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2. 이본별 서사단락과 무가권의 구획
3. 신화적 성격
4. 서사구조와 작품에 반영된 사상
2. 이본별 서사단락과 무가권의 구획
3. 신화적 성격
4. 서사구조와 작품에 반영된 사상
본문내용
로서는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 그러나 끝까지 그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딸아기를 추방함으로써, 중 사위를 보았다는 사실을 부정한다. 이러한 사고는 천명을 절대시하던 조선조 사대부들들이 사고와는 다른 것이며, 우리 민족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었던 무속적 사고라고 생각된다 무당 중에는 자기가 모시는 신과도 투쟁하는 사람이 있다. 손님도 없고 생활이 곤란하면 신에게 抗議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무속의 신은 절대적인 신성불가침의 존재가 아니며 신에 의해 정해진다는 운명도 역시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말했다시피 당금애기의 내용은 남여의 결합과 잉태 및 출산이다. 이것은 평범한 일이지만 가장 중요한 일이며, 싫증낼 수 없는 내용이다. 당금애기에서 중과 딸아이의 결합과정은 연애이고, 남녀 결합에 장애와 이것을 극복하는 과정의 서술이다. 이런 점에서 당금애기는 민중들의 공감을 살 수 있었다. 그러나 당금애기에서 보다 강조된 것은 새로운 생명을 출생시키기까지의 여성 수난이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작품의 궁극적인 의미는 모든 고난을 참고 견딘 뒤에 새 생명을 탄생시키고 그 결과로 삼신이라는 영광된 신직을 부여받는다는 것이다. 즉 고난을 극복한 뒤에라야 보람을 찾고 영광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인고의 미덕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고난과 역경에 처한 민중들에게 희망을 주고 용기를 주는 기능을 가졌을 것이다.
또 남녀의 결합과정과 아이를 낳아 기르는 것은 가장 평범한 이야기면서 가장 지겹지 않은 내용이다. 그러므로 반복해서 들어도 실증이 안 나는 것이다. 서사무가는 굿할 때마다 거의 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구연된다. 따라서 서사무가의 청중은 서사무가의 내용을 알고 있다. 그러나 서사무가의 내용을 잘 알고 많이 들은 사람일수록 서사무가의 구연 현장을 부지런히 찾는다. 이것은 서사무가가 그만큼 일상생활의 체험을 환기시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구연됨을 말해 주는 것이다. 즉 이것을 듣는 청중들은 제각기 자기 체험을 조작한다. 이런 점에서 서사무가의 내용은 대부분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출산의 이야기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수난의 내용을 담고 있고, 후에 우리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 수난 문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2001
서대석, 「서사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92
홍태한, 「서사무가 당금애기 연구」, 민속원, 2000
.
말했다시피 당금애기의 내용은 남여의 결합과 잉태 및 출산이다. 이것은 평범한 일이지만 가장 중요한 일이며, 싫증낼 수 없는 내용이다. 당금애기에서 중과 딸아이의 결합과정은 연애이고, 남녀 결합에 장애와 이것을 극복하는 과정의 서술이다. 이런 점에서 당금애기는 민중들의 공감을 살 수 있었다. 그러나 당금애기에서 보다 강조된 것은 새로운 생명을 출생시키기까지의 여성 수난이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작품의 궁극적인 의미는 모든 고난을 참고 견딘 뒤에 새 생명을 탄생시키고 그 결과로 삼신이라는 영광된 신직을 부여받는다는 것이다. 즉 고난을 극복한 뒤에라야 보람을 찾고 영광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인고의 미덕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고난과 역경에 처한 민중들에게 희망을 주고 용기를 주는 기능을 가졌을 것이다.
또 남녀의 결합과정과 아이를 낳아 기르는 것은 가장 평범한 이야기면서 가장 지겹지 않은 내용이다. 그러므로 반복해서 들어도 실증이 안 나는 것이다. 서사무가는 굿할 때마다 거의 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구연된다. 따라서 서사무가의 청중은 서사무가의 내용을 알고 있다. 그러나 서사무가의 내용을 잘 알고 많이 들은 사람일수록 서사무가의 구연 현장을 부지런히 찾는다. 이것은 서사무가가 그만큼 일상생활의 체험을 환기시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구연됨을 말해 주는 것이다. 즉 이것을 듣는 청중들은 제각기 자기 체험을 조작한다. 이런 점에서 서사무가의 내용은 대부분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출산의 이야기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수난의 내용을 담고 있고, 후에 우리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 수난 문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2001
서대석, 「서사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92
홍태한, 「서사무가 당금애기 연구」, 민속원,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