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 2000의 소개와 시장현황 및 서비스정책 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MT-2000 이란

▶IMT-2000 시장현황 및 서비스정책 방향

본문내용

1994년 9월에 ARIB는 IMT-2000 서비스를 두단계로 시행할 계획을 결정 하였다. 하나는 2000년까지 2M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갖춘 IMT-2000을 도입하고, 2단계로는 2010년까지 10Mbps의 데이터전송률을 갖춘 IMT-2000을 도입할 계획이다.일본은 우정성의 주관으로 범국가적인 IMT-2000의 표준화 추진체의 구성 및 표준화기능을 강화하고, ITU-T의 UPT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PHS의 호환성문제의 극복을 위하여 ITU-R의 IMT-2000 적용에 대비하여 TDMA의 한계성인 통신속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W-CDMA관련 연구가 급진전하고 있다.한편, 산업체에서는 일본 국제전신전화(KDD)와 장거리전화사업자인 일본텔레컴그룹이 1998년부터 차세대 휴대전화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기술표준은 NTT이동통신망(NTT도코모)의 표준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KDD의 경우 시험용 기지국 및 단말기를 히타찌제작소에서 들여와 1998년 6월부터 현장시험에 들어갈 예정으로 당분간 독자방식의 연구를 추진하지만 최종적으로는 NTT도코모 방식을 채용할 방침이다.
한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 무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IMT-2000은 NTT도코모 방식과 북미 4개사 연합방식(모토롤라, 퀄컴, 노던텔레컴, 루슨트테크놀로지)이 표준규격의 채택을 두고 대립하고 있다. 이들 4개사 연합방식은 현재 일본의 장거리전화사업자 DDI와 휴대전화사업자 일본이동통신(IDO)이 지지하고 있으며, NTT도코모 방식은 스웨덴의 에릭슨과 핀란드의 노키아 등이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일본은 IMT-2000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1,895∼1,918.1㎒대역이 PHS에 할당되어 있다. 이들은 PHS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성을 탈피하고 세계시장진출을 위해 개발에 적극성을 띠고 있다. IMT-2000의 무선접속규격을 ITU-R의 TG 8/1회의에 총 9개의 샘플규격 제안서를 제출하고 있다. 이것은 지상환경 무선전송기술 4개 분야와 위성환경 무선전송기술 5개 분야이다.
4. 주요국의 표준화전략 비교
세계 주요국의 IMT-2000 기술의 표준화정책을 비교하면 <표 5>와 같다. 이는 ITU를 중심으로 세계적 차원의 표준화를 하려는 노력이 일어나고 있지만, 국가마다 상이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IMT-2000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ITU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단일 표준을 지향하고 있는 ITU는 ITU-R의 TG 8/1에서 무선접속규격의 표준화를 추진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82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