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감염원의 분류

2. 감염후 조직변화

3. 감염의 기전(감염성 질환)

4. 감염원이 일으키는 각종 질병

본문내용

이 필요하다. 배양으로 대부분은 찾아 낼 수 있으나 배양이 잘 안되는 것은 매독균, 나병균, 원충류 등이다. 일단 배양되면 균을 확인하고(동정하고) 약에 대한 민감성 검사를 하여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할 수 있다.
미생물학적 진단을 위한 기본적 원리, 즉 가검물 수집, 검사의뢰 및 검사실 진단 등이 잘 연계될 때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미생물학적 진단을 위한 기본적 원리
1단계 : 진단적으로 도움줄 수 있는 적절한 가검물을 수집할 것
감염원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가검물을 채취
뇌막염 : 뇌척수액
폐렴 : 객담, 흉수액
혈액배양 : 모든 심한 감염증
가검물을 채취 후에 항생제를 사용할 것을 주의해야함
2단계 : 정확한 가검물 채취
정상균총(normal flora)과 오염을 방지해야한다.
혈액배양, 조직배양: 무균 조작이 필수
뇌척수액 : 무균 조작이 필수
소변 : 중간흐름을 채취
상처, 농양: 감염장소의 면봉법(swab)
객담, 대변 등은 오염이 불가피하다.
3단계 : 검사실로 정확히 이동한다.
채취 즉시 검사실로 접수시킨다.
만약 즉시 접수가 불가하면 검사지침을 따른다.
4단계 . 검사실에 주요 임상소견을 제공한다
흔하지 않는 감염원을 의심할 때 더욱 필요함
5단계 : 검사실 진단
형태학적 검색
생화학적 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
6단계 : 미생물학적 보고서의 해석
임상적 소견(의진, impression)과 배양된 미생물을 비교 검토한다
가양성(false positive), 가음성(flase negative)가능성을 생각한다.
면역학적 검사
혈청내의 항체의 역가변화를 검사한다. 대개는 4배의 역가 이상되면 진단적이다
조직학적 검사
곰팡이, 원충 등은 알, 낭, 포자(spore), 균사(hyphae) 등 병원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Cytomegalovirus,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은 봉입체가 특이해서 진단이 쉽다.
또 PAS, AFB, methenamine silver 염색을 실시하면 병원체를 식별하여 조직학적인 진단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감염원이 일으키는 각종 질병
바이러스 질환
(1) 호흡기의 바이러스 질환 : 리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 소화기계의 바이러스 질환 : 볼거리(이하선염), 바이러스성 장염 및 설사, 바이러스성 간염
(3) 표피-상피 바이러스 질환 : 전염성 연속종, 홍역, 풍진, 천연두
(4) 헤르페스 바이러스 질환 : 단순포진과 음부포진 감염, 수두와 대상포진, 세포비대성 봉입체병, 전염성 단핵구증
(5) 아보바이러스 질환 : 신증 출혈열
(6) 중추신경계의 바이러스질환 : 소아마비, 광견병, 뇌염
(7) 바이러스성으로 의심되는 질환 : 가와사키 질병(피부점막 림프절 증후군), 후천성 면역결핍증
클라미디아 질환
클라미디아 요도염 및 자궁경부염
봉입체결막염
트라코마
성병성 림프 육아종
앵무새병
리케치아 질환
발진, 쭈쭈가무시병, 발진티푸스
박테리아, 스피로헤타, 마이코박테리아 질환
(1) 그람 양성 화농구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 포도상구균 감염 : 종기와 종창, 포도상구균 열창성 피부 증후군, 연쇄상구균 감염
(2) 임균감염
(3) 그람음성 간균 : 디프테리아, 대장균 감염, 녹농균 감염, 리지오넬라병
(4)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 감염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 백일해, 디프테리아
(5) 장내세균 : 세균성 장염 : 세균성 이질, Campylobacter 장염, Yersinia 장염, 살모넬라 증과 장티프스, 콜레라
(6) 클로스티리듐 감염증
(7) 인수공통 세균 : 렙토스피라병과 Weil병, 야토병, 리스테리아증, 브루셀라병, 탄저병, 묘소병
(8) 트레포네마 : 매독
(9) 방선균목 : 노카르디아증, 방선균증
(10) 마이코박테리아 : 나병, 결핵
진균증
(1) 심부 진균증 :캔디다증, 아스페르길루스증, 효모균증, 모균증, 주폐포자충 폐렴(뉴모시스티스 카리니)
(2) 표재성 진균증 : 백선, 말라쎄지아 감염증 (전풍, Pityrosporum모낭염) 스포로트릭스증
원충류 감염증
(1) 강내기생 원충류 : 아메바 감염증, 편모충증, 트리코모나증
(2) 혈액 및 조직내 기생 원충류 : 말라리아
(3) 세포내 기생 원충류 : 톡소플라스마 곤디증
윤충병
(1) 선충류 : 회충, 편충, 요충, 구충, 분선충, 아니사키스증, 사상충증
(2) 조충류 : 열두조충, 고충증, 민촌충, 갈고리촌충, 낭미충증, 왜소조충
(3) 흡충류 : 간흡충, 요꼬가와흡충, 폐흡충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11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