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의 개관
1. 프로이드
(1) 발달이론
1) 구순기 (구강기) (oral stage)
2) 항문기 (Anal stage)
3) 남근기 (Phallic stage)
4) 잠재기(잠복기)
5) 성기기(생식기)
(2) 프로이드 발달이론 - 구조 모형
1) 원초아 ․ 본능(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3) 프로이드 발달이론 - 지형학적 모형
1) 의식
2) 전의식
3) 무의식
2.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1) 1단계 : 신뢰 vs 불신
(2) 2단계 : 자율성 vs 의심/수치심
(3) 3단계 : 주도성 vs 죄책감
(4) 4단계 : 근면(열정) vs 열등감
(5) 5단계 : 자아정체감 vs 역할혼미
(6) 6단계 : 친밀감 vs 고립감
(7) 7단계 : 생산 vs 침체
(8) 8단계 : 자아통합 vs 절망

Ⅲ. 이론 비교

Ⅳ. 사견

본문내용

아닌 자아정체성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 생각된다.
또한 에릭슨의 발달 단계 이론은 학생 시절에 획득해야할 근면성을 위해 재능을 발견하고 북돋아주는, 격려하는 교사의 태도를 중시하고 있다. 중고등학교 시절을 떠올려 보면 열등감으로 가득 찬 아이들을 꽤 떠올릴 수 있다. 학습에 관련된 모든 생활에 관해서는 포기한 상태이고 학교생활에조차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에게 근면성이 없음을 단순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늦었지만 획득할 수 있도록 조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 에릭슨의 이론의 경우 각 발달의 과정에서 겪는 갈등의 유형을 자세하게 서술했기 때문에 교육장면에서 아이들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다. 각 단계에 있는 아이들에게 적절한 지적을 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너무 성적이나 결과에만 치중하여 아이들이 열등감에 빠지거나 좌절하는 경우를 무시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는 아이들에게 안좋은 성격을 형성하게 하므로 따뜻한 관심을 가지고 상담을 하거나 연장자로서 조언을 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 물론 아이들이 너무 성공만 겪는 것은 또 다른 나약한 성격과 방만한 성격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다 겪을 수 있게 해야한다. 다만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을 때 그냥 지나치지 않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이 교육장면에서 겪는 모든 일들이 그 아이의 평생 동안 성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잊지 말고 작은 부분부터 큰 부분까지 모두 돌보아 줄 수 있어야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2.1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