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에 대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니세프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유니세프 설립 정신과 이념 p1


본론
<2> 유니세프의 설립배경과 발전 p1 ~ p2
<3> 유니세프의 조직상황 p2 ~ p3
<4> 유니세프의 활동(분야별) p3 ~ p10
Ⅰ. 영양분야 p3
Ⅱ. 보건분야 p5
Ⅲ. 식수위생분야 p6
Ⅳ. 기초교육분야 p8
Ⅴ. 어린이보호분야 p8
Ⅵ. 긴급구호활동분야 p10
<5> 유니세프 한국 위원회 p11
Ⅰ. 한국에서의 유니세프 사업 4단계 p11
Ⅱ. 한국 위원회 조직 p12
Ⅲ. 한국 위원회 활동 p13
<6> 유니세프 직원이 되려면

결론
<7> 유니세프의 2006~2009 중장기 사업전략

요약
<8> 유니세프 내용 요약

본문내용

고 사업을 펼쳐 나갑니다.
※ 유엔이 정한 새천년 개발목표 8개항
1) 절대빈곤과 기아를 퇴치한다.
2) 모든 어린이가 초등교육을 마치도록 한다.
3) 성평등을 달성하고 여성의 역량을 강화한다.
4) 어린이 사망률을 낮춘다.
5) 모성사망률을 낮춘다.
6) 에이즈와 말리리아 등의 질병을 줄인다.
7)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을 이룬다.
8) 국제적인 협력관계를 발전시킨다.
1. 영유아 생존과 발달에 관한 목표와 추진전략
- 어린이 사망의 주요원인이 되는 기본질병에 대한 예방접종률의 확대 -250만 어린이
생명을 구하는 효과
- 정부 및 다른 유엔기구들과 협력해 유아의 영양과 보건분야에 적극적으로 개입
- 재정 지원 및 교육훈련을 통한 가정과 지역사회 역량 강화
- 식수와 위생시설 개선으로 보건상황 개선
- 긴급사태 발생지역 어린이에 대한 신속한 구호활동
- 모든 나라에서 90% 예방접종률을 달성, 모든 지역에서 최소 80%의 예방접종률
달성을 목표로 예방접종캠페인 전개
- 말라리아 발생지역에서 모기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모기장 보급률이 최소 60%가
되도록 모기장 보급
- 비타민 A공급 확대
- 완전모유수유율 높이기
2. 기초교육과 성평등에 관한 목표와 추진전략
- 소수민족 어린이 등 소외계층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교육기회 확대.
2015년까지100%가 기초교육을 받도록 함
- 학교에 출석하지 않는 어린이 비율 40% 줄이기
- 여자어린이와 장애어린이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진학률 높이기.
2009년까지 초등과 중등 학교에서 성 평등 달성
- 교육의 질 개선과 중퇴율 낮추기.
90%의 어린이가 5학년까지 교육을 미치도록 지원
- ‘어린이에게 친근한 학교’에 기초한 교육의 질에 관한 규정을 가진 국가비율 60%
늘리기
- 학업성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갖춘 국가비율 20% 늘리기
- 긴급사태나 전쟁, 에이즈 등 교육이 위협받는 환경에서 교육시스템 조기 복구
3. 에이즈 퇴치에 관한 목표와 추진전략
- 에이즈 치료제인 항레트로바이러스(ARVs) 제제의 보급 확대로 모자감염 예방
- 현재 10% 미만인 에이즈 감염 임산부의 ARV 치료율 80%로 증가
- 여성과 어린이에게 ARV 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능력 강화
- 어린이용 ARV의 개발 및 보급 촉진
- 에이즈관련 질병 치료에 효과적인 값싼 항생제 코트리목사졸 보급 확대
- 에이즈문제가 심각한 54개국을 중심으로 에이즈고아를 위한 보호서비스 확대
- 청소년에게 에이즈관련 정보와 예방법 전달
4. 어린이 보호를 위한 목표 및 추진전략
- 착취적인 형태의 노동, 학대와 폭력 등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과 정책,
프로그램 체계가 세워지도록 지원
- 전쟁이나 자연재해의 영향을 받는 어린이 지원방법 개선
- 어린이범법자가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청소년사법제도의 개선 요청
- 가족찾기프로그램 등을 통해 미아 감소 추진, 각국 정부가 빈곤층에게
기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능력 강화
5. 어린이 권리를 위한 정책 지지와 파트너쉽 목표 및 추진전략
- 주요정책의 입안과 예산의 집행 등이 어린이 중심이 되도록 지원
- 긴급사태시 해당국가와 지역사회의 역량이 강화되도록 각나라정부 및 관련단체와 협력
- 자신들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어린이가 참여하도록 지원
- 유엔아동권리협약을 확실한 이행을 각 나라 정부에 촉구
- 어린이권리와 관련된 개선된 자료의 수집과 평가, 홍보 등으로 정부 정책에
영향력 행사
<8> 유니세프에 대한 요약
유니세프는 1946년 12월 국제연합총회의 결의에 따라 전쟁피해 아동과 청소년들의 구호를 위해 설립된 기구입니다. 처음 명칭은 국제연합국제아동구호기금(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이었으며, 1953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꿨으나, UNICEF라는 약칭은 그대로 쓰기로 했습니다. 이 단체는 어린이의 생활개선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1965년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지원분야는 긴급구호·영양·보건·예방접종·식수 및 환경개선·기초교육·모유수유권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가입국은 182개국이며, 활동기구는 개발도상국형 기구인 대표사무소와 선진국형 기구인 국가위원회로 나누어집니다. 전세계 144개 개발도상국에 설치된 대표사무소는 자국아동 구호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펼치며, 38개 선진국에 설치된 국가위원회는 아동구호를 위한 지원 마련과 자국민에게 세계의 아동문제를 홍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니세프는 본부, 선진국형 조직인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ttee), 국가사무소(Field Office), 지역사무소(Regional Office)로 나누어집니다. 본부는 뉴욕과 제네바에 나뉘어 있으며, 주로 뉴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 제네바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37개 국가위원회가 있어서 민간 모금,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국가위원회와 본부로부터 지원을 받은 126개 국가사무소는 157개 개발도상국에서 어린이 보호 프로그램을 활동을 합니다. 유니세프가 직접 관여하는 나라의 수는 194개국이며 전세계 8개 지역사무소에서 해당 지역내 국가간의 조정 역할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1950년부터 1993년까지 UNICEF로부터 다양한 지원을 받았으며, 1988년 집행이사국이 되었다. 1994년 1월 유니세프한국대표부가 유니세프한국위원회로 바뀌면서 지원을 받는 국가에서 지원을 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후 북한의 기아사태, 내전중인 르완다·소말리아 등에 긴급자금을 지원했으며, 기금을 마련을 위한 여러가지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인 문화예술인들이 임명되어 어린이를 위한 활동을 펼치는 UNICEF 친선대사에 2명이 임명되었습니다.
(출처: www.unicef.or.kr, 전국고등학생 진로찾기 운동본부 cafe.naver.com/makemyfuture
유니세프 전문직원 김경선씨 http://www.donga.com 기사 참조)
(채용관련 상세 문의: (02)722-6482/ 이메일: ispark@unicef.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12.28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