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문화사]종교개혁과 종교전쟁 (A+리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문화사]종교개혁과 종교전쟁 (A+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종교란 무엇인가?

Ⅱ. 로마카톨릭의 역사

Ⅲ. 종교개혁의 발생

Ⅳ. 독일의 종교개혁

Ⅴ. 프랑스와 스위스의 종교개혁

Ⅵ. 영국의 종교개혁

Ⅶ.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

Ⅷ. 종교전쟁

Ⅸ. 결론(소감문)

본문내용

국내전쟁
13세기 초, 남(南)프랑스의 알비 · 툴루즈를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던 이단(異端) 알비즈와파(派)에 대한 교황 이노센트 3세의 응징요구를 받고 이를 진압한 알비즈와 십자군, 후스의 처형 후 그의 교시(敎示)를 받던 보헤미아인(人)들이 박해에 저항해서 반란을 일으켜(1419), 교황의 요청에 따라 1420년부터 약 10년간에 걸쳐 십자군이 일으킨 후스전쟁, 루터의 종교개혁 후 1522년 지킹겐, 후텐 등을 지도자로 하는 독일의 기사(騎士)들이 트리엘 대주교령(大主敎領)을 습격한 뒤 반격을 받아 무너진 기사전쟁, 츠빙글리가 스위스에서 시작한 종교개혁에 즈음하여 1531년 카펠의 싸움에서 츠빙글리 자신도 전사하게 된 신 ·구 양파의 전쟁, 1530년 독일 신교파(新敎派)의 제후(諸侯)와 도시가 카를 5세의 탄압 정책에 항거해서 슈말칼덴 동맹을 결성하여 1546∼1547년 황제측의 제후군(諸侯軍)과 싸운 슈말칼덴 전쟁 등도 종교전쟁에 포함된다.
2. 국제전쟁
16세기 후반 프랑스에서의 위그노전쟁,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후반에 걸친 네덜란드 독립전쟁, 17세기 전반 독일에서의 30년전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6세기 후반 영국과 에스파냐의 항쟁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 전쟁은 메리 1세의 남편으로서 영국에 구교(舊敎)의 부활을 기도한 펠리페 2세에 대해 엘리자베스 1세가 네덜란드 독립전쟁에 출병(出兵)해서 신교도의 독립군을 원조하고, 다시 펠리페 2세가 스코틀랜드 여왕 M.스튜어트를 영국 여왕으로 추대하여 영국에 구교를 뿌리 박으려 하였기 때문에 영국국민이 이에 반항하여 무적함대(無敵艦隊)를 격파해서 그 의도를 분쇄한 것이다. 이상의 전쟁에서 공통점으로 나타나는 것은 결코 순수한 종교문제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정치와 종교가 엉켜 정치적 ·영토적 야심과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묶여 있는 점인데, 30년전쟁을 끝으로 ‘종교’를 내세운 구실은 없어지고 정치적 야망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었다.
Ⅸ. 결론(소감문)
종교개혁과 종교전쟁에 대해 말하려면 먼저 종교에 대해 먼저 아는 것이 필요하다. 종교는 모든 것의 근원을 밝히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근원, 만물의 근원 그 모든 것이 종교에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근원에 대해 알고자 하는 본능이 있었기에 역사가 성립하기 이전의 원시시대의 사람들도 종교를 하고 있었다. 인류역사상 수많은 종교들이 존재했지만 그중 인류역사, 서양역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종교라 하면 크리스트교라고 할 수 있다.
서양 중세사회에 살았던 모든 사람들이 믿었던 크리스트교가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불신하는 대상이 되어 버렸다. 왜 그렇게 된 것일까?
그것은 종교가 종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종교는 무엇보다도 인간을 위한 학문이다. 인간이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해서 시작하게 된 것이 종교다. 그런데 중세사회에서는 종교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종교를 위해 존재해 버리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그 이유는 종교를 하는 상류층의 사람들이 본래 종교가 지니고 있던 의미를 잃고 타락해 버렸기 때문이라고 본다. 가르치는 이들이 타락했으니 종교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사상이 제대로 전해질리 만무하다. 그러한 타락한 종교가 세상을 지배했기에 중세사회는 암흑의 시대로 비유될 만치 고통스러운 사회가 되어 버렸다. 그러한 고통 속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 바로 종교개혁과 종교전쟁이라 할 수 있겠다.
종교개혁은 결과적으로 민중들을 종교로 인한 고통 속에서 벗어나게 해주었지만 민중들에게 종교의 참된 의미를 잃어버리게 만들었다. 종교는 옛 시대의 산물이 되어버리고 과학이 새로운 세상을 지배하게 된 것이다. 과학이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인간들은 중세에 비교하지 못할 정도로 크나큰 발전을 하였고 그로인해 인간의 삶은 매우 풍족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풍족한 삶은 물질적인 것에 제한된 삶이 되었다. 과학이 최고로 발전한 이 시대 우리는 물질적으로 부족한 것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편리함 속에 살고 있다. 노력하면 무엇이든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세상이다. 하지만 그러한 풍족한 삶속에서 우리의 정신 또한 풍족한가?
과학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인간의 정신을 채워주지는 못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봤을 때 과학과 종교는 함께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어느 시대보다 물질화의 만연으로 정신이 피폐화되고 있는 이 시대, 종교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는 진정한 종교개혁이 다시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0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