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개관
1. 망명문학이란?
2. 독일의 제3제국 시대
3. 제3제국의 문화정책
4. 망명동기
5. 망명지역
6. 독일 망명문학의 특징
Ⅱ.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2.10~1956.8.14)
1. 브레히트의 생애
2. 망명기
3.서사극
4.낯설게 하기
5. 작품분석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Ⅲ. 토마스 만 Mann, Thomas (1875.6.6~1955.8.12)
1. 토마스 만의 생애
2. 토마스만의 이로니(Ironie)
3. 작품 분석 <토니오 크뢰거>
4. 망명 문학으로서의 작품
참고문헌
1. 망명문학이란?
2. 독일의 제3제국 시대
3. 제3제국의 문화정책
4. 망명동기
5. 망명지역
6. 독일 망명문학의 특징
Ⅱ.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2.10~1956.8.14)
1. 브레히트의 생애
2. 망명기
3.서사극
4.낯설게 하기
5. 작품분석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Ⅲ. 토마스 만 Mann, Thomas (1875.6.6~1955.8.12)
1. 토마스 만의 생애
2. 토마스만의 이로니(Ironie)
3. 작품 분석 <토니오 크뢰거>
4. 망명 문학으로서의 작품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한 한스와 잉에로 대변되는 시민성과 토니오로 대변되는 예술성은 니체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토니오가 나중에 북독일로 여행을 가서 만나는 한스와 닮은 청년도 이러한 시민성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리자베타는 토니오를 일상적인 생활에서 유리된 채 평범한 즐거움을 박탈당한 '길 잃은 시민'이라고 분류한다. 삶 속으로, 집단 속으로, 사회 속으로 들어가려고 몸부림치는 토니오에게 남는 것은 '고뇌와 불행과 굴욕' 뿐이었다. 그의 사랑에는 메아리가 없다. 여기에서 사회 지향적, 인류에 대한 사랑으로의 일보는 디뎌지지 않지만 희미하게 암시될 뿐이다.
"내 마음은 원망과 동경으로 가득했다. 왜? 무엇 때문에? 왜 나는 내 방 창가에 앉아 슈토름의 <임멘제>나 읽으면서 오래된 호두나무 가지가 우울한 소리를 내는, 저녁에 어스름에 싸인 정원이나 내려다보는 것일까? 그것이야말로 제격에 맞는 곳이었을 것이다."
토니오가 생활 속으로, 사회 속으로 들어가려고 하면 할수록 점점 더 사람들에게서 소외당할 뿐이었다. 파우스트가 '모든 것을 깨닫고서' 허무감을 느꼈듯이 토니오는 인식에 대한 혐오감을 가졌다. 토니오는 어느 세계에도 안주하지 못한다.
"나는 두 세계 사이에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세계에서 안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견디기가 약간 어렵군요. 당신들 예술가들은 나를 시민이라고 부르고, 또 시민들은 나를 사로잡으려고 충동을 느낍니다."
이와 같은 문장에서 <토니오 크뢰거>에서 담겨있는 토마스 만 특유의 이로니와 시민성과 예술성의 문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4. 망명 문학으로서의 작품
-1929년 『부덴브로크 일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후로 토마스 만의 문학적 위치는 확고해짐. 세계적 명성이 높아졌으며 국제적 인기 또한 급격히 상승. 반면 독일의 정치적 상황은 나날이 심각해짐.
-‘자유주의’ 지식층으로 불리는 사람들의 의도와 이념에 파괴적인 힘을 행사하기 시작. 나치가 진보적인 작가와 지식인들에 대해 공격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폭력과 위압의 시대. 토마스 만은 이같은 위협에도 불구하고 10월 17일 베를린의 베토벤 홀의 연단에 서서 독일인들로 하여금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파시즘에 투쟁할 것을 촉구하는 유명한 <독일연사 Deutsche Ansprache>를 강연. 이 때 사람들이 일어나 독일의 명예를 모욕하지 말라고 소리지르며 소동이 일어났으며 이것이 2년 후 망명의 서곡이라 볼 수 있음.
-1933년 2월 10일 뮌헨 대학 대강당에서 <리하르트 바그너의 고뇌와 위대성>에 관해 강의한 뒤, 다음 날 강연여행을 떠남. 토마스 만은 아들 클라우스와 딸 에리카에게 불안한 정치 상황을 전달받고 그 후로 16년간 독일에 돌아가지 못함.
-토마스 만은 인정받는 작가로서 존경받음. 무한한 고독감이나 자기창조의 공허감으로 고통스러워하지 않았으며 망명 초기에는 정치적 행동을 자제하여 다른 망명문학가들의 오해를 받기도 함.
-사후 출판된 일기와 비교해 그 영향을 알 수 있음.『선택된 인간』에서 주인공 그레고리우스의 모험적인 유랑, 그가 처한 상황의 절망감, 미래의 어두움과 언제고 함몰시킬 듯한 동질성의 상실은 망명의 경험들과 연관지어볼 수 있음.
참고문헌
로널드 그레이,『브레히트 評傳』, 김태식역 , 종로서적, 1988
이상일,『브레히트 - 브레히트와 서사극』,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브레히트학회,『브레히트의 연극 세계』, 열음사, 2001
헬무트 코프만, 『소설의 곡예사 - 토마스 만, 그의 문학과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장성현, 『고통과 영광 사이에서』 문학과 지성사, 2000
로만 카르스트, 『토마스 만 - 지성과 신비의 아이러니스트』, 책세상, 1997
"내 마음은 원망과 동경으로 가득했다. 왜? 무엇 때문에? 왜 나는 내 방 창가에 앉아 슈토름의 <임멘제>나 읽으면서 오래된 호두나무 가지가 우울한 소리를 내는, 저녁에 어스름에 싸인 정원이나 내려다보는 것일까? 그것이야말로 제격에 맞는 곳이었을 것이다."
토니오가 생활 속으로, 사회 속으로 들어가려고 하면 할수록 점점 더 사람들에게서 소외당할 뿐이었다. 파우스트가 '모든 것을 깨닫고서' 허무감을 느꼈듯이 토니오는 인식에 대한 혐오감을 가졌다. 토니오는 어느 세계에도 안주하지 못한다.
"나는 두 세계 사이에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세계에서 안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견디기가 약간 어렵군요. 당신들 예술가들은 나를 시민이라고 부르고, 또 시민들은 나를 사로잡으려고 충동을 느낍니다."
이와 같은 문장에서 <토니오 크뢰거>에서 담겨있는 토마스 만 특유의 이로니와 시민성과 예술성의 문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4. 망명 문학으로서의 작품
-1929년 『부덴브로크 일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후로 토마스 만의 문학적 위치는 확고해짐. 세계적 명성이 높아졌으며 국제적 인기 또한 급격히 상승. 반면 독일의 정치적 상황은 나날이 심각해짐.
-‘자유주의’ 지식층으로 불리는 사람들의 의도와 이념에 파괴적인 힘을 행사하기 시작. 나치가 진보적인 작가와 지식인들에 대해 공격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폭력과 위압의 시대. 토마스 만은 이같은 위협에도 불구하고 10월 17일 베를린의 베토벤 홀의 연단에 서서 독일인들로 하여금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파시즘에 투쟁할 것을 촉구하는 유명한 <독일연사 Deutsche Ansprache>를 강연. 이 때 사람들이 일어나 독일의 명예를 모욕하지 말라고 소리지르며 소동이 일어났으며 이것이 2년 후 망명의 서곡이라 볼 수 있음.
-1933년 2월 10일 뮌헨 대학 대강당에서 <리하르트 바그너의 고뇌와 위대성>에 관해 강의한 뒤, 다음 날 강연여행을 떠남. 토마스 만은 아들 클라우스와 딸 에리카에게 불안한 정치 상황을 전달받고 그 후로 16년간 독일에 돌아가지 못함.
-토마스 만은 인정받는 작가로서 존경받음. 무한한 고독감이나 자기창조의 공허감으로 고통스러워하지 않았으며 망명 초기에는 정치적 행동을 자제하여 다른 망명문학가들의 오해를 받기도 함.
-사후 출판된 일기와 비교해 그 영향을 알 수 있음.『선택된 인간』에서 주인공 그레고리우스의 모험적인 유랑, 그가 처한 상황의 절망감, 미래의 어두움과 언제고 함몰시킬 듯한 동질성의 상실은 망명의 경험들과 연관지어볼 수 있음.
참고문헌
로널드 그레이,『브레히트 評傳』, 김태식역 , 종로서적, 1988
이상일,『브레히트 - 브레히트와 서사극』,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브레히트학회,『브레히트의 연극 세계』, 열음사, 2001
헬무트 코프만, 『소설의 곡예사 - 토마스 만, 그의 문학과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장성현, 『고통과 영광 사이에서』 문학과 지성사, 2000
로만 카르스트, 『토마스 만 - 지성과 신비의 아이러니스트』, 책세상, 1997
키워드
추천자료
분단문학 - 여성작가의 눈을 통해 본 분단
[독일문학]20세기 독일의 문학과 헤르만 헤세
국내외 아동문학 작가
작가 이상과 그의 작품「날개」의 문학사적 의의
[판소리][판소리문학][구비문학][구전문학][판소리에 대한 남북한의 차이]판소리의 특징, 판...
[자연주의]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 작가와 작품, 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와 사실주의(사실주...
(일본문학의흐름G)프롤레타리아 문학 성립의 시대적 배경과 특징 및 전향문학에 대하여
[종교][종교분쟁][종교연합단체][문학][종교 연구 사례][종교의 미래]종교의 개념, 종교와 종...
[이태준 소설 농군][이태준][소설 농군][작가][주인공][소설 농군과 봄][근대문학][단편소설]...
[구조적 특징, 사회관계망 구조적 특징, 지역산업, 북한체제, 독일문학, 사리개념]사회관계망...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공통]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
미국의 대표적인 작가 edgar allen poe의 작품 세계에 대해 기술하고 그가 미국 문학사에 미...
[현대문학작가론] 김유정 『금따는 콩밭』,『땡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