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통의 재창조라고 주장해도 대중의 관심이 없고, 그것이 생활 속에 침투하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는 것이다. 한국음악의 이해 시간에 배웠던 내용 중에 기억나는 것이 있다. 당나라에서 넘어 온 ‘당악’은 우리의 음악이다. 당나라에서 왔다고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것 화’되었고 우리의 삶 속에 깊이 들어와 버린 당악이 더 이상 중국의 음악이 아닌 우리 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관심을 갖지 않고, 그것을 잘 활용하지 않았다면 당악이 우리나라 음악 화 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의 전통 역시 끊임없는 대중의 관심 많이 그 맥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인데, 관심을 받기 위해서는 변화 되는 시대에 맞게 재창조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가지고 전통이 퇴색된다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전통이 사라지는 것보다 전통의 맥을 이어나가는 것이 더 바람 직 하다고 생각한다. 우리 것을 제대로 갖춘 다음에 외래 것을 받아 들어야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한 학기 동안 좋은 강의를 해주셨던 교수님들과 조교선생님들, 강사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튼튼한 내실 속에서 우리 문화가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 나기를 바라면서 report를 마치고자 한다.
추천자료
현대사회에서 인간과 매스미디어의 비판적 고찰
예술과 영화에 대하여......
가족치료에 관한 이론정리 및 사례
기업가적 정부모형의 한국적 적실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중심...
한국교육사(삼국시대, 조선시대, 근대 교육사)
[유아 놀이지도][유아 미술교육][유아 사회성발달][유아교육]유아 놀이지도와, 유아 미술교육...
한국의 여성 무속신화 분석(‘바리데기’와 ‘세경본풀이’에 드러나는 여성 신의 좌정 과정에 대...
창조도시의 특성과 사례 비판
침례교의 특성에 관하여
2012년 1학기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