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증 (Pain)
2. 통증의 분류
3. 통증의 특성에 따른 분류
4. 통증기전의 여러 학설
5.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6.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유형
7.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의 이론적 배경
8. 경피신경전기자극기의 특성
2. 통증의 분류
3. 통증의 특성에 따른 분류
4. 통증기전의 여러 학설
5.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6.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유형
7.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의 이론적 배경
8. 경피신경전기자극기의 특성
본문내용
nts)
- 환자가 자신이 느끼는 통증이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고 표현
- 각각 통증이 없다 0점, 때때로 있다 0.5점, 자주있다 1점의 3척도로 점수
② 비언어호소 (nonverbal vocal complaints)
- 환자가 통증으로 인해 신음 (moan, groan)하거나 숨차는 (gasp) 빈도를 관찰
-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의 3척도로 나누어 각각 0점, 0.5점, 1점으로 점수
③ 누워있는 시간 (down-time)
-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 사이에 통증 때문에 누워있어야 하는 시간을 파악
- 누워있는 시간이 없으면 0점, 1-60분 누워있으면 0.5점, 60분 이상 누워있으면 1점
④ 얼굴표정 (facial grimace)
- 얼굴을 찡그리는 정도 및 빈도를 관찰
- 찡그리지 않으면 0점, 때때로 약간 찡그리면 0.5전, 자주 심하게 징그리면 1점
⑤ 서있는 자세 (standing posture)
- 서있는 자세가 정상이면 0점, 약간 장애가 있으면 0.5점, 자세가 뒤틀려있으면 1점
⑥ 동작 (mobility)
- 육안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정상동작을 하면 0점, 통증때문에 보행장애가 약간 있으면 0.5점, 심하게 절거나 심한 보행장애가 있으면 1점
⑦ 신체언어 (body language)
- 통증부위를 움켜쥐거나 문지르는 등의 행동을 파악
-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의 3척도로 나누어 각각 0점, 0.5점, 1점으로 점수
⑧ 의료보조기구 사용 (use of visible supportive equipment)
- 보조기, 목발, 지팡이,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기 등 의료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0점, 때때로 사용하면 0.5점, 항상 의존하면 1점
⑨ 자세변화 (stationary movement)
- 앉기와 서기 등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0점, 통증으로 때때로 자세를 바꾸면 0.5점, 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계속 자세를 바꾸면 1점
⑩ 투약정도 (medication)
- 약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0점, 비마약성 진통제나 안정제 등을 사용하면 0.5점, 진통 제를 자주 복용하고 용량이 늘어나거나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면 1점
3. 심리적 평가 방법
- 일반행동 (general behavior)평가, 다면적인성검사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코넬의학지수 (Cornell medical index, CMI)
- 다면적인성검사 (MMPI)는
① 1940년 Minnesota대학의 Hathaway와Mckinley에 의해 고안
② hypochondria, depression, hysteria등 10종의 임상 척도와 3종의 타당성 척도로 구 분한 550문항에 걸친 광범위한 질문에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로 응답하게 하여 전체적인 양상을 해석하는 방법
③ 타당성 척도가 있어 검사의 신뢰도가 높다
④ 비교적 객관성이 많기 때문에 심기증, 우울증, 히스테리 척도의 비교표를 관찰하여 통증의 정도를 평가
12.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의 적응증 (Indications)
1.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의 각종 질환 및 손상
sprain & strain of spine and other joints, bursitis, tendinitis, adhesive capsulitis of shoulder, epicondylitis, degenerative arthritis of spine & other joint, myofascial pain syndrome, rheumatoid arathritis, torticollis) ,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ellegrini-stieda 병, degenerative disc disease, compression fracture of spine, ratotor cuf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muscle spasm
2. 통증을 동반하는 신경계의 각종 질환 및 손상
neuralgia, causalgia, headache, migraine, tension headache,phantom limb pain, herpes zoster, carpal tennel symdrome, diabetic neuropathy, peripheral neuropathy, thalamic syndrome, multiple sclerosis, tabes dorsalis, syringomyelia, spinal stenosis, nerve root injury, peripheral nerve injury, spinal cord injury
3. 수술후 통증 (post-surgical pain)
lumbar laminectomy, thoracotom, mastectomy, sternotomy,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multiple abdominal surgery
4. 기타
cancer pain, chronic abdominal pain, parturition pain, dysmenorrhea, unknown pain
13. 금기증 (Contracindication)
cardiac arrhythmia, recent myocardial infarction등의 심장 질환자, cardiac pacemaker 특히 demand type 부착환자, carotid sinus위, 눈 위 또는 주위, pregnancy uterus, 감 각마비 및 감각과민 부위, 뼈가 돌출된 부위, 체모가 많아 전극접촉이 어려운 부위
14. 부작용 (Side effects)
- 피부와 전극에 사용하는 전극풀이나 전도지등에 의한 피부 자극 및 피부염, 화상이 야 기될 수도 있다는 점
- 심리적 의존도가 높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부작용이 거의 없어
- 피부의 발적, 수포, 발진 (rash), 종창, 액체분비 (weeping), 소양감 등의 피부자극증상
- 피부자극증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극을 자주 바꾸어 주거나, 치료 전 및 치료 후 피부를 깨끗이 한다.
- 화상은 매우 드물지만 경우
- 환자가 자신이 느끼는 통증이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고 표현
- 각각 통증이 없다 0점, 때때로 있다 0.5점, 자주있다 1점의 3척도로 점수
② 비언어호소 (nonverbal vocal complaints)
- 환자가 통증으로 인해 신음 (moan, groan)하거나 숨차는 (gasp) 빈도를 관찰
-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의 3척도로 나누어 각각 0점, 0.5점, 1점으로 점수
③ 누워있는 시간 (down-time)
-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 사이에 통증 때문에 누워있어야 하는 시간을 파악
- 누워있는 시간이 없으면 0점, 1-60분 누워있으면 0.5점, 60분 이상 누워있으면 1점
④ 얼굴표정 (facial grimace)
- 얼굴을 찡그리는 정도 및 빈도를 관찰
- 찡그리지 않으면 0점, 때때로 약간 찡그리면 0.5전, 자주 심하게 징그리면 1점
⑤ 서있는 자세 (standing posture)
- 서있는 자세가 정상이면 0점, 약간 장애가 있으면 0.5점, 자세가 뒤틀려있으면 1점
⑥ 동작 (mobility)
- 육안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정상동작을 하면 0점, 통증때문에 보행장애가 약간 있으면 0.5점, 심하게 절거나 심한 보행장애가 있으면 1점
⑦ 신체언어 (body language)
- 통증부위를 움켜쥐거나 문지르는 등의 행동을 파악
- 없다, 때때로 있다, 자주있다의 3척도로 나누어 각각 0점, 0.5점, 1점으로 점수
⑧ 의료보조기구 사용 (use of visible supportive equipment)
- 보조기, 목발, 지팡이,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기 등 의료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0점, 때때로 사용하면 0.5점, 항상 의존하면 1점
⑨ 자세변화 (stationary movement)
- 앉기와 서기 등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0점, 통증으로 때때로 자세를 바꾸면 0.5점, 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계속 자세를 바꾸면 1점
⑩ 투약정도 (medication)
- 약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0점, 비마약성 진통제나 안정제 등을 사용하면 0.5점, 진통 제를 자주 복용하고 용량이 늘어나거나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면 1점
3. 심리적 평가 방법
- 일반행동 (general behavior)평가, 다면적인성검사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코넬의학지수 (Cornell medical index, CMI)
- 다면적인성검사 (MMPI)는
① 1940년 Minnesota대학의 Hathaway와Mckinley에 의해 고안
② hypochondria, depression, hysteria등 10종의 임상 척도와 3종의 타당성 척도로 구 분한 550문항에 걸친 광범위한 질문에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로 응답하게 하여 전체적인 양상을 해석하는 방법
③ 타당성 척도가 있어 검사의 신뢰도가 높다
④ 비교적 객관성이 많기 때문에 심기증, 우울증, 히스테리 척도의 비교표를 관찰하여 통증의 정도를 평가
12.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의 적응증 (Indications)
1.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의 각종 질환 및 손상
sprain & strain of spine and other joints, bursitis, tendinitis, adhesive capsulitis of shoulder, epicondylitis, degenerative arthritis of spine & other joint, myofascial pain syndrome, rheumatoid arathritis, torticollis) ,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ellegrini-stieda 병, degenerative disc disease, compression fracture of spine, ratotor cuf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muscle spasm
2. 통증을 동반하는 신경계의 각종 질환 및 손상
neuralgia, causalgia, headache, migraine, tension headache,phantom limb pain, herpes zoster, carpal tennel symdrome, diabetic neuropathy, peripheral neuropathy, thalamic syndrome, multiple sclerosis, tabes dorsalis, syringomyelia, spinal stenosis, nerve root injury, peripheral nerve injury, spinal cord injury
3. 수술후 통증 (post-surgical pain)
lumbar laminectomy, thoracotom, mastectomy, sternotomy,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multiple abdominal surgery
4. 기타
cancer pain, chronic abdominal pain, parturition pain, dysmenorrhea, unknown pain
13. 금기증 (Contracindication)
cardiac arrhythmia, recent myocardial infarction등의 심장 질환자, cardiac pacemaker 특히 demand type 부착환자, carotid sinus위, 눈 위 또는 주위, pregnancy uterus, 감 각마비 및 감각과민 부위, 뼈가 돌출된 부위, 체모가 많아 전극접촉이 어려운 부위
14. 부작용 (Side effects)
- 피부와 전극에 사용하는 전극풀이나 전도지등에 의한 피부 자극 및 피부염, 화상이 야 기될 수도 있다는 점
- 심리적 의존도가 높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부작용이 거의 없어
- 피부의 발적, 수포, 발진 (rash), 종창, 액체분비 (weeping), 소양감 등의 피부자극증상
- 피부자극증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극을 자주 바꾸어 주거나, 치료 전 및 치료 후 피부를 깨끗이 한다.
- 화상은 매우 드물지만 경우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드(Freud) 성격구조, 프로이드(Freud) 성격역동성, 프로이드(Freud) 성격발...
[특수교육A+]발달장애 개념,원인, 판정(진단), 장애유형 및 특성과 치료, 가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A+]발달장애 개념, 정의, 원인, 진단 및 장애아의 특정 행위와 치료에 대한 분석
[아토피]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어원, 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정의, 아토피(아토피피부염)...
[아토피][아토피피부염]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정의와 원인, 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증상과...
섭식장애의 개념, 원인, 주요이론, 섭식장애 개입방법 및 치료방안 [A+ 추천 레포트]
환지통(Phantom limb pain)에 대해서(발생기전, 관련요인, 특성, 치료, 예방법)
[심장][자극전도계][심장 구조][심장 활동][심장 박동][심박출량][심장 순환][심장 질환]심장...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 자폐성 장애]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 자폐성 장애)의 개념, 특징...
[파킨슨병, 파킨슨씨병, 파킨슨병(파킨슨씨병) 증상]파킨슨병(파킨슨씨병)의 정의, 파킨슨병(...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검사와 간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가족] 알코올 중독 가족 원인, 알코올 중독 가족 특징, 알코올 중...
노인 낙상의 원인과 예방법 ; 노인낙상의 위험인자와 치료 분석 : 노인 낙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