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명
2. 실험일자
3. 실험목표
4. 실험이론
5. 실험방법
6. 실험기구 및 시약
7. 참고문헌
2. 실험일자
3. 실험목표
4. 실험이론
5. 실험방법
6. 실험기구 및 시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음을 관찰한다. 4)에서와 같이 단위세포의 부치, 공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를 계산한다.
6) 면심격자의 단위세포를 만든다. 이번에는 단위세포 옆면의 대각선방향으로는 공들이 서로 맞닿고 있음을 관찰한다. 4)와 마찬가지로 단위세포의 부피, 공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를 계산한다.
7) 큰 공을 염소 음이온이라고 생각하고 작은 공을 나트륨 양이온이라고 생각하여 NaCl의 격자모형을 만든다. 큰 공 주위에 4개의 작은 공을 같은 평면에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한다. 같은 평면에서 두 개의 작은 공 사이에 큰 공을 하나씩 끼워 넣는다. 큰 공의 아래와 위쪽에 작은 공을 하나씩 연결하고 작은 공의 아래와 위에도 큰 공을 하나씩 연결한다. 큰 공 14개와 작은 공 13개가 필요할 것이다. 단위세포의 모양을 확인하고, 단위세포의 몇 개의 큰 공과 작은 공이 들어있는가를 확인한다.
6. 실험기구 및 시약
스티로폼 공(큰 공과 작은 공), 나무막대기
7. 참고문헌
강태종, 대학화학, 녹문각
D.W.Oxtoby 외, 일반화학, 청문각
Jones, Atkins, 화학의 원리, 탐구당
D.W. Oxtoby, 대학화학, 자유아카데미
6) 면심격자의 단위세포를 만든다. 이번에는 단위세포 옆면의 대각선방향으로는 공들이 서로 맞닿고 있음을 관찰한다. 4)와 마찬가지로 단위세포의 부피, 공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를 계산한다.
7) 큰 공을 염소 음이온이라고 생각하고 작은 공을 나트륨 양이온이라고 생각하여 NaCl의 격자모형을 만든다. 큰 공 주위에 4개의 작은 공을 같은 평면에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한다. 같은 평면에서 두 개의 작은 공 사이에 큰 공을 하나씩 끼워 넣는다. 큰 공의 아래와 위쪽에 작은 공을 하나씩 연결하고 작은 공의 아래와 위에도 큰 공을 하나씩 연결한다. 큰 공 14개와 작은 공 13개가 필요할 것이다. 단위세포의 모양을 확인하고, 단위세포의 몇 개의 큰 공과 작은 공이 들어있는가를 확인한다.
6. 실험기구 및 시약
스티로폼 공(큰 공과 작은 공), 나무막대기
7. 참고문헌
강태종, 대학화학, 녹문각
D.W.Oxtoby 외, 일반화학, 청문각
Jones, Atkins, 화학의 원리, 탐구당
D.W. Oxtoby, 대학화학, 자유아카데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