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체계의 주요 개념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체계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체계로서의 가족

2. 주요 개념들
(1) 순환적 인과성
(2) 비합산성 혹은 비총합성
(3) 동등종결성과 다중종결성
(4) 항상성과 형태형성성
(5) 가족의 구조와 역할
(6) 경계

본문내용

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칸터와 레어는 경계의 특성과 속성을 기준으로 가족을 개방적 가족과 폐쇄적 가족, 무질서한 가족, 그리고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사티어는 개방적 가족과 폐쇄적 가족으로 유형화하였다.
개방적 가족은 경계가 명확하고 침투 가능하여 외부체계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가족을 의미한다. 즉 친구나 이웃들이 수시로 오가며 개인적·집단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정보의 교류가 자유로운 가족이다. 반면에 폐쇄적 가족은 경계가 불투명하거나 침투하기 어려운 가족으로 늘 문이 잠겨 있고 부모가 자녀의 활동에 대한 통제가 강하며, 이웃과의 관계가 소원한 가족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무질서한 가족은 경계가 거의 없는 가족으로 가족 구성원인 사람과 아닌 사람, 가족의 공간인 곳과 아닌 곳에 대한 구분이 별로 없는 가족을 의미한다.
한편 경계는 그 가족의 가치체계와 양식을 반영하며 역사적·전통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경계 자체의 속성 때문에 기능적이 되거나 혹은 역기능적인 가족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가족이 충성심이나 친밀성, 가족의 전통에 얼마나 가치부여를 하는가에 따라 경계는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능적인 가족이 될 수도 있고 혹은 역기능적인 가족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계의 특성들을 이해하는 것은 가족을 사정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 외에도 정서적 친밀성과 응집력을 중심으로 가족을 구분하기도 한다. 올슨과 스프랜클, 러셀은 독립성과 연계성이라는 연속체상에서 양 극단을 분리된 가족과 밀착된 가족으로 구분하였으며, 보웬은 분화된 가족과 혼합된 가족으로 구분하였다.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