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이상국가,이데아,동굴의 비유,4주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이상국가,이데아,동굴의 비유,4주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지 이성을 중심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봐지지는 않는다.
금욕주의는 종교적으로, 예를 들면 신부들이 자기 억제를 하는 것이고 철인은 정치를 위해서 금욕을 하는 것이다라고 말 할 수 있겠다.
많은 현대의 독자들은 플라톤이 생각한 이상 국가의 개념에 대하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그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현대의 독자들의 눈에는 플라톤의 이상 국가가 지나치게 엄격한 권력 중심의 독재 국가로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의 이상 국가가 여러 나쁜 정치체제들 중에는 최선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이 지니고 있는 부인할 수 없는 소수 엘리트주의와 귀족주의적인 성향 때문에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민주주의 신봉자들로부터 끝없는 도전을 받아온 플라톤의 의견에 대항하여 그들은 민주주의를 제대로 옹호할 수 있는가? 플라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시민 전체를 위한 최대한의 행복을 보장해 주는 국가의 청사진을 그리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만 한다.
통치자들은 우선 국가의 법률을 제정함에 있어 자신들의 이익이 아니라 이성에 따라야만 한다. 그리고 그들은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권력과 지위를 남용하고 따라서 결국 다른 시민들에게 손해를 입히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매우 주의 깊게 통치자들에게는 엄격한 제한을 부과하고 있다. 예를 들면 그들은 사유재산을 소유할 수 없으며 부를 축적해서도 안된다, 수호자들은 통치를 함에 있어 이성의 빛에 따라야만 하며 그러한 통치 행위가 잘 수행된다면 바로 그것은 시민 전체를 만족시키고 시민 전체에게 최대한의 행복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플라톤의 궁극 목적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떠올려 본다면 개인의 영혼에 있어서이 정의는 가능한 최대한의 개인적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는 국가에 있어서의 정의가 국가 전체의 행복에 이르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3. 동굴의 비유에서 이데아가 등장한다. 이데아의 부분적인 면은 알지 못하더라도, 플라톤에게서 선의 이데아 즉, 좋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한 번 생각해 보자.
플라톤의 궁극적인 주장 중의 하나는 선 그 자체, 즉 선의 형상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바로 그러한 세계의 실재 모두에 대한 궁극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이러한 관점을 태양의 비유를 들어서 표현하고 있다. 선의 형상은 마치 태양과 같은 것이어서 그 빛이 사물들을 보이게끔 만들어 주며 그것의 능력과 그것이 제공하는 바가 사물들이 현존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세계 안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것들과 선 자체의 관계를 이해하고 따라서 그것들의 도덕적 측면을 파악할 경우에만 그들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 플라톤도 동의하듯이 우리는 이런 관계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선 자체는 “존재를 넘어서 있는 것”으로서 모든 실재와 세계 안에서 발견되는 모든 것들의 근원이 된다.
이상의 실재성은 확고한 것이며 다른 어떤 사실들보다도 두드러지게 분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의 한가운데 바로 궁극적 이상으로서의 진정한 선이 놓여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2.0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