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즉 살집이기라는 팔 집이라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 또한 집으로서 자신의 지위를 상징한다는 의미가 강해지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문화가 변하면서 돈의 가치가 중요해 지고 있다지만 이러한 점은 고쳐져야 할 부분인 것 같다.
문화는 계속해서 변화고 있고 지금은 또 다른 주거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주거는 전통과 현대가 접목된 주거라고 생각을 한다. 전통주거의 친환경적인 면과 이상향과 현대주거의 편리함이 함께 공존을 하는 집이라면 좋은 집이라고 생각을 한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집이 약간은 이런 형태라고 생각을 한다.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집은 한옥이다. 마루가 있고 문은 지금 멋있는 문이 아닌 나무창살과 창호지를 붙힌 문이다. 이러한 문은 정말로 갑갑하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고 쾌적한 기분을 들게 한다. 또 마당이 있어서 나무도 키우고 강아지들도 키우는 편한 집이다. 하지만 집안은 현대의 집과 같이 부엌도 입실이고 공간분화도 되어있지 않다. 물론 보일러를 쓰고 있다는 것이 약간 문제가 되긴 하지만 그래도 좋은 집이라는 생각을 한다. 미래의 집에는 우리가 정말 편안하게 생각하고 건강에도 좋은 집이라는 생각을 한다.
문화는 계속해서 변화고 있고 지금은 또 다른 주거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미래의 주거는 전통과 현대가 접목된 주거라고 생각을 한다. 전통주거의 친환경적인 면과 이상향과 현대주거의 편리함이 함께 공존을 하는 집이라면 좋은 집이라고 생각을 한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집이 약간은 이런 형태라고 생각을 한다.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집은 한옥이다. 마루가 있고 문은 지금 멋있는 문이 아닌 나무창살과 창호지를 붙힌 문이다. 이러한 문은 정말로 갑갑하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고 쾌적한 기분을 들게 한다. 또 마당이 있어서 나무도 키우고 강아지들도 키우는 편한 집이다. 하지만 집안은 현대의 집과 같이 부엌도 입실이고 공간분화도 되어있지 않다. 물론 보일러를 쓰고 있다는 것이 약간 문제가 되긴 하지만 그래도 좋은 집이라는 생각을 한다. 미래의 집에는 우리가 정말 편안하게 생각하고 건강에도 좋은 집이라는 생각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