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혼인형태에 따른 분류
1)일부일처제(monogamy)
2)복혼제(polygamy)
①일처다부제
②일부다처제
③집단혼(다부다처)
④연속적 일부일처제(연계 단혼제)
2. “가족구성”에 따른 분류
①핵가족(=부부가족)
②확대가족(직계가족)
③방계가족
④복합가족
3. “거주지”에 따른 분류
①부거제(시댁살이)
②외숙거제(모계사회)
③모거제(처가살이)
④모부거제(부모거제x)
⑤양거제
⑥신거제
4.“가계 계승방식”에 따른 분류
①부계제
②모계제
③양계제
5.“권위”에 따른 분류
①부권제
②모권제
③동권제
1)일부일처제(monogamy)
2)복혼제(polygamy)
①일처다부제
②일부다처제
③집단혼(다부다처)
④연속적 일부일처제(연계 단혼제)
2. “가족구성”에 따른 분류
①핵가족(=부부가족)
②확대가족(직계가족)
③방계가족
④복합가족
3. “거주지”에 따른 분류
①부거제(시댁살이)
②외숙거제(모계사회)
③모거제(처가살이)
④모부거제(부모거제x)
⑤양거제
⑥신거제
4.“가계 계승방식”에 따른 분류
①부계제
②모계제
③양계제
5.“권위”에 따른 분류
①부권제
②모권제
③동권제
본문내용
솔서제와 다른건! 가난한 집인데,노동력 필요, 머슴역할을 시키기 위해 돈주고 데려옴. 노동력(아들역할x) 나이 어린 남자애를 돈을 주고 데려옴. 어린아이를 키우면서 일시키다가 어느정도 크면 딸과 혼례시킴.
④모부거제(부모거제x) : 결혼 후에 일정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그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거제로 바뀜. 시댁가서 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흔함.(17세기 이전까지 모부거제)
ex>서옥제(고구려) : 딸을 시집보내는 부모가 본채 뒤에 별채(서옥)을 지어놓고 딸을 서옥에 거주시킴.자녀 낳고 조금 큰 후에 보냄,,
⑤양거제 : 시가든 처가든 본인들이 선택해서, 들어가서 산다.
⑥신거제 : 단가살이, 요즘 젊은사람들 처럼 둘이 독립(분가)해서 산다.
⇒너무 가까워서 간섭받지도, 너무 멀어서 무슨일 생겼을때 못가거나 사이멀어지지도 않는 거리!! : 서울~대전(2-2시간30분)거리///시가,친가 모두 집에서 이정도 거리여야 갈등x
4.“가계 계승방식”에 따른 분류
(성/재산)
①부계제 : 아버지의 성을 따르는 사회, 아버지→아들(특히 장남) line, 아들이 재산 상속 받는다.// 우리나라는 엄격한 부계제 아니다.
②모계제 : 혈통, 가산(집안의 재산)이 어머니 → 딸, 여자 line
ex> 미국 흑인-남자수명 짧다(범죄,감옥)->아버지가 다른 애들을 계속 낳게 되는데, 애들 성이 다르면 불편!->따라서 엄마 성을 따른다./10대가 애를 낳게되고 그렇기 때문에, 외할머니 중심으로 모여산다./남자가 적으므로 일부타처를 하게된다
ex> 어촌, 멀리 나가서 죽는남자 많다- 본의아니게 모계사회
*우리나라 옛날엔 모계사회가 먼저 있었다!!
③양계제 : 형편에 따라서 계승할 수 있는 사회. 합의하에 선택, 친척의 비중을 동일하게 한다.
5.“권위”에 따른 분류
①부권제 : 가부장 사회, 가장에게 다른 식솔들의 생가 여탈권을 준다, 집 안팎의 권한 다 가지고 있다.
-가장은 하나, 부모도, 가장 아닌 형제들도 가장의 말을 잘 들어야한다. 차남들도 자기 가족의 가부장권을 갖고 있지만, 가장은 전체 집안의 사람들 모두의 생사여탈권을 가진다. ///유교국가 아니라 서양에서도 나타남/// 만약, 아들이 집안에 먹칠을 하는일이 있었다고 치자.그때, 가장이 아들을 죽인다. 그래도 법적 조치를 받지 않는다.
②모권제 : 가족의 통솔권을 엄마가 갖음, but, 대외권 없다. 집안의 권한(경제권)을 가지고 있지만, 집밖의 권한(대외권)은 없다.
술부권 : 집 밖의 일(권한)을 외삼촌 or 아들(남자)가 갖고 있다.
아들의 교육은 외삼촌이 담당하고, 사회적인 아들의 후견인은 외삼촌(숙부)이라-
-모권제는 역사적으로 고대사회에 나타났으며, 가장 드물다. 그리고 후견인이란 것은, 엄마가 아닌 숙부가 아들을 취직시켜주기도하고, 데리고 나가기도한다는걸 의미.
③동권제 : 부인과 남편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사회
ㆍ우리나라 :사랑채와 안채가 분리.
가부장제(부권제)사회지만, 남자는 감히 안쪽일 관여X
주부권!! , 곳간열쇠 :주부권 상징.
곳간열쇠를 시어머니→며느리 준다는것 : 시어머니은퇴,며느리에게 권한 넘김.
남편이 번돈 고스란히 부인손에,,
-주부권 형태.
ㆍ경상도 : 은거형, 안방 물림, 사랑방 물림
부모님(시어머님)이 살아계시는 동안에 물려줌
ㆍ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 종신형,부모님(시어머님)이 돌아가신후 물려줌
ㆍ제주도 : 독립권, 같은집에 살아도 취사권은 따로 있음, (만약, 시아버지가 혼자 살아도, 시아버지밥은 알아서 시아버지가 해먹는다)
결혼해서 같이 살아도, 단가형 처럼 자기끼리만 산다.(부모님은 우리 가족이 아니다.)
제주도는 부권발달 못함, 경제력,Power이 여자한테 있다.
④모부거제(부모거제x) : 결혼 후에 일정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그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거제로 바뀜. 시댁가서 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흔함.(17세기 이전까지 모부거제)
ex>서옥제(고구려) : 딸을 시집보내는 부모가 본채 뒤에 별채(서옥)을 지어놓고 딸을 서옥에 거주시킴.자녀 낳고 조금 큰 후에 보냄,,
⑤양거제 : 시가든 처가든 본인들이 선택해서, 들어가서 산다.
⑥신거제 : 단가살이, 요즘 젊은사람들 처럼 둘이 독립(분가)해서 산다.
⇒너무 가까워서 간섭받지도, 너무 멀어서 무슨일 생겼을때 못가거나 사이멀어지지도 않는 거리!! : 서울~대전(2-2시간30분)거리///시가,친가 모두 집에서 이정도 거리여야 갈등x
4.“가계 계승방식”에 따른 분류
(성/재산)
①부계제 : 아버지의 성을 따르는 사회, 아버지→아들(특히 장남) line, 아들이 재산 상속 받는다.// 우리나라는 엄격한 부계제 아니다.
②모계제 : 혈통, 가산(집안의 재산)이 어머니 → 딸, 여자 line
ex> 미국 흑인-남자수명 짧다(범죄,감옥)->아버지가 다른 애들을 계속 낳게 되는데, 애들 성이 다르면 불편!->따라서 엄마 성을 따른다./10대가 애를 낳게되고 그렇기 때문에, 외할머니 중심으로 모여산다./남자가 적으므로 일부타처를 하게된다
ex> 어촌, 멀리 나가서 죽는남자 많다- 본의아니게 모계사회
*우리나라 옛날엔 모계사회가 먼저 있었다!!
③양계제 : 형편에 따라서 계승할 수 있는 사회. 합의하에 선택, 친척의 비중을 동일하게 한다.
5.“권위”에 따른 분류
①부권제 : 가부장 사회, 가장에게 다른 식솔들의 생가 여탈권을 준다, 집 안팎의 권한 다 가지고 있다.
-가장은 하나, 부모도, 가장 아닌 형제들도 가장의 말을 잘 들어야한다. 차남들도 자기 가족의 가부장권을 갖고 있지만, 가장은 전체 집안의 사람들 모두의 생사여탈권을 가진다. ///유교국가 아니라 서양에서도 나타남/// 만약, 아들이 집안에 먹칠을 하는일이 있었다고 치자.그때, 가장이 아들을 죽인다. 그래도 법적 조치를 받지 않는다.
②모권제 : 가족의 통솔권을 엄마가 갖음, but, 대외권 없다. 집안의 권한(경제권)을 가지고 있지만, 집밖의 권한(대외권)은 없다.
술부권 : 집 밖의 일(권한)을 외삼촌 or 아들(남자)가 갖고 있다.
아들의 교육은 외삼촌이 담당하고, 사회적인 아들의 후견인은 외삼촌(숙부)이라-
-모권제는 역사적으로 고대사회에 나타났으며, 가장 드물다. 그리고 후견인이란 것은, 엄마가 아닌 숙부가 아들을 취직시켜주기도하고, 데리고 나가기도한다는걸 의미.
③동권제 : 부인과 남편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사회
ㆍ우리나라 :사랑채와 안채가 분리.
가부장제(부권제)사회지만, 남자는 감히 안쪽일 관여X
주부권!! , 곳간열쇠 :주부권 상징.
곳간열쇠를 시어머니→며느리 준다는것 : 시어머니은퇴,며느리에게 권한 넘김.
남편이 번돈 고스란히 부인손에,,
-주부권 형태.
ㆍ경상도 : 은거형, 안방 물림, 사랑방 물림
부모님(시어머님)이 살아계시는 동안에 물려줌
ㆍ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 종신형,부모님(시어머님)이 돌아가신후 물려줌
ㆍ제주도 : 독립권, 같은집에 살아도 취사권은 따로 있음, (만약, 시아버지가 혼자 살아도, 시아버지밥은 알아서 시아버지가 해먹는다)
결혼해서 같이 살아도, 단가형 처럼 자기끼리만 산다.(부모님은 우리 가족이 아니다.)
제주도는 부권발달 못함, 경제력,Power이 여자한테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