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원론] 게임 이론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원론] 게임 이론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죄수의 딜레마 개념

2. 기존의 수요공급 균형과 다른점
◎ 수요탄력성과 가격담합과의 관계
◎ 과점시장에서 발생한 가격담합에서 적용되는 “게임이론”
◎ 수요탄력성과 게임이론

3. 게임이론의 예

본문내용

종 결과에 영향을 주지만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할지 알 수 없는 불완전한 정보 하에서, 선택을 해야만 하는 “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입장이다.
이상은 “죄수의 딜레마”와 같이 게임이론에 해당하는 하나의 상황을 가정해 본 것이다. 하지만 게임이론은 우리의 실생활 곳곳에서 발견된다.
[ 사례 2 ]
[부동산] "반상회서 아파트값 올린다" 36%
출처 : 한국일보
반상회를 통해 아파트 부녀회가 가격을 담합한 이른바 ‘반상회 가격’이 아파트값 상승에 한몫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007이 서울지역 중개업소 437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수급불균형과 부동자금의 부동산시장 유입 등을 제외한 아파트값 상승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5.7%가 ‘부녀회중심의 반상회 가격’을 꼽았다.
이는 반상회를 통해 아파트 부녀회가 가격을 담합한 뒤 주변 중개업소에 압력을 가한다는 소문을 방증하는 것으로, 강남아파트 가격상승도 이 같은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녀회 담함’ 다음으로는 ‘중개업자간 과도한 경쟁’(23.6%)을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가격이 급등한다는 보도’(19.5%)와 ‘매물 부족’(17.8%), ‘투기세력에 의한 조작’(3.4%) 등은 그 뒤를 이었다.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지역에 기반을 둔 중개업소로서는 가장 큰 고객인 주변 아파트 입주민들의 가격담합 요구를 거부하기 힘들다”며 “‘반상회가격’이 아파트 시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한 신문기사를 발췌한 것이다. 이 신문기사를 보면 공급카르텔, 즉 소수 공급자들간의 가격담합이 현실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죄수의 딜레마”같은 게임이론도 여기에 적용된다. 한 아파트 단지에 반상회가 있다고 하자. 반상회에서 집값하락을 막기 위해 부동산에 매물을 내놓을 때 절대로 평당 1000만원 이하로는 가격을 책정하지 말자고 담합했다. 하지만 부동산에 매물을 내놓는 사람들은 급하든간에, 시간이 넉넉하든간에 집을 팔아야 되는 처지에 있다. 따라서 매물을 내놓는 사람들에게는 약간 가격이 낮더라도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만약 대다수의 사람들이 반상회의 결정에 따라 아파트 가격을 최저 평당 1000만원으로 정했을 경우, 한 주민은 평당 50만원만 낮게 설정해도 매매가 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반대로 반상회의 결정에 따르는 주민은 그만큼 거래를 성사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여기서 가격이외의 조건, 집 상태나, 위치 등 집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함). 이를 표로 나타내면..
주민 1
반상회가격에 따른다
반상회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집을 내 놓는다.
주민 2
반상회가격에 따른다
주민 1 : 평당 1000만원
주민 2 : 평당 1000만원
주민 1 : 평당 950만원
주민 2 : 거래 못함
반상회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집을 내 놓는다.
주민 1 : 거래 못함
주민 2 : 평당 950만원
주민 1 : 평당 950만원
주민 2 : 평당 950만원
이렇듯 주민 개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가격담합에 따르지 않고 그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집을 내놓아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이다. 이러한 개개인의 판단에 따라 결과적으로 많은 주민들이 평당 950만원에 집을 내놓을 것이다. 이 경우 모든 주민이 반상회 때 맺은 결정을 다 같이 지킬 경우 보다 손해를 보게 된다. 이 상황 역시 “죄수의 딜레마”와 같이 상대방의 행동이 최종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방에 대한 완전한 믿음이 없어서, 제한된 정보만으로 최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지만 결국 최종결과는 최선의 결과가 아닌 경우이다.

키워드

경제,   게임,   이론,   수요,   원칙,   법칙,   딜레마,   죄수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1.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