하게 상담하지 못하였다.
④ 동료상담으로 인해 환자와 유사한 상황에 있는 환자 중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활동하는 동료를 만나게 하여 환자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희망을 가지도록 했다.
▶경제적지지
① △△복지관 자활센터 담당자와 면담한 결과 퇴원할 때까지 월~금24시간 무료간병인을 연계해주기로 했다.
② 주말 유료 간병비와 욕창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의약품과 간식비 등은 모금하기로 하고 병원 신앙단체의 후원을 받아 주말 유료간병 비를 해결하였다.
③ 동사무소 담당자가 바뀌어 한시생보탈락 가능성이 있다는 부인의 연락을 받고 동사무소 사회복지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전화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한시생보 대상자에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했다.
▶퇴원
① 부인은 환자와 이혼생각이 없다고 했으나 여러 차례 면담한 결과 자녀 양육을 위해 경제적 도움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환자와 이혼하는 것을 미루고 있었다. 퇴원하여 환자가 집에 가야할 형평이 되자 부인은 하던 일도 그만두었고 연락도 되지 않았다.
② 환자의 누나는 환자를 돕고자 하나 남편 때문에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태였으며 전화번호도 바뀌어 연락이 되지 않았다.
③ 가족들의 비협조와 연락두절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강제퇴원 위기에 처하게 되어 시설 입소 계획을 세우기로 하고 동사무소에 연락하였다. 보호자 연락두절로 시설입소를 위한 서류 협조 요청하여 허가시설인 ●●시설에 입소 신청서를 제출하고 만약을 대비하여 무허가시설도 함께 알아보았다.
5. 평가
가족문제로 사회복지사가 환자 재활치료 진행부터 퇴원하기까지 전 과정을 개입한 사례이다. 개입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가족의 비협조로 자원동원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환자의 성격과 심리적인 불안정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다. 환자의 적개심과 불신, 우울증의 심리상태를 완화할 수 있는 가족이 해체되어 환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이었고, 환자가 이런 상황을 수용하지 못하고 지속해서 심리적인 문제를 갖는 경우에는 어떠한 사회사업 개입도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사실을 실감한 사례였다.
결국 가족의 무관심과 비협조로 퇴원문제가 발생하여 무허가 시설에 입소하였으나 괴팍한 성격 때문에 시설에 적응 하지 못하였고 이를 도와줄 가족조차 없자, 시설에서 다시 본 병원으로 보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아직 이혼하지 않은 부인이 법적으로 환자의 보호자이므로 부인의 주소지를 추적하여 그 거주지에 환자를 인계하는 것으로 이 사례를 종결하였다.
◎ 참고문헌 ◎
의료사회복지 실천론 - 형설출판사 김규수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 - 한국재활간호학회 수문사 2003년
척추외상과 재해성 척추질환 - 순천향대학교 척추신경외과 교수 이경석 지음
고려의학 2001년
척수손상 - 김동민, 서소라, 김경아 나눔의 집 2002년
◎ 참고사이트 ◎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http://100.naver.com/100.nhn?docid=145484 (네이버 백과사전)
http://cafe.naver.com/bethsd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0319
(네이버 블로그 베네스다 선교회)
http://web.edunet4u.net/~ourbody/5-f.htm (Humanbody)
▶ 형 (39세)
부산에서 살며 개인 사업을 한다. 환자에게 무관심하며 간병 비 문제로 전화하자 전화번호를 바꿔버렸다.
▶ 어머니(64세)
정신질환으로 자녀를 돌보거나 어머니 역할을 할 수 없다.
3) 경제력능력과 가옥구조
의료보호 1종(의료추락으로 인하여 보상을 받은 것이 없으며,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임)이다. 가옥구조는 5층 옥탑 가건물로 퇴원 후 생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주 수입원이나 자산, 부채, 보상금 등은 없는 상태이다.
4) 강점(Strength)
형과 누나는 전혀 연락이 없으나 부인은 환자 때문에 의료보호대상자가 되어 혜택을 보 고 있으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 가끔 환자와 동사무소에 연락한다. 그 때문에 부인의 주소는 파악할 수 있으며 환자가 위급한 상활일 때 연락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재활 의지가 강하고, 보조기와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다. 신체적인 마비 이외에 정신과 내과적인 문제는 없다.
5) 약점
가족이나 환자에 대해 무관심할 뿐 아니라 누나와 형은 연락조차 되지 않으며 부인도 거의 전화하지 않는 등 환자를 도울 가족이 없다. 이렇듯 가족의 도움이 전혀 없기 때문에 치료비를 지불할 수 없어 어려움이 많다.
환자는 정서적 불안감과 우울증으로 간병인과 갈등이 심해 간병인을 연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가족들이 협조하지 않아 퇴원 후 거주할 장소가 없다.
4. 개입단계
1) 개입계획
▶정서적지지
① 부인과 이혼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에 대한 걱정 등으로 유발한 우울증을 완화하기 위해 부인과 자녀가 병문안 하도록 부인과 전화면담을 시도 한다.
② 간병인과 면담하여 환자와 겪은 갈등을 해결하여 지속해서 무료 간병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잠재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환자자신과 유사한 상황의 환자와의 만남을 주선해 심리적으로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경제적 계획
① 무료간병인을 지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지관의 연락을 계속한다.
② 환자가 교회에 다니고 있음으로 간병비를 지불하기 위해 원내 신앙단체와 협의 한다.
③ 지속적인 기초생활보호대상자가 될 수 있도록 동사무소 사회복지담당자와 면담한다.
▶퇴원계획
① 가족면담 : 부인과 누나
② 시설입소 : 허가, 무허가, 시설알선
2) 개입내용
▶정서적지지
① 무료간병인과 주3회 면담과 환자 주 1회 면담 후 갈등을 조정하였다.
② 부인이 일을 쉬는 날 (월2회)환자 병문안을 하기로 했다.
③ 퇴원 후 계획에 대해 부인과 면담을 시도했으나, 3교대 일로 인해 늦은 저녁에 전화통화만 가능했고 직접 만나 면담하는 것은 직장일과 아이를 맡기는 문제 때문에 충분하게 상담하지 못하였다.
④ 동료상담으로 인해 환자와 유사한 상황에 있는 환자 중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활동하는 동료를 만나게 하여 환자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희망을 가지도록 했다.
▶경제적지지
① △△복지관 자활센터 담당자와 면담한 결과 퇴원할 때까지 월~금24시간 무료간병인을 연계해주기로 했다.
② 주말 유료 간병비와 욕창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의약품과 간식비 등은 모금하기로 하고 병원 신앙단체의 후원을 받아 주말 유료간병 비를 해결하였다.
③ 동사무소 담당자가 바뀌어 한시생보탈락 가능성이 있다는 부인의 연락을 받고 동사무소 사회복지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전화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한시생보 대상자에게 탈락하는 것을 방지했다.
▶퇴원
① 부인은 환자와 이혼생각이 없다고 했으나 여러 차례 면담한 결과 자녀 양육을 위해 경제적 도움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환자와 이혼하는 것을 미루고 있었다. 퇴원하여 환자가 집에 가야할 형평이 되자 부인은 하던 일도 그만두었고 연락도 되지 않았다.
② 환자의 누나는 환자를 돕고자 하나 남편 때문에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태였으며 전화번호도 바뀌어 연락이 되지 않았다.
③ 가족들의 비협조와 연락두절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강제퇴원 위기에 처하게 되어 시설 입소 계획을 세우기로 하고 동사무소에 연락하였다. 보호자 연락두절로 시설입소를 위한 서류 협조 요청하여 허가시설인 ●●시설에 입소 신청서를 제출하고 만약을 대비하여 무허가시설도 함께 알아보았다.
5. 평가
가족문제로 사회복지사가 환자 재활치료 진행부터 퇴원하기까지 전 과정을 개입한 사례이다. 개입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가족의 비협조로 자원동원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환자의 성격과 심리적인 불안정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다. 환자의 적개심과 불신, 우울증의 심리상태를 완화할 수 있는 가족이 해체되어 환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이었고, 환자가 이런 상황을 수용하지 못하고 지속해서 심리적인 문제를 갖는 경우에는 어떠한 사회사업 개입도 효과가 적을 것이라는 사실을 실감한 사례였다.
결국 가족의 무관심과 비협조로 퇴원문제가 발생하여 무허가 시설에 입소하였으나 괴팍한 성격 때문에 시설에 적응 하지 못하였고 이를 도와줄 가족조차 없자, 시설에서 다시 본 병원으로 보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아직 이혼하지 않은 부인이 법적으로 환자의 보호자이므로 부인의 주소지를 추적하여 그 거주지에 환자를 인계하는 것으로 이 사례를 종결하였다.
◎ 참고문헌 ◎
의료사회복지 실천론 - 형설출판사 김규수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 - 한국재활간호학회 수문사 2003년
척추외상과 재해성 척추질환 - 순천향대학교 척추신경외과 교수 이경석 지음
고려의학 2001년
척수손상 - 김동민, 서소라, 김경아 나눔의 집 2002년
◎ 참고사이트 ◎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http://100.naver.com/100.nhn?docid=145484 (네이버 백과사전)
http://cafe.naver.com/bethsd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0319
(네이버 블로그 베네스다 선교회)
http://web.edunet4u.net/~ourbody/5-f.htm (Humanbody)
추천자료
[인터넷광고] 인터넷 광고의 전략 및 효과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
[신경외과중환자케이스] 지주막하 출혈(SAH) & Meningitis 사례 간호과정
뇌졸증의 의학적 이해와 뇌졸중 환자에 대한 의료사회복지 실천및 사례적용
장애인가족
[환자간호사례][간호사례][환자][간호][수술환자간호] 만성신부전환자간호사례, 안수술환자간...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광고규제사례- 광고 윤리에 어긋난 사례 분석 A+
[그린마케팅]그린마케팅의 개념(정의,필요성,효과,기본전략 등) 이해와 다양한 사례 분석 및 ...
사례연구(CRF)를 통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만성신부전증 환자 임상 사례)
(A+) 허리통증의 비밀 ‘좌골 신경통’ (좌골신경의 정의, 증상, 원인, 빈도 및 호발요인, 진단...
위기개입모델보고서(위기개입모델이론, 위기개입모델사례, 위기개입사례, 위기가정사례개입, ...
[기초간호과학 2016] 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 4가지 과민반응별 발생기전 사례, 종...
[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증, 자폐범주성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 자폐범주성장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