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컬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장 아름답고 고귀하다고 생각하며, 후손들이 그렇게 생각하도록 교육하여 왔다. 그로 인한 부작용으로 우리 것이 남의 것보다 우월하고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 잡혀있다. 사실 우리가 말하는 우리의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 중국문화나 일본문화 그리고 미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잘 의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미 우리의 문화라는 것이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되고 통합되어 온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방어적인 입장으로 타 문화를 거부하고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접근을 해나간다면 문화적 세계화의 과정에서 소위 우리 것이라 말하는 것들이 더욱 경쟁력을 잃어가고 입지가 줄어들 것이다. 국가라는 경계를 통해 우린 문화적 경계선을 그으면서 타 문화가 넘어오지 못하게 하는데 급급해 있다. 이미 우리나라는 일정 수준의 경제적 부를 달성하였고, 정보산업에서 우수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우리가 갖춘 경제적 부나 정보산업의 발달 정도를 감안하면, 글로벌 컬쳐는 우리에게 위협보다는 기회로 다가 올 가능성이 더욱 높다. 문화적 세계화는 경제적 힘과 정보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역사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욱 알리고 국가적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개방하기에 이르다고만 말하고 있다. 개방이 곧 내부체제의 몰락을 의미하는 것처럼 느끼고 있다. 이런 준비되지 않은 자세에서 세계화를 맞이하게 되면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세계화를 맞이하는 입장에서 우리는 적극적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대응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문화적 세계화는 과연 우리에게 어떤 방향으로 다가올 것이며, 우리는 세계화의 현상 속에 어떤 방법으로 대응해 나가야 하는가? 글로벌컬쳐에 접근하는 한 방법으로 우리는 문화적 수용의 입장과 전파의 입장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문화적 수용의 측면일 것이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2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86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