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울리게 기술에 대하여 매우 낙관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의 생각은 홍해를 가르기 전 하느님이 모세에게 홍해를 갈라 피신시켜줄 수 있으나 환경영향 평가서를 받아오라는 대목에 잘 나타난 것 같다. 현재의 기술수준은 우리가 꿈꾸는 미래 도시의 실현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과거 도시를 만드는 대에 있어서 기술이 제약조건이었다면 현대와 미래에는 기술이외의 것이 제약조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초고층에서의 생활은 결코 현실이 되지 못할 것이며 대신 미래 도시의 모습으로 완벽한 교외 도시를 꼽고 있다. 미래 도시가 어떠한 모습을 하게 될지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인 것 같다. 상황이 항상 예측한 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이는 수많은 고려사항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교통수단의 발달과 미래의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나은 생활수준을 추구하려 할 것이며, 환경의 문제는 더욱더 현실적인 해결과제가 될 것이라는 나름의 가정을 세워보았을 때 중심지의 기능은 지금보다 약화 될 것이며 주변지의 경우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되어 현재 우리나라의 수도권과 같이 산만한 교외화와 중심지 확산이 아닌 정리된 교외화가 이루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마지막으로 해본다.
추천자료
도시설계의이론(도시설계란?)
신도시주의(뉴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분당신도시 사례연구
도시환경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생태도시”.
도시환경문제와 생태도시 연구
해외도시개발사례를 통해 본 21세기 도시정비방향
도시의 문제점(도시 문제의 이해)
도시기능체계와 도시공간구조
도시화와 도시문제
도시환경문제와 도시환경정책
생태도시 이론 사례 고찰 한국 생태도시의 특징과 문제점과 방향
도시마케팅의 성공사례, 등장배경 및 도시마케팅 믹스 분석
도시재생사업 개요와 해외 도시재생 사례 조사
도시농업의 필요성, 문제점 및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도시환경)도시재생과 부동산가격 변동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현상의 해결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