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각 추골의 가동성
2. 가동성감소관절
3. 가동성 항진관절
4. 1차성 서블럭세이션과 2차성 서블럭세이션
5. 근 경축에 의한 척주 서블럭세이션
6. 리 스 팅
7. 척주측만증과 가동성검사
8. 카이로프락틱 어져스트먼트의 방향
9. 카이로프락틱 치료효과의 판정
10. 가동성 검사를 할 때의 주의사항
2. 가동성감소관절
3. 가동성 항진관절
4. 1차성 서블럭세이션과 2차성 서블럭세이션
5. 근 경축에 의한 척주 서블럭세이션
6. 리 스 팅
7. 척주측만증과 가동성검사
8. 카이로프락틱 어져스트먼트의 방향
9. 카이로프락틱 치료효과의 판정
10. 가동성 검사를 할 때의 주의사항
본문내용
리스팅을 사용한 가동성검사 방법을 설명해 보면, 제 5흉추의 PRS를 예로 들어볼 때, 신전 가동성검사를 해보면 T5의 전방가동성이 다른 추골보다도 감소해 지는데 이것이 후방변위의 특징이다.
다음으로 T5에 회선 가동성 검사를 실시하여 회선 변위를 검사한다. 극돌기를 검사부위로 이용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극돌기를 누르면 저항을 느낄 수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누르면 가동성이 느껴진다. 이것은 극돌기가 우측으로 회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횡돌기를 검사부위로 이용한 경우, 우횡돌기를 전방으로 누르면 가동성을 느낄 수 있고, 좌횡돌기를 전방으로 누르면 저항이 느껴진다.
극돌기가 우측으로 회선하면 그것에 따라 좌회돌기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우횡돌기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것을 리스팅할 때에는 후방변위 P에 계속하여 극돌기를 우회선 R을 기록한다. 좌횡돌기가 후방변위를 나타내고 있다고 해서 L이라고 나타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풀스파인 리스팅의 기점은 우회선을 일으키고 있는 극돌 기이지, 횡돌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T5에 측굴 가동성검사를 한다. T5의 극돌기에 컨택트하여 측굴을 하면, 우굴에 의해 저항을 느끼고 좌굴에 의해 가동성을 느낀다. T5횡돌기 컨택트를 이용하는 경우, 좌횡돌기를 상방으로 누르면 저항이 느껴지고, 우횡돌기를 상방으로 누르면 가동성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T5와 T6 사이가 닫혀 있는 추간을 넓히도록 측굴 혹은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닫힌 추간 측의 수축된 인대나 소근육 등을 무리하게 늘리기 때문에 그이상추간은 열리지 않고 저항을 느끼는 것이다. 열려 잇는 추간을 보다 넓히도록 측굴, 혹은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열린 추간측의 인대나 소근육은 수축 없이 신장이 가능하고, 추간이 보다 크게 열리기 때문에 가동성을 느낄 수 있다.
나. 제 5 요추
풀스파인 리스팅에서의 제5 요추 리스팅은 다른 추골의 그것과는 구별한다. L5는 전술한 추골의 리스팅 이외에 PRS-MP, PLS-MP, PRI-SP, PLI-SP라는 L5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리스팅을 갖는다.
L5의 리스팅이 다른 추골의 리스팅에 비해 수가 많은 이유는 천골을 기초로 하는 요추측만의 방향 대문이다.
L5 리스팅을 위한 가동성검사는 다음의 네 가지 검사방법으로 한다.
① L5의 신전검사
② L5의 회선검사
③ L5의 측굴 검사
④ L4, L3, L2의 측굴 검사
다. 천장관절
천장관절 서블럭세이션에 관한 풀스파인 리스팅은 관골이 천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와 천골이 관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관골이 천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를 보면, 크게 4방향으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다. 이 경우, 서블럭세이션의 기준이 되는 점은 상후장골극이다. 서블럭세이션의 명칭은 관골이 아니라 장골을 이용한다.
장골이 후하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있는 경우를 PI장골이라고 부른다. 장골이 전상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있는 경우를 AS장골이라고 부른다. 외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잇는 경우를 EX장골이라고 부르고, 장골의 내방 서블럭세이션을 IN장골이라고 부른다.
실제로는 후하방, 전상방 서블럭세이션과 내외 서블럭세이션이 조합된 경우가 많다. 가능한 장골 리스팅은 다음의 8가지이다.
① PI 장골
② AS 장골
③ EX 장골
④ IN 장골
⑤ PIEX
⑥ PIIN
⑦ ASEX
⑧ ASIN
관골의 가동성 검사는 다음 네 가지 방법으로 실시한다.
① PI장골 검사
② AS장골 검사
③ EX장골 검사
④ IN장골 검사
천골이 관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는 크게 후방변위와 하방변위의 두 가지로 분류한다. 천골 서블럭세이션의 기점은 천골저이다. 리스팅은 후방변위, 하방변위 및 그것을 4가지를 이용한다.
① P-R(우후방천골)
천골이 우천장관절에서 우장골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
② P-L(좌후방천골)
천골이 좌천장관절에서 좌장골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
③ PI-R(우후하방천골)
천골이 우천장관절에서 우장골에 대해 후하방으로 변위
④ PI-L(좌후하방천골)
천골이 조천장관절에서 좌장골에 대해 후하방으로 변위
천장관절에서의 천골 서블럭세이션에 대한 가동성검사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① 후방천골검사
② 하방천골검사
천골은 천장관절에서의 서블럭세이션 이외에 L5의 아래에서 후방으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풀스파인 리스팅에서는 베이스 포스테리어라고 부른다. 이것을 검사하기 위한 가동성검사는 후방천골검사를 이용한다.
라. 환 추
풀스파인 리스팅에서 환추 리스팅과 다른 추골 리스팅의 차이점은 다른 추골에서는 후방변위가 리스팅의 기본인데 대해, 환추는 전방변위가 기본이 된다. 그 이유는 축추치돌기 때문에 환추전궁의 후방이동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방변위에 신전변위, 굴곡변위, 측방변위, 회선변위의 조합을 4가지 알파벳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전방변위에 신전변위가 더해지면, 환추전궁은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은 AS변위라고 부른다. 전방변위에 굴곡변위가 더해지면 환추전궁은 전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은 AI변위라고 부른다.
AS 혹은 AI 변위를 결정한 다음, 세 번째에 측방변위를 나타낸다. 우방에 측방변위가 있으면 R, 좌방에 측방변위가 있으면 L 로 표시한다.
네 번째 알파벳은 측방변위쪽의 회선변위를 나타낸다. 회선변위의 기점은 횡돌기이다 측방변위쪽의 횡돌기가 전방회선변위를 나타내면 A 로 후방회선변위를 나타내면 P 로 나타낸다.
가능한 환추 리스팅은 다음과 같다.
① ASR ② A니 ③ AIR ④ AIL
⑤ ASRP ⑥ ASRA ⑦ ASLP ⑧ ASL,A
⑨ AIRP ⑩ ASRA ⑪ AILP ⑫ AILA
환추리스팅을 위한 가동성검사는 신전, 굴곡, 측굴, 회선검사의 순으로 실시한다. 첫째로 신전, 및 굴곡 가동성검사를 이용하여 AS 혹은 AI 변위를 검사한다. 둘째로 측굴 가동성검사에 의해 측방변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회선 가동성검사를 이용하여 측방 변위측의 횡돌기의 회선방향을 검사한다.
마. 후 두 골
후두골 서블럭세이션에 관한 풀스파인 리스팅은 신전, 굴곡, 측굴,회선변위
다음으로 T5에 회선 가동성 검사를 실시하여 회선 변위를 검사한다. 극돌기를 검사부위로 이용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극돌기를 누르면 저항을 느낄 수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누르면 가동성이 느껴진다. 이것은 극돌기가 우측으로 회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횡돌기를 검사부위로 이용한 경우, 우횡돌기를 전방으로 누르면 가동성을 느낄 수 있고, 좌횡돌기를 전방으로 누르면 저항이 느껴진다.
극돌기가 우측으로 회선하면 그것에 따라 좌회돌기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우횡돌기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것을 리스팅할 때에는 후방변위 P에 계속하여 극돌기를 우회선 R을 기록한다. 좌횡돌기가 후방변위를 나타내고 있다고 해서 L이라고 나타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풀스파인 리스팅의 기점은 우회선을 일으키고 있는 극돌 기이지, 횡돌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T5에 측굴 가동성검사를 한다. T5의 극돌기에 컨택트하여 측굴을 하면, 우굴에 의해 저항을 느끼고 좌굴에 의해 가동성을 느낀다. T5횡돌기 컨택트를 이용하는 경우, 좌횡돌기를 상방으로 누르면 저항이 느껴지고, 우횡돌기를 상방으로 누르면 가동성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T5와 T6 사이가 닫혀 있는 추간을 넓히도록 측굴 혹은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닫힌 추간 측의 수축된 인대나 소근육 등을 무리하게 늘리기 때문에 그이상추간은 열리지 않고 저항을 느끼는 것이다. 열려 잇는 추간을 보다 넓히도록 측굴, 혹은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열린 추간측의 인대나 소근육은 수축 없이 신장이 가능하고, 추간이 보다 크게 열리기 때문에 가동성을 느낄 수 있다.
나. 제 5 요추
풀스파인 리스팅에서의 제5 요추 리스팅은 다른 추골의 그것과는 구별한다. L5는 전술한 추골의 리스팅 이외에 PRS-MP, PLS-MP, PRI-SP, PLI-SP라는 L5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리스팅을 갖는다.
L5의 리스팅이 다른 추골의 리스팅에 비해 수가 많은 이유는 천골을 기초로 하는 요추측만의 방향 대문이다.
L5 리스팅을 위한 가동성검사는 다음의 네 가지 검사방법으로 한다.
① L5의 신전검사
② L5의 회선검사
③ L5의 측굴 검사
④ L4, L3, L2의 측굴 검사
다. 천장관절
천장관절 서블럭세이션에 관한 풀스파인 리스팅은 관골이 천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와 천골이 관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관골이 천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 경우를 보면, 크게 4방향으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킨다. 이 경우, 서블럭세이션의 기준이 되는 점은 상후장골극이다. 서블럭세이션의 명칭은 관골이 아니라 장골을 이용한다.
장골이 후하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있는 경우를 PI장골이라고 부른다. 장골이 전상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있는 경우를 AS장골이라고 부른다. 외방으로 서블럭세이션하고 잇는 경우를 EX장골이라고 부르고, 장골의 내방 서블럭세이션을 IN장골이라고 부른다.
실제로는 후하방, 전상방 서블럭세이션과 내외 서블럭세이션이 조합된 경우가 많다. 가능한 장골 리스팅은 다음의 8가지이다.
① PI 장골
② AS 장골
③ EX 장골
④ IN 장골
⑤ PIEX
⑥ PIIN
⑦ ASEX
⑧ ASIN
관골의 가동성 검사는 다음 네 가지 방법으로 실시한다.
① PI장골 검사
② AS장골 검사
③ EX장골 검사
④ IN장골 검사
천골이 관골상에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는 크게 후방변위와 하방변위의 두 가지로 분류한다. 천골 서블럭세이션의 기점은 천골저이다. 리스팅은 후방변위, 하방변위 및 그것을 4가지를 이용한다.
① P-R(우후방천골)
천골이 우천장관절에서 우장골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
② P-L(좌후방천골)
천골이 좌천장관절에서 좌장골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
③ PI-R(우후하방천골)
천골이 우천장관절에서 우장골에 대해 후하방으로 변위
④ PI-L(좌후하방천골)
천골이 조천장관절에서 좌장골에 대해 후하방으로 변위
천장관절에서의 천골 서블럭세이션에 대한 가동성검사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① 후방천골검사
② 하방천골검사
천골은 천장관절에서의 서블럭세이션 이외에 L5의 아래에서 후방으로 서블럭세이션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풀스파인 리스팅에서는 베이스 포스테리어라고 부른다. 이것을 검사하기 위한 가동성검사는 후방천골검사를 이용한다.
라. 환 추
풀스파인 리스팅에서 환추 리스팅과 다른 추골 리스팅의 차이점은 다른 추골에서는 후방변위가 리스팅의 기본인데 대해, 환추는 전방변위가 기본이 된다. 그 이유는 축추치돌기 때문에 환추전궁의 후방이동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방변위에 신전변위, 굴곡변위, 측방변위, 회선변위의 조합을 4가지 알파벳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전방변위에 신전변위가 더해지면, 환추전궁은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은 AS변위라고 부른다. 전방변위에 굴곡변위가 더해지면 환추전궁은 전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이것은 AI변위라고 부른다.
AS 혹은 AI 변위를 결정한 다음, 세 번째에 측방변위를 나타낸다. 우방에 측방변위가 있으면 R, 좌방에 측방변위가 있으면 L 로 표시한다.
네 번째 알파벳은 측방변위쪽의 회선변위를 나타낸다. 회선변위의 기점은 횡돌기이다 측방변위쪽의 횡돌기가 전방회선변위를 나타내면 A 로 후방회선변위를 나타내면 P 로 나타낸다.
가능한 환추 리스팅은 다음과 같다.
① ASR ② A니 ③ AIR ④ AIL
⑤ ASRP ⑥ ASRA ⑦ ASLP ⑧ ASL,A
⑨ AIRP ⑩ ASRA ⑪ AILP ⑫ AILA
환추리스팅을 위한 가동성검사는 신전, 굴곡, 측굴, 회선검사의 순으로 실시한다. 첫째로 신전, 및 굴곡 가동성검사를 이용하여 AS 혹은 AI 변위를 검사한다. 둘째로 측굴 가동성검사에 의해 측방변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회선 가동성검사를 이용하여 측방 변위측의 횡돌기의 회선방향을 검사한다.
마. 후 두 골
후두골 서블럭세이션에 관한 풀스파인 리스팅은 신전, 굴곡, 측굴,회선변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